동생이 유학을 가고 싶어한다. 아아 나는 몇 년 동안 그것을 말렸다. 그것은 아마 동생을 위하기보다 , 나의 느기지 못한 경험을 채우기 위함이였으리라. 유학생활동안 배운 것이 많은 만큼 아픈일도 많았다. 딱 아픈 고 만큼 자라는 것 같다. 나는 창준이가 아프지를 않기 바랬지만 나 자신에게는 아픈 것에 보람이 있다고 설득하는 , 어이없는 주장을 펼치고 있었다. 누나의 마음이 그러한데 어쩌리오.. 나를 돌릴 수는 없으니 네가 나와는 다른 상황을 만나보련 따위의 대리만족을 바랬던 것인가. 아무튼 원한다고하니 일단 정보를 알아보아야한다.

Gallaudet University
국가지원 학교로 청각 장애 학생들을 위한 학교이다. DC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청각장애학생들을 위한 첫 학교이고, 지금으로써도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유일한 대학교이다. 1864년에 설립되었고 사립이다. 청력과 무관히 대학원생 학부생으로 입학하는 학생들이 있다. 본 학교는 영어와 American Sign Language (ASL) 두가지 공식 언어로 지도한다. 
학교의 역사가 상당히 긴 것으로 보아 시스템또한 매우 튼튼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리더쉽 프로그램, 교환학생 프로그램, 연구 프로그램 등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역사의 안정성이 느껴진다. 더구나 DC에 위치한 학교로써 여러가지 사회적 다양성과 미국 문화의 상징적인 곳임으로 상당히 멋진 환경이라고 생각한다. 플러스 백악관과 상당히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다. 
입학 절차는 다른 대학교들과 특별히 다르지 않다. 
SAT and/or ACT scores
Essays
Evaluation / Recommendation letters
Highschool Transcript
특별한 것이 있다면 Audiogram 

청력에 무관히 학생을 받지만 평균적 청력의 학생들은 소수라고한다. http://www.gallaudet.edu/

아, 동생녀석이 어느 세월에 대학교를 준비하는 고등학생이라니 믿을 수가 없을 뿐 더러 내가 보다 긴장된다. 나 자신의 고등학교 생활 동안은 긴장이라는 것을 모르고 지냈는데, 내 네 덕에 고등학교 시절을 다시 사는 듯한 경험을 하는구나. 유학생활이라는 것이 특별히 .. 시야가 넓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경험들을 함으로써, 세상이 달라보인다. 그것이 꼭 필요한지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굳이 넓은 시야와 많은 경험이 없더라도 삶의 평안과 행복은 살 수 있는 것이라 생각했기에 보내지 말라고 했지만, 이제는 나의 의견이 중점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느낀다. 아무튼, 보다 자료를 찾아보고 시간을 두고 생각 해 볼 일이다. 아 , 창준이가 세상에서 짱이다. 




 
Posted by water_
,

집에 왔다. 기절 하는 줄.... 알았음. 비행기를타고 식사를 먹고 잠깐 잠이 들었는데 두통에 구토 .. 생각만해도 아프다. 그렇게 혼자 비행기 화장실에서 난리를 피우고 타이레놀을 받아 먹은 후 취침. 다 여섯번 깨었지만 그 후로는 잠 덕에 그리 길지는 않았던 비행. 요절 할 듯한 두어시간에 진정 괴로웠음. 하아. 무튼 그렇게 비행기 착률. 주섬주섬 화장실 다녀오고 짐 챙기고 마지막으로 내려 짐을 찾아 게이트를 나가니 엄마와 이모 하하. 엄마 나를 보자마자 살쪘다고 고생했냐며, 살이 빠져도 고생해보이고 살이 쪄도 고생해보이나보다. 사과처럼 터질 것 같다는 나의 볼. 음.. 무튼 그렇게 귀가, 엄마 아빠와 첫 날 부터 많은 대화. 하하 자정 즈음 잠이 들었는데 새벽같이 깼다.
진심 타고싶지 않은 비행기. 생각 할 수록 유학생활이라는 것이 참으로 피곤타. 어느 자취생이나 마찬가지겠지만 다른 가족과 다른 나라에, 나의 나라가 아닌 곳에서 있는 다는 것이 사람을 지치게하는 것은 물론, 그 곳에 익숙해져 가는 내 모습마저 어색하고 괜히 안타깝. 비행기를 타면서는 참으로 편안한 마음이였다. 익숙한 공항, 익숙한 승무원, 자세, 화장실, 영화 스크린, 음식, 실내화 등등. 비행기와 더불어 익숙한 공항의 모습에 괜히 씁쓸하더라.
청주 길을 걸어다니다 보니 청주가 참 좋다. 전깃줄, 자동차들, 사람들, 건물들 - 딱히 변한 것도 없고 전반적으로 비슷한 풍경. 새들 우는 소리며 차들 우는 소리며 소리마저 이전과 다를 것이 없다. 집도 같은 모습, 엄마 아빠도 같은 모습, 나도 크게 변하지 않은 모습. 시간이 갈 수록 조금씩 덤덤해지는가 싶기도하다. 오전에 도서관에 잠시 앉아있었는데, 정말 큰 테 안경을 낀 여학생이 앞자리에 앉아도 되냐고 묻더니 앉았다. 평범한 학생의 모습이였는데 너무나 구엽고 부럽.. 1.5분 간격으로 핸드폰을 만지고, 쥐기도 불편할 것 같은 8색 펜을 쥐고 영어 과제를 하더니 30분 정도 지나 책을 싸들고 떠나버렸다 ㅎ ㅎㅎ 구여운 학생 , 나도 고딩이고싶다..
한국에 오면 몸이 다르게 느껴진다. 왠지 모르게 몸이 무거워지는 듯 한, 중력이 보다 강하게 나를 끄는 듯 한 느낌. 딱히 유쾌하지만은 않지만 익숙한 느낌. 해가 지날 수록 시애틀이 편안해진다고 느끼지만, 한국에 돌아와보면 그 편안함이 한국의 것과는 비할 수 없다는 것을 매 번 느낀다. 어제도 아빠가 묻기를 , 졸업 후에 어디서 생활하고 싶냐고 하시더라 - 여전히 나는 아직 모르겠다 , 반반이다 정도의 대답 외에는 할 수가 없다. 시애틀도 한국도 좋다. 혹은 중국이나 일본, 인도 같이 한국 근거리의 외국도 살고싶은 마음이 있다. 마음대로 될 지, 미래가 어떻게 될 지 - 아직 모르겠는 것을 보면 어리기는 어린가보다. 어중 띈 20대를 유학생활로 보내고 있는 나의 모습..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 가족  (0) 2011.06.24
6월 넷째 주 - 집  (0) 2011.06.22
6월 둘째 주 / 셋째 주  (0) 2011.06.05
동네 산책  (0) 2011.05.31
6월 첫 주  (0) 2011.05.31
Posted by water_
,

Yun young Hwang

Bio 213

Research Paper – Maize

15 June 2011

Maize (Poaceae, Zea Z. mays): eco-conscious genetic modification.  

Genetic modification (GM) is a significant scientific advancement. It has great impacts in global food systems and ecosystems. Affects of GM produce in our diets and ecosystem need to be analyzed and directed consciously. Maize is a common GM produce. Affects of GM maize diets and fate of GM maize protein in ecosystems will be examined.

Maize; Zea Z. mays, belongs to the order Poales and family Poaceae. The family poaceae is in the class Liliopsida of flowering plants are generally known as the grasses. Approximately 700 genera and 10,000 species belong to the grass family. The USDA lists 338 generas and 1935 accepted taxa overall for the Poaceae family. Most well known are the cereals, wheat Triticum, corn Zea, rice Oryza, and Sorghum Sorghum bicolor. Poaceae are perennial herbs, but many are also annuals (USDA 2011). Nearly three-quarters of grasses are distributed in Africa, Australia, Eurasia north of Himalayas, Southeast Asia, North America, temperate South America, and tropical America. A broader distribution pattern is found throughout temperate or tropical conditions (Britannica 2011).   

Corn varieties are directly and indirectly used mostly for food, livestock feed, ethanol production, and ingredients. Main ingredients produced from are starch, corn oil, corn syrup, corn flour, and beverage alcohol (Iowa Corn 2011). Corn is a commonly fed grain in United States beef cattle. Relative to other feed grains, corn is lower in protein and slightly higher in energy. Due to its lower protein content, corn based diets may require additional source of protein (NDSU 2002).

Livestock producers use corn feed in attempts of reducing cost of production. Corn can be “grazed” any time of the year regardless of seasons. In terms of cattle feeding; terms grass-fed and corn-fed are misleading because corn is grass. However the distinctions are clear when considering the corn fed cattle are in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CAFOs). CAFO cattle are typically fed high starch contents from corn or soy diets (NDSU 2002). When cattle are completely dependent on feed diet; nutrient variety is limited.

Ethanol is a high octane fuel. At its most basic level, ethanol is grain alcohol and is mostly produced from corn. It is promoted as the domestically produced biomass-fuel which will help America’s independence for energy source. Ethanol is blended into 46% of American gasoline. It also comprises 3.5% of total United States gas consumption which is 140 billion gallons each year (Iowa Corn 2011). Sustainability of corn-based bio-ethanol is highly debated. Large amounts of arable land, fertilizer, water, and pesticides are needed for efficient mass-production of corn. Environmental impacts of such chemicals and land fertility are of concern. Contrastingly, ethanol readily biodegrades without environmental harm and is a replacement fuel for additives such as methyl tert-butyl ether (MTBE) (USDE 2011).

Poaceae family shares several distinctiv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oaceaes have parallel leaf venation and absent sepals and petals. Root systems consist of fine and fibrous taproots. Stems are hollow and round. Leaf sheaths enclose the stems (Ohio State University 2005). Niklas’s study showed such clasping of leaf sheaths were largely responsible for the stem of the grass species Arundinaria tecta’s stiffness. On average, leaf sheaths contributed 33% of the bending stiffness and 43% of overall torsional stiffness of the stem segments by acting as an “external cylindrical brace.” Materials of sheaths are stiffer than that of the internodes which they envelope. Such construction of the stem allows support of the potentially-weak hollow stem. It also provides flexibility of twisting through winds (Niklas 1998).

Grass flowers are relatively simple and small. They are hidden with lemma and palea and can be seen briefly during some parts of flowering. Opening of floret allows exertion of pollen sacs (anthers) on their filaments and stigmas for cross-pollination (Britannica 2011). Grasses are wind-pollinated (Carter 2004).

Grass plants have equivalent shoots. The shoot system consists of the shoot apex and embryonic leaves (NDSU 2011). The shoot apical meristem (SAM) is a congregation of stem cells which generate shoot-derived organs. The SAM initiates leaves and preserves the stem cell pool (Americ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2011). The embryonic leaves are covered by coleoptile. The coleoptile is the protective leaf sheath covering the emerging shoot of monocotyledons and consists of cells which are specialized to fast stretch growth. Without dividing, coleoptile increases in size as they accumulate water. It protects the first true leaf as it grows towards the surface from its seed (NDSU 2011). Internodes are the stem regions between the nodes which are round in cross section and are either hollow or filled with “spongy pith” (Britannica 2011). Internodes allow flexibility to the grass’s tall height without stiffly breaking.

The intercalary meristem is an interesting feature of grass which is the evolutionary product to the selective pressure of grazing. The grass has accommodated to grazing rather than deterring it. Grasses carry an intercalary meristem. Meristems are classified by their location in the plant as apical, lateral, and intercalary. The intercalary meristem occur at bases of internodes and leaf blades.Unlike most flowering plants whose new growth occurs at shoot tips only, having the meristems at bases of each stem between leaves allows re-growth even after removal of tips by grazers, fire, or lawnmowers (Britannica 2011). Such adaptation is responsible for grasses’ diversification even under the pressure of grazing.

Grass fruits are also known as grains. A fruit wall of grains completely covers the single seed. The pericarp (ovary wall) and seed coat are fused into one layer. Such dry and simple fruit types are called caryopsis. Caryopsis in itself consists of endosperm and embryo. Endosperm is the starchy storage tissue. Embryo is between the endosperm and fruit wall (Britannica 2011).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AM and roots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plant’s nutrient and growth. AM colonization attributed to enhance uptake of phosphorus (P), potassium (K), calcium (Ca), magnesium (Mg), sulfur (S), iron (Fe), zinc (Zn), copper (Cu), manganese (Mn), and importantly nitrogen (N). Also water consumption differences have been measured between AM and non-AM plants. AM plants dry soils aft faster rates than non-Am plants. Such affect results in greater evaporative surface area or more extensive root systems in AM plants. AM fungus also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drought tolerance levels of maize. Subramanian et al. conducted a study of tropical maize. During drought stress period; leaf water potential, stomatal resistance and transpiration rate differ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AM fungus Glomus intraradices inoculation plants. Mycorrhizal plants of cultivators had higher leaf water potential and transpiration rate a lower stomatal resistance. The green leaf area of mycorrhizal plants was 27.5% higher than that of non-mycorrhizal plants under drought conditions (Subramanian et al. 2005).

Maize has been subjected to many biotechnology variations and is the second most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Barbour 2006). A common biotechnology application is the applic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Bt) crystalline (Cry) protein gene to crops. The application protects plants from specific insect infection. The cry gene application increased crop yield and reduced chemical insecticide usage. The Bt protected corn also showed decreased levels of fungal toxins such as fumonisin B1 (He et al. 2008).

Commercial Bt-hybrids variously express cry1Ab, cry9C, cry1Ac and cry1F genes (Wisniewski et al. 2002). The most frequent GM maize cultivars contain different sequences of synthetic crylA(b) gene. The gene is in maize Bt 176, MON 810 and Bt 11. The crylA(b) gene along with insecticidal usage; enhances and strengthens expression in its corn (Dinon et al. 2008). The transgenic hybrid MON 810 was developed specifically to protect maize against herbivorous Lepidoptera larvae. Kernels of such hybrid crops store average of 20 times less Cry1Ab toxin than leaves (Hubert et al. 2008).

Hubert et al. analyzed transgenic hybrid MON 810 diet on four species of moths: Ephestia kuehniella, Ephestia elutella, Cadra cautella and Plodia interpunctella. The diets were designed with kernels obtained at two different experiment fields containing the same concentration of Cry1Ab (0.3570.056 mg g_1). Results showed 100% mortality in E. ellutella, C. cautella and P. interpunctella, and 65% mortality rate in E. kuehniella (Hubert et al. 2008).

Similar study was conducted on animals by Trabalza-Marinucci et al. A longitudinal study of insect–resistant Bt176 maize diet was done on ewes. The study showed no adverse effects on the ewes’ health or performance nor horizontal gene transfer to ruminal microorganisms or animal tissues. Behaviors, reproductive traits, antioxidant defense, phagocytosis, and intracellular killing of macrophages, and ruminal microbial popul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control and GM maize fed animals showed no difference. Immune response to Salmonella abrortus ovis vaccination was more efficient in GM maize-fed ewe (Trabalza-Marinucci et al. 2008).

Ruminal epithelium showed evidence of proliferative activation of basal cells in all GM maize-fed ewes. Proliferative activation of basal cells is the deepest layer of the epidermis. Because Cry1 protein of GM maize is able to bind to intestinal mucosal surface; it may have influenced epithelial cell functions. Liver and pancreas analysis revealed smaller cell nuclei and increased amounts of heterochromatin and perichromatin granules in GM maize-fed ewes. Heterochromatin are tightly packed deoxyribonucleic acid (DNA)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nucleus’ inner membrane. Perichromatin granules are ribonucleo-protein which transport and/or store readily spliced pre mRNA. No transgenic DNA was found in the animals’ tissues (Trabalza-Marinucci et al. 2008).

Wiedemann et al. performed an experiment to tract the dispersal of modified DNA after being digested. Wild boars (Sus scrofa) and two diet plans of endogenous rapeseed and GM maize expressing Cry1Ab protein (Bt 176) were used. The study found signals of Cry1Ab protein was observed from samples of stomach, colon and rectum of the boars. Scarce amounts of both GM and non-GM seeds were intact to the feces. However, neither seeds were able to germinate. The feed-ingested DNA was partially resistant to mechanical, chemical, and enzymatic activiti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wild boar and is not completely degraded after digestion. Thus it is possible for transgenic DNA forms are able to pass onto its environment via excretion from the consuming animal (Wiedemann et al. 2008).

Cry1Ab protein from Bt maize was carried through root exudates from the crop and post-harvest crop residues. Highest amounts of Cry1Ab were found from living root fragments. Adsorption experiments showed Cry1Ab toxins adsorbing onto clay minerals. Adsorbed toxins retained their structure and insecticide activity while biodegradability decreased. Cry1Ab toxin was detectible for up to 234 days. Emmerling et al. studied performance of earthworm species Lumbricus terrestirris L. on fragmentation of such Bt maize litter Cry1Ab protein. Results concluded soil with earthwor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ry1Ab protein fragmentation than the controlled sample without earthworms (Emmerling et al. 2011). Impact of GM protein on earthworm is unknown.

(a) Cry1Ab concentration of Bt maize for both samples at start; (b) Maize control sample Cry1Ab Bt maize concentration at end; (c) Maize earthworm treatment sample Cry1Ab Bt maize concentration at end (Emmerling et al. 2011).

Impacts and dispersal of the transgene raises questions of gene flow and possible growth of gene-plant combination (Barbour 2006). Possibilities may stretch to genetic diversification. Wild relatives of maize may increase in fitness to the transgenes. Herbicide tolerance and insecticide resistance are likely. Introgression of such pressure may potentially lead to weed problems and decrease of herbicide efficiency.

Concerns of insecticide resistance pressure promoted by the Bt-genes are not far fetched because maize is cultivated widely in large quantities all over the globe. Biotechnological advancement of agriculture now requires social attention. Public health and ecosystems are at risk. Because gene flow is constant; affects of the modified maize protein requires monitoring.

Regarding genetic modification, Wisniewski et al. said, “… agricultural scientists and leaders have a moral obligation to warn the political, educational, and religious leaders about the magnitude and seriousness of the arable land, food, and population problems that lie ahead, even with breakthroughs in biotechnology.” Wisniewski also mentions advancements in biotechnology must be “deployed for their benefit by a strong public-sector agricultural research effort” (Wisniewski et al. 2002).

Genetic modification is a significant pressure on evolution and ecosystems. As Wisniewski included, the idea must be taken politically. Conscious and directional policies and personal choices must be made for ecological benefits rather than monetary profit.
Literature Cited

American Society of Plant Biologists: genetic control of maize shoot apical meristem architecture online [Internet]. c2011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abstracts.aspb.org/pb2011/public/P04/P04058.html

Barbour S. 2006. Genetic engineering. Detroit (MI): Greenhaven Press.

Britanicca: intercalary meristem online [Internet]. c2011 [cia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289983/intercalary-meristem

Britanicca: poaceae (plant family): distribution and abundance online [Internet]. c2011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465603/Poaceae/73014/Distribution-and-abundance

Carter J. 2004. Pollination and Plant Families. [Internet].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biology.clc.uc.edu/courses/bio106/pollinat.htm

Dinon A, Melo J, Arisi A. 2008.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21: 515-518.

Emmerling C, Strunk H, Schobinger U, Schrader S. 2011. European Journal of Soil Biology 47: 160-164.

He X, Huang K, Li X, Qin W, Delaney B, Lou Y. 2008. Food and Chemical Toxicoloty 46: 1994-2002.

Hubert J, Kudlikova-Krizkova I, Stejskal V. 2008. Effect on MON 810 Bt transgenic maize diet on stored-product moths (Lepidoptera: Pyralidae). Crop Protection 27: 489-496.

Iowa Corn: corn use education online [Internet]. c2011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www.iowacorn.org/index.cfm?nodeID=30315

Niklas K. 1998. The mechanical roles of clasping leaf sheaths: evidence from Arundinaria tecta (poaceae) shoots subjected to bending and twisting forces. Annals of Botany. 81: 23-34.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NDSU): coleoptile length and planting depth online [Internet]. c2010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www.ag.ndsu.edu/homemoisture/procrop/coleoptile-length-and-planting-depth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NDSU): feeding corn to beef cattle online [Internet]. c2002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www.ag.ndsu.edu/pubs/ansci/beef/as1238w.htm

Ohio State University: poaceae online [Internet]. c2005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www.hcs.ohio-state.edu/HCS300/poa.htm

Subramanian K, Dwyer L, Hamilton R. 1995. Arbuscular mycorrhizas ans water relations in maize under drought stress at tasselling. New Phytologist 129 (4): 643-605.

Trabalza-Marinucci M, et al. 2008. A three-year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a diet containing genetically modified Bt176 maize on the health status and performance on sheep. Livestock Science 113: 178-19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classification: USDA plants online [Internet] c2011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plants.usda.gov/java/ClassificationServlet?source=display&classid=Poacea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USDE): biomass program: ethanol myths and facts online [Internet]. c2011 [cited 2011 Jun 13]. Available from: http://www1.eere.energy.gov/biomass/ethanol_myths_facts.html

Wisniewski J, Frangne N, Massonneau A, Dumas C. 2002. Between myth and reality: genetically modified maize, an example of a sizeable scientific controversy. Biochimie 84: 1095-1103.

Wiedemann S, Lutz B, Albrecht C, Kuehn R, Killermann B, Einspanier R, Meyer H. 2008. Fate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and conventional rapeseed, and endozoochory in wild boar(Sus scrofa). Mammalian Biology 74: 191-197.

 

Posted by water_
,

 

 

 

 

 

 

 

A Gastronome’s Healthy and Political Eating

 

 

 

 

 

 

 

Yun young Hwang

 

 

English 201

Carrie Tomberlin

March 23, 2011


A Gastronome’s Healthy and Political Eating

Eating healthy is important. Food not only gives energy, but also affects individuals on holistic levels. Geoff Andrews, in his book The Slow Food Story writes, “Food is a source of identity often in conflict with the powerful forces underpinning globalization, which erode local traditions and impose corporate monoculture” (Andrews, 130). Eating healthy has become complicated with the food system’s extreme growth. New York Time food journalist Mark Bittman is at the frontier of today’s food issue. In his article Why Take Food Seriously?, Bittman writes, “from the 1950s on,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began contentedly cooking less and less, eating out more and more and devouring food that was worse and worse, until the horrible global slop served by fast-food and “casual dining” chains came to dominate the scene” (Bittman). The changing food culture calls for practice of gastronomy. Merriam-Webster defines Gastronomy as “the art and science of good-eating” (Merriam-Webster). Those who practice gastronomy are gastronomes. Gastronomes are well aware of the holistic impacts of food. Consumers must practice gastronomy to know exactly what they are eating and change today’s obscured food culture.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being a gastronome; one must understand today’s food system. Today’s food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ies: food manufacturer, government, and consumer. Food manufacturers make products food products. The government inspects food products. They also protect consumer’s rights by placing safety regulations for food manufacturers. Consumers purchase these products.

The goal of food manufacturers is to make the most profit. To make the most profit, they can either reduce production cost by lowering labor and ingredient costs, or increase price of products. Manufacturers often reduce production cost because they are competing with other companies who market similar products, and consumers prefer low prices. Reducing production cost will benefit the company’s profit while offering a bargain. In short, the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will use cheapest labor and ingredients to produce food products for consumers.

The dilemma for food manufacturers is that consumers like the idea of quality; something cheap ingredients often cannot provide. This is where the idea of marketing comes into play. Often marketing methods can be deceitful. Food product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superior quality; they only need to look satisfactory. Thus food manufacturers use color, images, slogans, and quotes on boxes to grab consumers’ attention. The food industry spends billions of dollars each year into billboards, television, and radio advertisements to promote their products as healthy, nourishing, and positive (Andrews, 37).

McDonalds does fabulous marketing. Despite their stereotypes of unhealthiness; they have also established other associations to bring in customers, one of which is happiness. The company invests enormously in children. McDonald’s has their signature figure of Ronald McDonald the clown is always happy and disturbingly smiling. Furthermore, they promote their children’s’ menu with the literal name “Happy Meal,” which comes with an option of toys (McDonalds). Many of their locations are equipped with playgrounds and party preparations: “You bring the kids, we’ll make the party. Super-fun for the kids, stress-free for you! We’ve got this party thing down to a science: Happy Meals, cake, decorations, party favors” (McDonalds). By satisfying the children, the company satisfies parents. When such desire for happiness overruns the need for healthiness, a McDonald’s consumer is born. Such association of McDonalds and happiness are created through marketing.

In addition to pleasing consumers; food manufacturers also need to please the government.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regulating food safety (USDA). The USDA provides guidelines to school meals programs, child and adult care food programs, women, infants and children programs, and supplemental nutritional assistance programs (USDA). The government officials are more scrutinizing than consumers because they inspect the food on molecular scales. The USDA examines food in relationship to the human body’s biochemistry. Nonetheless, despite the scrutiny of government officials, food manufactures can easily please them – through lobbying.

Lobbyists are the less noticeable but no less significant party in today’s food system. An example which well represents the role of lobbyists is the food pyramid. After reviewing the USDA Healthy Eating Index,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reported that the pyramid has been modified several times for reasons other than public health (Harvard). This familiar triangle USDA published pyramid consists of grain, fruit, vegetable, dairy, meat, oil, and sugar (USDA). One might assume the federal panelists who design this pyramid to be nutritionists, pediatrics, cardiovascular professionals, and other biological and medical professionals. However, Harvard’s reviews said, “Selecting the panelists is no easy task, and is subject to intense lobbying from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Dairy Council, United Fresh Fruit and Vegetable Association, Soft Drink Association, American Meat Institute, National Cattlemen’s Beef Association, and Wheat Food Council” (Harvard). Every one of these corporate associations wishes their product to have a greater portion of the pyramid so that more of it can be purchased (Harvard). Wanting to advertise their product, these companies do not have the best interest of public health in mind. Lobbying allows companies to pay the government to publish indirect promotion of company products (Harvard).

Having the idea of lobbying in mind, the pyramid is interesting. For example, the recommended quantity scales for each food type are different. The pyramid’s recommendation of ‘protein-rich group’ servings is intended to be maximum protein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the pyramid’s recommendation of ‘fruit’ servings is intended to be the minimum (USDA). There can be a number of possible reasons for this odd arrangement. Perhaps the country could have been under fruit shortage. Another option is that protein organizations were able to afford more sophisticated lobbyists than the fruits organizations, or the fruits associations may have more faith in honest business. New York Times journalist Mark Bittman criticizes that majority of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use lobbying to promote products (Bittman). Even government publications have other interests than best of public health.

In the food system, it seems most logical for consumers to have the priority and the strongest power. In contrast, many critics argue that the food manufacturers have the greatest power in today’s food system (Bittman). Environmental and business journalist Paul Roberts writes in his book The End of Food, “Food companies have in effect become the rulers of a supply chain that stretch from farmers to consumers…through which more than 95 percent of all calories followed” (Roberts, 216). Food companies have large control over marketing methods as well as accessibility in consumers’ environment. Roberts also wrote, “Providers of popular brand-named products, Nestle, Kraft, General Foods, and other companies could dictate how grocery stores shelve, marketed and even priced their products…nearly every important decision on product design, advertising, and promotion was being made by the manufacturers” (Roberts, 78). Consumers seem to be loosing power in today’s food system.

Food is not what it used to be. As the dependence on processed foods grow, eating has becomes unconscious because the raw ingredients are not seen. Responsibility of cooking has largely shifted towards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Bittman). Consumers depend on food manufacturers and government to be honest. However, as observed; the two parties are often not dependable. It is the consumer’s right and privilege to choose or not choose certain products. Gastronomy is the holistic approach to making conscious food choices. Few steps of gastronomy are reading labels, cooking, and eating-local.

It is difficult to avoid manufactured foods completely at once. In fact, there are local manufactures that make honest foods. To distinguish nutritious manufactured foods from deceitfully marketed ones, consumers must start by reading labels. For example, even seemingly nutritious foods such as oatmeal can be either nutritious or non-nutritious. McDonalds oatmeal on the surface looks the same as organic oatmeal. However, ingredients and nutrition facts tell a different story. One of the ingredients to McDonald’s oatmeal is ‘cream’ which alone contains eight different ingredients of: “milk, cream, sodium phosphate, datem, sodium stearoyl lactylate, sodium citrate, and carrageenan” (McDonald’s). McDonald’s oatmeal also contains “food starch-modified, natural flavor, and caramel color” (McDonald’s). An online database Myfitness allows nutrition facts comparison. According to Myfitness database, McDonald’s oatmeal contains more sugar than a Snickers bar and its calories are just as high as their cheeseburger (Myfitness). It also contains 160mg of sodium and 10mg of cholesterol. Contrastingly, an organic oatmeal contains 0mg of both sodium and cholesterol (Myfitness). Regarding nutrition; McDonald’s said, “You rely on us to deliver quality food, and we take that responsibility seriously” (McDonalds). After reading the nutritional facts of McDonald’s most nourishing menu, the oatmeal, McDonald’s definition of responsibility is questionable. Foods which seem healthy can be deceiving. Consumers must read and compare the nutritional facts when eating manufactured foods. 

Furthermore, Fergus Clydesdale in his book Food Science and Nutrition says, “We are gradually using more and more of these additives” (Clydesdale, 301). This is another reason why consumers must read labels. So why are so many additives included in our food? Chemicals are added primarily to reduce cost and push expiration dates (Bittman). Under the system of mass production, food undergoes extensive processing and travel before reaching the kitchen table. Thus products require additives such as bleaches and preservatives to protect food from heat, cold, moist, clumping, color changing, and other possible damages (Clydesdale, 289). Clydesdale suggests that consumers read labels and avoid any chemical names and purchase products made from understandable ingredients such as sugar, flour, wheat, milk, and etc.  

Next step of gastronomy is cooking. Cooking is the best way to understand food. It is also an easy way to avoid the trouble of reading labels because instead of purchasing processed foods; one can buy raw ingredients and cook them oneself. Definition of cooking differs between individuals. “Many Americans began applying the word ‘cooking’ to the act of defrosting and heating mass-produced frozen foods in a microwave oven” (Bittman). However, such is not cooking. The NYT journalist, Bittman’s introduction says, “I’m not a chef, and I never have been…never had formal training and I’ve never worked in a restaurant. None of which has gotten in the way of my mission to get people cooking simply, comfortably, and well” (Bittman). Bittman published several recipe books as well as impacts of healthy eating on body and our global culture. In his articles Yes, You Can Become A Great Cook, Bittman says, “Cooking is simple, really. You buy food (often the most difficult part), cut it up, combine few flavors, and apply heat. The result is predictable and is called dinner…possibilities for creating simple, delicious healthy food in your kitchen become endless” (Bittman). Cooking is not difficult. The most difficult part for average Americans would be to start. Once started, frozen-processed-foods can be replaced with real-actual-ingredients.

Another step of gastronomy is eating-local. Eating-local means supporting local restaurants and local produce. Choosing local restaurants and local produce means decreasing the demand for large-scaled manufacturers. Here, eating food expands its meaning into something larger than a healthy body. Geoff Andrews writes about the political affects of eating. In his book, Andrews connects the idea of conscious eating and its social impacts. “Gastronomy is the intelligent knowledge of whatever concerns man’s nourishment: it facilitates choice because it helps us to understand what quality is…enables us to experience pleasure and to learn pleasure-loving knowledge...Knowledge is everybody’s right, but also a duty; gastronomy is education” (Andrews, 69). Andrews’ idea of eating being political fits perfectly into the practice of gastronomy. Gastronomes do not eat for body itself. The act of eating can take the role of supporting an ideology or a community.

This is the way to bringing farmers and chefs back into our food system. Large corporate food manufactures are not farmers, and definitely not chefs. This fact can easily be seen with the example of Monsanto. Monsanto is a farming corporation which produces crops such as corn, soybean, cotton, wheat, and canola (Monsanto). The company’s introduces themselves as, “producing more conserving more improving lives – that’s sustainable agriculture. And that’s what Monsanto is all about” (Monsanto). Contrasting to Monsanto’s self-introduction,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 (OCA) is running a campaign called Millions Against Monsanto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 The OCA campaign is promoting the idea of, “supporting our right to know – and choose – what’s in our food” (OCA). According to the OCA’s database, Monsanto has been hiding number of pollution for decades and deprives large amounts of soil properties by use of pesticides and fertilizers (OCA). Environmental journalist Jennifer Lance published a review of Monsanto’s Genetically Modified (GM) Cotton Seeds. Their study showed Monsanto’s GM Cotton seeds cause soil to erode by killing soil organisms which are needed for building nutrient rich soil (Lance). Monsanto also distribute enormous quantities of genetically modified seeds, and such framing methods deplete soil of needed nutrients (OCA). Corporations do not understand the intricacies of farming. That is why consumers must support farmers.

An ecology journalist, Larry Korn, says sustainable farming methods do not require machines, chemicals, fossil fuels, nor much weeding. Sustainable farming maximizes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landscapes and produces nearly no pollution (Korn). Many local produce are accessible through local farmers’ and organic markets (Korn). Ecologist Peter Singer, in his book The Ethics of What We Eat writes, “buying local food keeps your dollars circulating in your community…There’s never been a more critical time to support your farming neighbors. With each local food purchase, you ensure that more of your money spent on food goes to the farmer” (Singer, 142). Consumers must support individuals who practice sustainable-farming rather than corporations that do not respect the environment. This is part of the gastronome’s political affects of conscious-food-choices.

Allowing today’s absurd food culture to continue might be easier at the moment. Microwave dinners and fast food chains are convenient from short-term perspectives. Fast food restaurants reduce food preparation time. Mass production minimizes personal labor and maximizes efficiency of mechanical labor. However the idea of ‘fast’ and ‘efficiency’ is questionable. Manufactured foods may seem convenient and cheap, but is it really? Times journalist Alice Park in her article Food as Pharma writes that food affects our biological chemistry from cellular and molecular levels, each organ levels, and the body as a whole. Food affects blood vessel conditions, resistance to cancer, bodily toxin levels, heart disease, obesity, psychological disorders, disease fighting abilities, chronic disease, longevity, and the entire well-being (Park). Today’s food culture can also be seen from a social perspective. Economics journalist Tom Laskawy’s writes that today’s food culture has led to 278 extra calories and 20 extra teaspoons of sugar per day. Food has become a new type of addiction. Regular soda-drinking increases risk of obesity by 27% (Laskawy). Obesity is a new epidemic which costs California alone $41 billion a year (Laskawy). The reduced dollars in production cost is eventually paid in medical and insurance bills.

Large corporate farming also hurts our environment. As seen with the example of Monsanto, large corporations buy massive properties, and their methods of farming are harming our environment (OCA). With unprecedented amounts of pesticide, fertilize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mass production, the company has no concern for future use of soil (Lance). Monsanto also contaminated large bodies of waters with chemicals such as PCBs, dioxin and glyophosate (OAC). Monsanto’s solution to this problem was to purchase these public water resources they polluted, filter the water, and sell it to people (OAC). The strong ties Monsanto and the government allow such practices left unpunished (OAC). It is clear that these corporations and the government have their profits at priority. Allowing such food culture to continue will most significantly damage the consumers and environment.

Consumers support large manufacturing companies with and without awareness. It is clear consumers must take the practice of eating into more careful consideration. Gastronomy – conscious-eating – is beneficial for one’s body at the smallest scale. It also supports the environment and ethical businesses not choosing dishonest corporation products and instead choosing local and honestly grown foods. Individual choices are important and must be made consciously.

Hippocrates once said, “Let food be thy medicine and let thy medicine be food” (Park). It would be rather difficult to instantly understand our food products and begin the practice of gastronomy. However, long miles can be covered by series of steps. Read labels and choose ingredients written in plain language and not foreign chemistry. Cook meals. Eat-local produce rather than preserved chemical cocktails. Help today’s obscured food system to become better by supporting local farmers. Have the right philosophy of eating and demand good food. Be a gastronome. To food – cheers.


Works Cited

Andrews, Geoff. The Slow Food Story – Politics and Pleasure. Kingston, England: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8. Print.

Bittman, Mark. “The Way We Live Now.” New York Times 9 Oct. 2008. Web. Mar. 21, 2011. http://www.nytimes.com/2008/10/12/magazine/12wwln-lede-t.html?_r=1

Bittman, Mark. “Why Take Food Seriously?” New York Times 12 Oct. 2008. Web. 22 Mar. 2011. http://www.nytimes.com/2008/10/12/magazine/12wwln-lede-t.html

Bittman, Mark. “Yes, You Can Become a Great Cook.” Men’s Health. 23, Aug. 2007. Web. 21, Mar. 2011. http://www.menshealth.com/nutrition/cooking-tips-1

Clydesdale, Fergus. “Food Science and Nutri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79. Print.

Food Safety and Inspection Service. USDA. “Common Food Safety Questions from FSIS.” Web. 18 Mar. 2011. http://www.fsis.usda.gov/help/faqs_flavorings/index.asp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Food Pyramids: What Should You Really Eat?” Web. 08 Mar. 2011. http://www.hsph.harvard.edu/nutritionsource/what-should-you-eat/pyramid-full-story/index.html#references

Korn, Larry. “Masanobu Fukuoka’s Natural Farming and Permaculture.” 2003. Web. 21, Mar. 2011. http://www.permaculture.com/node/140

Lance, Jennifer. “Monsanto’s Genetically Modified Cotton Kills Soil.” Really Natural 11 Mar. 2009. Web. 21, Mar. 2011. http://www.reallynatural.com/archives/business/monsantos_genetically_modified.php

Laskawy, Tom. “Is Michelle Obama about to take on Big Food?” Grist. 14 Oct. 2009. Web. 20 Mar. 2011. Web. http://www.grist.org/article/is-michelle-obama-about-to-take-on-big-food

Merriam-Webster. “Gastronomy.” Web. 08 Mar. 2011.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gastronomy

Myfitness. Calorie Chart, Nutrition Facts for Food. Web. 21, Mar. 2011. http://www.myfitnesspal.com/food/calorie-chart-nutrition-facts

Organic Consumers Association. “Millions Against Monsanto.” Web. 21 Mar. 2011. http://organicconsumers.org/monsanto/index.cfm

Park , Alice. “Food as Pharma.” The Times. 11 Jun. 2009. Web. 21 Mar. 2011. http://www.time.com/time/specials/packages/article/0,28804,1903873_1903679_1903681,00.html

Roberts, Paul. “The End of Food.” New York: Houghton Miffling Harcourt. 2008. Print.

Singer, Peter. “The Ethics of What We Eat.” United States: Rodale Inc. 2006. Print.

 

 


Posted by water_
,

maize squash bean

자연 과학 2011. 6. 15. 12:24

4/11

Maize - first sign of growth


Squash - no growth yet

 

 

Beans - first sign of growth


4/13


Squash - no growth yet


4/14



4/15




4/20


Squash - First sign of growth - finally !!






4/26


Squash




5/2
5/4
5/6
5/9
5/11
5/12
5/14
5/16
5/19
5/23
5/25
5/26
5/29
6/1
6/4
6/6
6/8
6/9
6/10
6/13








Posted by water_
,

생물 마지막 랩은 음식을 만들어 나누어 먹는 것 ! 익사이팅. 하지만 규칙들이 있다네

- 5개 Kingdom 에서 최소 한 가지 씩 재료를 선택 할 것
- 식물의 모든 부분 (stem, room, flower, leaf)를 최소 한 번씩 사용 할 것
- Plantae 중 10가지 class 에서 최소 한 가지 씩 재료를 사용 할 것





5 Kingdoms

Bacteria - Miso 
Protista - Seaweed
Fungi - Miso
Plant – Potato, Carrot, Broccoli, Spring Onion, Garlic, Sugar, Flour, Soybean, Black Pepper, Ginger
Animal - Pig

Root - Carrot
Stem – Ginger, Potato
Flower - Broccoli
Fruit
- Citrus
Seed - Soy beans
Leaf - Garlic



 10 plant families


Solanaceae - Potato
Apiaceae - Carrot
Brassicacear – Broccoli

Rutaceae - Citrus oil
Alliaceae - Spring Onion, Garlic
Poaceae – Sugar, Flour
Oleaceae - Olive oil
Fabaceae - Soybean
Piperaceae - Black Pepper
Zingiberaceae – Ginger



그리하여 규율에 맞추어 우리 그룹이 만든 음식안 마파두부, 된장국, 채소 튀김



Mapo Tofu

Tofu (Plantae, Soy beans, seed, Fabaceae - legume family)

Spring Onion (Plantae, Stem, Leaf, Alliaceae – onion family)

Pork (Animalia, Chordata, Mammalia, suidae family)

Garlic (Plantae, Root, Alliaceae – onion family)

Sugar (Plantae, Poaceae – grass/grain family)

Olive Oil (Plantae, Fruit, Oleaceae – olive family)

Black Pepper (Plantae, Seed, Solanaceae - potato family)

Ginger (Plantae, Stem, Zingiberaceae – ginger family)

 

Vegetable Tempura

Potato (Plantae, Stem, Solanaceae – potato family)

Carrot (Plantae, Root, Apiaceae – carrot family)

Broccoli (Plantae, Flower, Brassicaceae – mustard family)

Citrus Oil (Plantae, Fruit, Rutaceae – citrus family)

Sugar (Plantae, Poaceae – grass/grain family)

Flour (Plantae, Seed, Poaceae – grass/grain family)

Egg (Animalia, Chicken Egg, Chordata, Aves, family Phasianidae)

 

Miso Soup

Miso (Plantae, Soybeans, Seed, fermented, Fabaceae - legume family)

Tofu (Plantae, Soy beans, Seed, Fabaceae - legume family)

Seaweed (Protista, Green Algae, Lamina – the leaf-like structure, family Chlorophyceae)

 

Orange Juice

Orange (Plantae, Fruit, Rutaceae – citrus family)

 

 

 

만드는 일은 참으로 번거로왔지만 최고의 부페였다네 ! 그야말로 Feast of the Kingdom !
세가지의 케익이 있었고, 두가지의 베트남 쌈, 네가지 카레, 열다섯가지의 샐러드, 그리고 알 수 없는 수 많은 것들이 있었다네. 그 중의 하이라이트는 애벌레 ! 곤충을 재배하고 먹는 (충식?) 이들의 인구가 늘어나고 무브먼트들이 있지만 직접 먹어보는 것은 처음. 애벌레와 귀뚜라미를 가져온 친구, 어느 것을 좋아하냐고 묻자 애벌레가  rice crispy 를 연상시켜 좋아한다는 말에 추천을 받아 먹어보았다네. 향신료 맛이 컸기에 특별히 맛있다라는 느낌보다는 전혀 이상하지 않아 ! 라는 느낌. 좋은 느낌? 마음에 드는 맛, 이라기보다 느낌이였다. 전혀 징그럽거나 기이하지 않고 , 쉽게 바삭하고 작은 씹힘의 느낌. 충분히 다시 먹을 수 있을 법한 음식. 무튼 즐거운 경험이였다네.
이번 생물 수업 botany 박사 히피 교수 .. 하아, 잉간 사람 분 덕분에 길가의 꽃도 뜯어먹고 별 것을 다 먹는다네. 전반적으로 이메일 확인과 체점이 겁나 느린 것 외에는 많이 배웠음으로 만족하는 바이다. 히피 박사님 trail walking 다니시느라 어련히 바쁘시니 grading 하시고 email response 하실 시간이 어디있으시겠어요 .. garden 도 키우셔야하고 organic cooking 도 하셔야하는데 말이죠 , 네 이해해요 .. 직업이 교수이신지 botanist 이신지 , 후자임에 분명함을 나도 알고 댁도 알고 모든 학생이 알고 있지요 .. 이제 research 페이퍼와 final, greenhouse 페이퍼 만 잘 마무리하면 끝이니라. 정말 이상하지만 박식하여 용서 할 수 있는 , 그런 류의 사람. 아무튼 그럭저럭 정말 별로였지만 괜찮다고 합시다. 맛있었으니 만족 !

'자연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ize: eco-conscious genetic modification  (0) 2011.06.19
maize squash bean  (0) 2011.06.15
HIV / AIDS 보편적 overview  (0) 2011.04.01
전파의 영향, 위험성  (0) 2011.03.14
원자력 발전소 - 원리, 응용  (0) 2011.03.14
Posted by water_
,
아고라
감독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2009 / 스페인)
출연 레이첼 웨이즈,맥스 밍겔라,오스카 아이삭,아쉬라프 바홈
상세보기


여주인공의 영화들을 좋아하는 것은 내가 페미니스트라는 것일까. 아무튼 멋진 여주인공들의 영화를 좋아한다. 이 또한 그 중 하나. 뿐만아니라 전반적으로 튼튼한 영화. 딱히 구차한 소재도 아니고 연출또한 크게 뒤떨어지지 않는다. 평범하지만 평범함이야말로 가장 비범 할 수 있음으로 보기 편안하고도 멋진 영화. 철학에 대해 학문에 대한 열정에 대해, 종교의 자유, 시민의 권리, 계급사회와 지위에 대해, 나 자신에대해 일상적이지만 생각을 하게하는 영화. 자연의 법칙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 그리고 그것과 사회적 움직임 사이 - 무엇이 더 중요한가를 고민하는 모습들. 동경하지만 현실이라는 이유로 매 번 잊혀지는, 무시되는 생각의 조각들이 기억나는 영화였다네.
Posted by water_
,





실존인물을 바탕으로한 이야기 - 예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세계로 학생을 이끄는 노인 예술가. 구름은 결코 하얀색이 아니였음을 .. 의욕 넘치는 학생과, 삶에게 미련도 특별함도 없는 노인 예술가. 평범한 스토리라인이지만 폄범함이 가장 멋진 것임을 상기시켜주는 영화.

Posted by water_
,

6/4 Sunshine Saturday at Starbucks
울리는 전화기 덕에 깼지만 받지는 않았다네 .. 프레젠테이숑 따위를 핑계로 등산을 거절하고, 아점을 든든히 먹구 스타벅스로 출근. 랩 쓰고 프레젠테이숑을 이제 슬슬 준비해야 한다네. 날씨가 환상적으로 맑은 것이, 하늘에는 구름이 없고 건조한 따뜻함이 뜨거움에 가까운 날이라네. 많은 사람들이 핫바지와 탱탑,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햇살을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리 모두 얼마나 기다렸던가, 좋은 날씨를..


6/9 Pre-Finals
Tired without doing much. Lunch with a friend, feast scheduled for biology lab hour. Muchos to do, motivation at low. Phew ! Someone inspire me !

6/10 건강
시험 전 주 이니만큼 정신도 마음도 딱히 건강하지 않다. 어서 끝이라는 녀석을 만나고 싶지만, 시간이 움직이는 것이 두렵기도하다. 아직 마무리 짓지 않은 일들이 여섯가지나 있으며 모두 몇 일 내야 끝내야하는 것 들. 마음은 바쁘지만 손가락과 정신은 휴식을 바라고 있는 - 시험 전 주의 전형적인 모습. 어서 하나 둘 씩 마치고 짐을 싸들고 한국으로 떠나고 싶다.


6/12
오전 일찍 일어나 공부 , 친구들 만나 페이퍼 작업 , 저녁에는 짐싸며 노동 - 상당히 괜찮은 생활패턴인 듯 , 매우 만족 ㅇㅇ 공부하고 짐싸다 한 주 다 갔음 휴. 다가오는 시험이여 아아


6/14
내일은 ASC o chem exam ㅡㅡ
ㅜㅜ
ㅎ ㅎㅎㅎ ㅜㅜㅜㅜ


6/16
o chem 끝 ! Jennie 너무 보고싶을 듯 .. 파인애플이나 사다 바쳐야겟두 후후 bio 가 나를 누르네 우러러러우어어어어 24시간 후 방학이닷 ! ^^

6/17
아 간만에 짱 피곤.. 미루고 미루면 역시나 쌓이는구나 엉엉 건강을 챙기자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넷째 주 - 집  (0) 2011.06.22
유학생활 , 집  (0) 2011.06.21
동네 산책  (0) 2011.05.31
6월 첫 주  (0) 2011.05.31
즐거운 주말, 셀카 작렬  (0) 2011.05.30
Posted by water_
,

마음은 조깅해야지 하며 나갔는데 몸은 피로했다네 .. ㅋ ㅋㅋㅋ 사진찍으며 산책 오예 , 사진 찍고 걸으니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더라는
후리후후 !!



걸어보자

걸어다니니 이런 꽃도 보이는 구나


누군가 잃어버리신 강아지


민 달팽이 - 내 지난 여름 어느날 달리다가 네 녀석을 밟은 적이 있더라지 ..


걷다말고 녀석 사진 찍으러 바닥에 누웠다네


나무 별 반짝 반짝


이 녀석들 자세히 보니 하트 모양 이더라눙


별 꽃


너도 오늘따라 예쁘구나


뉘집 애벌래들인지 야무지게도 먹었다네


말 똥이라네, 나는 사진 찍으며 걷다가 한 덩어리 밟았다네 . . ㅡㅡ


한 바퀴 걸음 끝 크크



내일은 뛸 수 있을런지 , 체력이 저질이라네 휴 화이팅 !!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학생활 , 집  (0) 2011.06.21
6월 둘째 주 / 셋째 주  (0) 2011.06.05
6월 첫 주  (0) 2011.05.31
즐거운 주말, 셀카 작렬  (0) 2011.05.30
no reasons  (0) 2011.05.30
Posted by water_
,


5/29 냉소의 연장, 이것 저것

마음이 편한 것과 생각이 없는 것은 다르다. 때로 너무 가볍게, 쉽게 하는 말들이 있다. 그것들은 늘 후회를 부른다. 불과 몇 시간이 지나지 않아, 집에와서, 혹은 말이 쏟아진 직 후에 후회하는 경우들도 종종 있다. 매번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리라. 마음을 불편하게 해야한다는 것보다, 말을 무겁게, 조심하여 해야겠다는 생각을 늘 한다. 실천은 아직 습관치않아 실수가 여전히 잦지만 천천히 나아지리라. 이는 나를 위함이기도하지만 타인에 대한 배려의 결여가 원인이리라. 나의 실수가 나의 결함이라고, 타인에게 영향을 주는 것을 방관 할 수는 없는 일이리라. 늘 느끼는 점이지만 늘 상황에서는 소홀하다. 보다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기억해본다.
근래 속이 좋지 않은 일이 많다. 이전 보다 예민해지는 것을 느낀다. 어쩌면 나쁘지 않은, 오히려 좋은 변화인지도 모르겠다. 그 만큼 짙은 자극에서 멀어진 것이리라. 외식을 줄이고 매운 음식을 피해게 된지도 꽤나 되었다. 더불어 유기농에 집중하는 생활 또한 영향이 있으리라. 휴대용 칫솔을 우연치 않게 발견하여 근래 양치질을 자주하는 습관 또한 매우 좋은 듯 하다. 상쾌함은 물론이고 굳이 민트를 먹지 않아도 된다.
어제 외식 후, 목이 매우 타는 것 또한 외식이 줄었음을 의미한다. 잠이 들기 직전까지 목이 타던가 하면, 새벽 3시경 깨어 속이 매우 좋지 않았다. 화장실을 수 차례 들리고 7시가 지나서야 잠이 들 수 있었다. 참으로 피곤한 밤이 아닐 수 없었다. 이렇게 잠을 이루지 못한 밤이 얼마만인가. 근래 잠을 매우 편안히, 정기적으로 자는 습관이 있었는데, 오랜만에 불면을 만나니 당황스럽기도 하였지만 딱히 괴롭지는 않았다.
다리를 꼬지 않고 앉는 연습을 하는 중인데 쉽지 않다. 한 동안 허리를 펴고 앉는 습관을 생활화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언제인가부터 자세가 좋지 않다. 마음을 다시 잡아야 할 것들이 여러가지이다. 이러한 습관의 개선은 마음의 편안함에서 오는 것이리라. 마음이 편안하니 한 두가지 보다 할 수 있는, 관점의 여유, 시선의 범위가 넓어지었다. 좋다.
더불어 달리기가 조금씩 보다 좋아지고 있다. 어제 밤 달리는 기분은 매우 좋았다. 특히나 미약한 태풍같은 바람이 시원하였고, 친구들과 즐거운 만남이 있어서 유쾌함을 더하였다. 아무튼 보다 정기적으로 달릴 수 있을 것 같다. 천천히 습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면 오늘 계획되어있던 등산은 가지 못하였다. 어젯밤 설친 잠과 좋지 않은 속이 이유이다. 오후가 지나 저녁 쯔음 속이 좀 나아지면 조깅은 갈 수 있을 것 같다.
수업이 없는 월요일이다. 그렇다고 마냥 쉴 수 있는 날은 아니다. 학기 말인 만큼 할 일이 몇 가지 있다. 카페에 앉아 하나 둘 씩 마무리하고, 저녁 쯔음 집에 들어가야겠다.
조금만 - 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무엇인가를 잃는 데에도, 얻는 데에도 조금만 마음을 놓거나, 조금만 신경을 쓰면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처럼 작은 것들이 쌓아지고, 작은 몇 번의 횟수들이 습관을 낳는 것 - 조금만 신경을 쓰는 생활을 해 보자.

6/1 불면 , 자세 , 그대 내 품에  

0533시 자다 깨어 물을 마시다가 물을 쏟았다. 잠 깨는 데에는 물 쏟는 것이 최고임을 배웠다네. 아무튼 그렇게 잠이 다시 들지 못하고 아르바이트의 첫 날이다. 시애틀에 와서 Conference center는 미셸 오바마 연설이 있던 Hyatt 이 후로 두번째로 가 보는 듯 하다. 기대가 된다. 긴장이 많이 풀리기도 하였지만 마음을 너무 놓으면 안된다는 생각을 한다. 시험에 앞서도 그렇고 종종 자부심에 비해 결과는 보다 나을 수 있는, 아쉬움이 남는 경우들이 많다. 실력보다 마음이 앞서간다는 것은 자만, 프라이드가 강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따라서 조심성을 의식 중에 두는 것이 안전 할 듯 하다. 무사히 다녀오겠습 !
근래 박정현의 유재하의 그대 내 품에를 무한 반복 듣고있는데 가사가 너무 좋다. 특히 만일 그대 날 떠난다면 끝까지 따르리 저 끝까지 따르리 내 사랑. 아아 얼마나 예쁜 가사인가 .. 단순하면서도 맑으면서도 건조하지 않은, 순응이라는 것이 이리도 예쁘던가. 여러가지 생각이 드는 곡이다. 너무 좋다.

1900시 컨퍼런스는 생각만큼 순조로왔다. 한국에서 오신 바이어는 전형적인 한국 사람, 특별히 까다롭거나 불편하지는 않은 분이였다. 일에대한 결과에 스스로 꽤나 만족하는 바이다. 내일 또한 즐거이 지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사회라는 곳은 특별히 무섭지만은 않은 것 같다. 이번 일을 하면서 한국인과, 미국인과 함께 일하는 - 이런 자리에서 배운 점은 한국과 미국의 상당한 문화차이. 아무래도 구입하는 물건들에 대한 선호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둘의 성향 차이는 참으로 크다. 뿐만아니라, 한국에서 계속 생활하신 바이어 분과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한국 사회에 대한 구조를 조금 들을 수 있었다. 첫 직장이 상당히 중요하다며, 꾸준함이 중요하다고 하셨다. 아무래도 기본적인 시발점이 한국과 미국 간에는 큰 차이가 있는 듯 하다. 보험 커버부터 시작하여, 기본인금, 승진확률, 직장인의 보편적인 경로 등이 일단 다르다. 큰 기업의 인식과 태도 또한 상반적이며, 그에 대한 인식 또한 매우 다르다. 이러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듣고있자니 한국사회가 때로는 무서워진다. 그러한 구조 속에서 내가 살아 갈 수 있을지, 미국이 편하게 느껴지는게 사실이다. 아무튼 이렇게 조금씩 사회에 대하여 배워가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무튼 이래저래 생각보다 일이 일찍 끝나 집에 일찍 오게되었다. 
 d 9 딱히 만족스럽지 않은 하루이다. 미국 컨퍼런스는 설탕류가 너무 많다. 이것저것 오랜만에 설탕 덩어리들을 줏어 먹었더니 속이 달다, 윽. 전보다 입이 짧아진 것 같다. 나이가 들 수록 머리는 아둔해지고 몸은 민감해진다는데,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나는 아니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왜인지 뛸 기운이 나지를 않는다, 아아. 어젯 밤 잠을 못 잔 터이리라. 유기화학 페이퍼를 자정 전에 내야한다. 휴, 학교를 빠져도 내야하는 것들이 있다니, 흥. 어서 마무리하고, 잠을 푹 자고, 내일이 왔으면 좋겠다. 내일은 친구의 합창공연을 보러간다. 금요일 또한 오전에 잠시 미팅이 있다. 이번 주는 참으로 짧고 속차구나. 졸리다.

6/4 좋고 좋지 않은 마무리

0027시, 아아 엉엉 싫다. 일을 마무리하고 매우 유쾌한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하였으나 역시나 불면은 나를 괴롭게 한다. 낮잠에서 일어난 2300시 경, 밤 낮의 패턴은 지켜져야하는데 너무나 싫구나. 방에 전구를 사왔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불이 켜졌다가 꺼져버렸다. 이 슬픔을..
i'm so tired of making the same mistakes over and over. sometimes it is as if i am not trying to improve or heal. i walk long miles without them, but yet again, i find myself on the floor back on ground zero. but staying on ground zero and walking away from and toward it again is a different matter. efforts do count because it is the journey not the destination. but destination do also matter. i want to finish at a better place. at a better place than i am today. i want to move an inch a day towards something greater than i myself of yesterday. i want to make progress and have momentum of growth. that is what we want and we strive for. however difficult, however challenging, however impossible it may seem, there is beauty within and it should not be forsaken.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둘째 주 / 셋째 주  (0) 2011.06.05
동네 산책  (0) 2011.05.31
즐거운 주말, 셀카 작렬  (0) 2011.05.30
no reasons  (0) 2011.05.30
Outdoor Research , 사회 생활  (0) 2011.05.29
Posted by water_
,
오전에 학교에 들러 이것 저것 하고, 저녁에 친구들을 ^ ^ 만나러 다운타운을 갔다네.

버스를 타기 위해 걸어가는 길,



시간을 잘못 알아 나의 버스가 떠나는 것을 바라 보았다네 ^ ^


버스 정류장 도착



YOU'RE LATE !!!!!!!!!!!!!!!!!!!!



OH NO !!!!!!!!!!!!!!!!!!!!!!!!!!!!!!!


25분 기다리고 탑승, 버스에서 셀카 후리후후



친구들 ^ ^ 을 만나고 집에오니 2130시 , 괜히 뛰고싶어 뛰러 나갔다네, 어둡구려



신났다네 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셀카의 시작



아유 좋아 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뛰다 지칠때 마다 찍으니 계속 찍는다네



사람도 없고 어둡고, 경찰차가 나의 곁을 매우 느리게 세번이나 어슬렁 거리더라네, 내가 이상합니까 허허



아유 힘들어여



그나마 빛은 가로등 들



짱 신난 표정





신나는 주말이였음 ^ ^ 아이 좋아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네 산책  (0) 2011.05.31
6월 첫 주  (0) 2011.05.31
no reasons  (0) 2011.05.30
Outdoor Research , 사회 생활  (0) 2011.05.29
불면, 알면서 마시는 커피  (0) 2011.05.12
Posted by water_
,


간만에 쓰는 글, 간간히 글을 쓰는 일은 그냥 특정 이유 없이 여러모로 좋다. 참으로 무책임한 말들이지만 그냥 그러한 것들이 있다. 내일 월요일은 무려 공휴일, 긴 주말은 너무 달다. 주말이 그토록 싫던 날들이 이제 확실히 지났나보다. 굉장하다, 지금도 당시도 믿을 수 없을 따름. 금요일은 시험을 보고, OR 과 미팅을 하고, 조깅을하고 차 청소를하고, 영화등을 보았다. 토요일은 등산을하고 미사를 드리고 장을 보고 영화들을 보았다. 오늘은 개미스트리 페이퍼를 시작하고 생물 식물들에게 물을 주고, 이제 ACS 공부를 해야한다. 저녁에는 오랜만에 다운타운을 간다, 아 오랜만이 아니구나.. 아무튼, 옷을 환불하고 친구들과 맛있는 저녁을 먹기로 했다. 좋다.
그냥 별 이유 따위 정하지 않고 머릿 속의, 느껴지는 감정들을 받아들이는 나의 모습을 보면서, 참으로 신기하다. 아직도 변한 내 자신이 어색하다. 물론 너무나 괜찮은 일이고 잘 된 일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아직 완전한 자연스러움이 아닐 뿐. 꽃을 그리면서도 내가 꽃을 그리고 있다니 .. 나 자신에 익숙해 지는데에 짧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크게 문제되는 일은 전혀 아니다. 이렇게 천천히 적응하는 것이 보다 완전한 적응, 그리고 나 자신이 되는 과정이리라.

건강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다. 어제 등산은 참으로 기이한 일이였다. 가장 자주 오른 산인데 그 토록 힘들다는 것이 너무나 이상하다. 특별히 춥지도 않았고 음식도 섭취하였는데 말이지.. 내일 다시 올라가 보아야겠다. 아무래도 근래 운동에 소홀하고 풀어진 마음가짐이 원인이리라 생각한다. 오늘은 14일 중 d 12일이다. 몇 일 동안 염두에 두고 지켜 볼 생각이다. 그 동안 기준이 사라진 듯 하여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중이다. 무튼 마음이 편안하니 무엇도 할 수 있게되어 너무나 다행이고 즐겁다.
어제는 엄마와 통화를 하였다. 나의 초등학교 친구를 종종 성당에서 만나시는데 너무나 좋아하신다. 딸이 가까이 없다고 아쉬워하신다. 어쩔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집착하지 않는 것은 현명이라고도하지만 냉소라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어쩔 수 없음을 모르는 이는 없으리라. 그것이 실낱같은 희망이라기보다 괜한 투정이기도하고 그 또한 어쩔 수 없는 아쉬움의 표현이리라. 하지만 그에 대한 완전한 수용에는 어느정도의 냉소가 필요한 듯 하다. 그러지 않고서야 그리 미련이 없을 수는 없지 않을까. 이 아무렴 냉소이면 어떠리, 다만 나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 상처아닌 상처가 되는 것 같아 아쉬울 뿐. 나도 아쉽고 안타깝지만 그 정도는 확연히 다르다. 그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 혹은 마음 고생의 정도에서 크게 차이가 있다. 아, 나는 냉소적이구나, 나 자신에게 안타깝지 않지만 타인에게 미안하다, 라는 것이다.
간만에 주저리 주저리 글을 쓰니 글이 써지는구나.. 내일의 등산에 기대가된다, 건강이 최고라네. 어제 엄마와의 통화 중에서도 엄마는 건강에 대해 이야기 했다, 그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며, 건강이 바탕이 되어야 걸을 수 있고 그 후의 것들을 생각 할 수 있다며. 옳소 그렇소 건강이 최고라네. 그냥 요즘 나는 이렇게 그냥 산다네.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첫 주  (0) 2011.05.31
즐거운 주말, 셀카 작렬  (0) 2011.05.30
Outdoor Research , 사회 생활  (0) 2011.05.29
불면, 알면서 마시는 커피  (0) 2011.05.12
화려하지 않은 the end 끝  (0) 2011.05.09
Posted by water_
,
짧은 아르바이트를 하게되었다. Outdoor Research (OR)은 Backpacking, hiking, skiing, snowshoeing, 등등 outdoor 기어들을 파는 회사이다. Nordstrom의 일부로, 설립된지는 10년이 조금 넘은 듯 하다. 다음 Season 의 제품들을 가지고 Domestic/International Buyer들을 위해 3일 동안 Presentation 형식의 Show 를 연다고 한다. 그 중 한국 Buyer를 위한, 한인 assistant 로 고용되었다. 따라서 OR은 나를 3일 동안 고용하였다, 하하.
Show 가 있기 전에, 진행형식 등 회사에 대해 조금 더 알고싶다고 하자 나를 회사로 초대하였다. 긴장했는데 생각보다 훨씬 편안한 분위기였다. Show의 스캐줄을 하나하나 설명해주고, Conference 장의 위치, 한인 Buyer에 대한 설명 등 자세한 설명들을 듣고나니 한결 마음이 편안해졌다.
더불어 회사 Tour를 시켜주었는데, 회사는 7층 건물로, 1층에는 매장이 있고, 7층은 오피스들, 그 사이는 무려 공장과 Storage가 있더라. 정부를 위해서도 물건들을 만드는데, 그러한 제품들은 State 주 내에서 만들어져야한다는 법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직접 이 곳에서 만들고, 이 외의 제품들은 China에서 만들어진다고 한다. 장갑이나 헤드기어 따위가 만들어지는 모습들을 보았는데 대부분 중국, 베트남, 멕시코 계의 노동자들이였다. 바느질 작업과 커팅 작업 등 모두 손으로 이루워지는 모습은 신기했다. 플러스 상당히 깔끔히 정돈되어있는 모습 또한 멋졌음.
어떠한 회사를 위해서 일하는 것은 J Crew 이후로 처음, 그 회사의 본사를 이렇게 가까이서 자세히 보게 된 것은 처음이다. 나를 고용한 Jackton이라는 사람은 미생물을 전공하였는데 현재 International marketing manager 자리로 일하고 있다. 회사의 전반적 분위기는 상당히 깔끔하고 편안하지만 책임감있는 느낌이였다. 회사에 대해 매우 좋은 이미지를 받았다. 이렇게 사회에 대해서 하나씩 배워가는 것 같아 새롭고 즐거운 경험이다.
Show 는 다음 주, 기대된다. 샘플 등, 제품들을 선물할테니 싸이즈를 알려달라던 고용주. 무엇을 줄지는 모르겠지만 등산용품이니 유용히 쓸 수 있는 것 들일테지, 기대가 된다. 하하



회사 도착, 이 때까지만해도 긴장했음 하하


화장실에 매우 친환경적인 손 타올이 있었다


오피스 입구


새로 진행되는 암벽 세트란다, 제품들을 실험하기 위한 핑계로, 놀으려고 만들었단다 허허


아직 미완성임





6/1 day 1 그 후
아, 첫 날이 끝났다. 조금은 긴장하였지만 전혀 두려울 일 없던 하루였다. 종일 한인 바이어 곁에서 통역과 대화를 나누었다. 사람이라는 것이 얼마나 기이한지를, 또 사회라는 곳이 얼마나 기이한지를 다시 느낄 수 있는 기회였다. 나를 고용한 OR 의 international marketing manager 는 나에게 한인 바이어들의 행동을 이해하기 어려운 점들이 많다고 이야기하였다. 오늘 만난 한인 바이어는 미국 녀석들의 비즈니스 태도에 대해 불만을 표하였다. 서로 순조롭지만은 않은 관계인 것 같다. 서로는 대화가 통하지 않지만 중립적이고 양문화를 어느정도 수용하는 나에게는 두 파티 모두 서슴없이 이야기를 하는 듯 했다. 정작 서로 앞에서는 별 말들이 없다 .. 아무튼, OR 측은, 한인 바이어의 구체적이지 않은 마케팅 제안서에 불만을 표했고, 한인 바이어는 OR 측의 느린 서비스와, 일본 시장이 넓어지면서 한국에 소홀해하는 것 같다는 점에 불만이 가장 컸다.
한인 바이어분에게 불만을 직접 이야기해보시는게 어떻냐고 제안하자 저 사람들은 말이 통하지 않는다며 거절하셨다. 왜 자신의 주장을 이야기 하지도 않고, 그들의 태도를 부정적으로 수용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어쩌면 전형적인 동양의 방법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이어 분은 더이상 OR 에게 대화나 기대보다 그저 비즈니스만 하고싶어했다. 반면에OR 측은 한국의 시장에 대한 이해, 앞으로의 전망 등을 공유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둘의 소통은 , 거의 제로에 가까웠다.
내가 고용되면서 OR 측에서 들은 바로는, 통역가라기보다 바이어가 본인들에게 질문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그의 생각을 끌어내는, 협정의 도구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바이어는 나에게 많은 이야기를 해 주었지만 얼만큼을 OR 측에 전달해야하는지 모르겠다. 바이어분은,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지만, 그저 같은 민족이라는 이유의, 편안한 마음에 나에게 이야기를 쉽게 하셨으리라. 그러한 이야기들을 OR 측에 전달해도 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전달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편을 들려 하는 일이라기보다 그저 나의 의견이 그러하다. 이런 점을 고려 할 때에 나는 한인의 정서보다 서양의 정서에 가깝지 않나 생각된다. 하지만 정보와 요구사항을 공유하고, 현재의 비즈니스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나아갈 전망들을 나누는 것이 보다 전반적인 사업에 효과적인 것 아닐까? 나의 의견에 대한 옳고 그름은 없으리라.
더불어, 바이어에게서 한인 사회문화에 대해서 조금 들을 기회가 있었다. 한국에서 본인이 수입한 물건들을 여러 매장측에 공급한다고한다. 이 또한 물주와 바이어들의 만남이 이루워지는데, 이번 OR 측의 행사와 의도는 같다 - 도매점들에게 물건을 설명하고 홍보하는 것. 하지만 그 과정은 매우 다르다고한다. 오늘 OR 측의 쇼같은 경우, 제품들을 직접 체험하는 것이 많았다. 예를들어 Gaiter 를 착용하고, 흙 위를 달리는 wii 를 설치해둔다던가, 래프팅을 위한 모자를 위해 강풍 선풍기와 래프팅을 준비해두는 모습들을 한국에서는 절대 볼 수 없다고 한다. 아무도 그러한 세팅에 참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물주와 바이어들은 점심부터 모여 밥을 먹고 술을 마시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좋지 않은 문화라고 생각한다. 물건을 팔고 사는데에 물건을 설명하는 시간보다 개인적 bonding 을 하는 음주의 시간을 갖는다니, 이상한 일이지 않은가.
이러한 점들을 생각하며, 역시나 미국의 work ethic 이 보다 나에게 편안한 것 같다는 생각을 다시 해본다. 비록 잠시 뿐이였지만 J CREW 에서의 경험, 그리고 OR 에서의 경험은 참으로 재미있었다. 물론 한국의 제주도 IVY CAMP 의 경험도 재미는 있었지만, 미국의 비즈니스만큼 깔끔함이라고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 물론 회사의 규모에서 수백배의 차이가 있지만, 시스템의 기초라는 것이 애초에 한국 비즈니스에서는 약한 것 같다. 전반적인 틀과, 세부적인 규정들이 매우 부실하거나, 딱히 중요시 여겨지지 않는다. 이렇게 기준이 흐릿한 환경에서 일하는 것은 재미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결코 유쾌하지 않는 일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졸업 후에 어디에서 살고싶냐는 질문을 물어온다. 가장 이상적인 일은 미국에서 국제기업에 취직하여, 어느정도 경력을 쌓은 후에 한국으로 발령을 받는 것이다. 오늘 바이어분도 이 이야기를 하셨지만, 사람 사는 일이 그렇게 딱 떨어지지 않는다는 이야기도 하셨다. 아무튼 어떠한 일을 하느냐보다 어떻게 일을 하느냐가 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솔직히 어떠한 일을 하여도, 그 시스템이 깔끔하고 환경이 유쾌하다면 즐거울 것 같다. 그 일이 한국이냐 미국이냐 사이에서는 솔직히 미국에서가 마음이 편하지 않을까 싶다. 비록 짧았지만 한국에서의 사회경험에는 술이 너무나 쉽게 포함되어있고, 그것의 비중감이 결코 적지않다. 사교또한 이제는 오히려 이 곳이 편해지는 감도 없지 않다. 이렇게 나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잃는 것일까 .. 결국 한국인도 미국인도 아닌, 중간계 정도의 오지의 , 소속없는 사람이 되어버리는 것은 아닐까 .. 딱히 걱정되는 일은 아니지만 유쾌하지만도 않은 일이다. 물론 유학생의 인구가 늚으로써 나와 비슷한 다사회적인 인구가 늘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나는 그러한 유학파인구의 소속이 될 수 있을까, 그 또한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객관적으로 그래 보일 확률이 높다.
더불어, 오늘 미팅에는 도메스틱 국내, 그리고 인터네셔널 국제 바이어들이 모인 자리였다. 그룹을 미국 팀, 캐나다 팀, 그리고 그 외 국가들 팀으로 나누어 한 시간 정도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이 또한 매우 인상적이였다. 한국, 일본, 대만, 칠레, 유럽대표팀 이 있었다. 일본은 지진으로 인하여 사람들이 한동안 등산을 기피하였지만, 등산복과 같은 옷들을 대비하여 많이 사는 바람에 매출이 늘기도 했다고 한다. 지진의 여파는 여전히 느껴지지만 크게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고한다. 많은 사람이 여전히 지진의 가능성에 대해 불편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도 하였따. 대만이 가장 흥미로왔다. 어쩌면 내가 중국에 가장 흥미를 두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중국의 outdoor sports 시장 규모는 점점커지고 있다고한다. 하지만 그러한 문화가 아직 성립되지 않았다. 물론 많은 땅이 있지만, 공적인 땅들도 개인의 소유인 곳들이 많고, 정부의 규제가 여전히 심하다고한다. 이리하여 스키와 같은 outdoor 문화를 성립하는 데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OR 측이 중국의 문화를 바라보는 것을 보며, 얼마나 거시적인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그들은 아직 성립되지 않은 중국 시장이지만 그 시작을 분명히 감지하고, 정부의 개입 때문에 어려워보이는 문화육성에 기대를걸고 있었다. climbing festival 이라는 행사가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작은 움직임이지만 움직임은 움직임이니라. 이 처럼 OR은 제품을 팔기위하여 문화를 양성하고 지지하고있었다. 칠레는 지진의 여파가 여전히 남아있으나 대부분의 혼란은 가라앉았다고 하였다. 경제는 건강하고 환경적인 문제들이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 수로들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유럽 대표는 여러 국가들의 대표들을 모아야 함으로 미팅이 비교적 어렵다고하였다. 더불어 러시아의 정치적 움직임 또한 경제와 문화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하였다. 한국 대표의 주장은 내가 번역하였다. 한국 현재 시장은 매우 경쟁적이다. 거의 모든 해외 outdoor 브랜드들이 한국에 들어와있기 때문에 고객들의 기준이 높다. 더불어 아이템이 나오는 족족 국내 브랜드에서 유사제품을 보다 저렴한 값으로 만들기 때문에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더불어 이처럼 많은 경쟁과 제품들 사이에서 브랜드 밸류와 값은 둘째이고, 첫 째는 기능이라고 한다. 또한 인터넷 쇼핑의 문화는 계속해서 자라나고 있다고도 하였다. 이렇게 세계의 국가들이 개인적인 배경과 문화를 가지고 한 자리에 모여있는 것이 신기하였다.
또한, OR 의 제품들을 보면서, 참으로 간단해 보이지만 그 사이에서 차별화 됨을 만들기 위해 얼마만큼의 노력이 들어가는지에대해 놀랐다. 솔직히 왠만한 방수 자켓은 비슷해 보이기 마련이다. 시장에 나와있는 방수 자켓의 수는 대여섯 쯤 되고, 그 사이에서 가격, 기능, 디자인 등을 꼼꼼히 따져 고르는 것이 고객이다. 그 사이에서 자신들의 브랜드를 개별화 시키기 위해서는 특별한 '무엇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디자인 면에서 볼 때에 많이 벗어나는 것은 위험하다. 트렌드를 따라야하고 대중성이 있어야한다. 기능면에서 뛰어나는 것은 값에 큰 타격을 입히고, 가격 내에서 기능의 차별화를 두는 것에는 정도의 한계가 있다. 더불어 미세한 기능의 차이는 어떻게 마케팅되느냐가 강권이고, 대중에게 이해받기란 쉽지 않다. 매 해 비슷한 제품들을 만들어내는 것 같은 회사들도, 이렇게 미세한 것들을 연구하고 수정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는 것이, 어쩌면 당연하겠지만, 어느정도 아는 것과 직접 보는 것의 차이는 매우 컸다. 흥미로운 배움이였다.  
아무튼, 나는 이렇게 조금씩 사회에 대해서 배우고 있다. 내일도 무사히 즐겁게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점심 메뉴가 맛있게 나와서 좋았다 크크. 페이 또한 기대되는 바이다. 이왕하는 일 열심히 해보자 !

6/4 끝

끝났다. 일이 끝났다. Jackton도 한인 바이어 분도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미팅을 가진 듯 하였다. 둘의 한계에 대해 불만이 많은 듯한 분위기였으나, 마무리는 모두 서로의 노력과 제한적인 부분들을 수긍하는 듯한 모습이 인상적이였다. 역시나 마무리가 깔금하고 정리되어야 긍정적인 전반적 인상을 남길 수 있는 듯 하다. 나의 업무는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으니 나 또한 좋은 마무리의 모습을 보여주어야겠다고 생각한다.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주말, 셀카 작렬  (0) 2011.05.30
no reasons  (0) 2011.05.30
불면, 알면서 마시는 커피  (0) 2011.05.12
화려하지 않은 the end 끝  (0) 2011.05.09
그 와중 나를 웃게 ... 폭소하게 했던  (1) 2011.05.07
Posted by water_
,

오전에 눈을 떴는데 왠 비가 그리 굵게 쏟아지는지 .. 가지 말까 아주 잠깐 고민했지만 일단 출발
산에 다가가니 비 굵기가 줄어들면서, 오기를 잘했다라는 생각

비가 오나마나 사람들이 꽤 많았, 주차장이 가득


바나나 먹고 출발


들어가 봅시다


아 벌써 힘들어 


오마이갓 버섯 ! 먹으면 슈퍼마리오 처럼 두배 에너지가 생길 것 같
게임하는 기분


맛 없게 생겼


흐리죽죽한 날씨 하늘, 비 부슬부슬


물 방울

 

민달팽이 녀석 slug 크크 녀석을  찍으려 바닥에 누웠다네


바위


오늘은 이 나무가 참으로 예쁘더랍니다
잎이 작은 것이 반짝 반짝


아 예뻐


작고 구여운 잎들


저기도 있네옹


지난 주 Rattle Snake Ledge, Snoqualmie Trail 에서 만났던 꽃인데 여기서도 만나니 반갑


꽤 많았더라눈, 한 30 포기 본 듯


잔디류 Grass 도 송송 자라고


비가 그치고 빛이 나기 시작 ! 오마이갓 !


사람도 식물도 새싹의 싱그러움은 같은 듯


이 녀석들은 참 기이하도다
잎이 나무 끝자락에서만 자라는 기다란 것들


가까이서 보면 가시가 많다네


잎에도 뽀족뽀족한 가시들
호박잎의 섬유질 털다 훨씬 강하고 두꺼운 가시들


다시봐도 기이하도다


힘들어 죽겠..


이 산을 이제 8번은 오른 것 같은데, ,오늘만큼 힘든 날이 없었다, 정말 그냥 내려오고 싶은 마음이 2분마다 들었음. 이유를 몇 가지 생각해 보았느니
어제 조깅해서 피로가 쌓임
근래 운동을 소홀해서 체력이 바닥임
혼자 오르느라 심심함
물을 충분히 안 마심
노화의 증세임.....은 아니길 바람

아 정말 힘들었다.. 어느 등산보다 힘들었기에, 포기하지 않았음에 매우 뿌듯. 그야말로 기어 올랐음.
그러나 정상에 도착하니 외국인 한 팀 5명 과 한인 30명 한 팀이 있었음 .. 한인등산팀은 모여서 단체사진을 찍고 있었는데 너무 시끄럽.. 정상에 도착한 뿌듯함이 2초만에 사라지고, 그 곳에서 1분 서있다가 하산했음 .. 누워서 좀 쉬고 오려했으나 너무 시끄러워 있을 수가 없었, 휴..
그들을 뒤로하고 하산하는데 2분 정도 내려가는 와중, 아주머니 한 분 굴러떨어지는 비명이 산에 울려퍼졌음, 사고나신건 아닌지 ..... 다시 올라가 볼까 싶다가 그냥 내려왔다네.
아무튼 고된 등산을 뿌듯하게 마치고 ! 하산, 하산도 힘들었다네.. 무릎도 아프고, 보통 하산은 달려 내려오는데, 달리기는 커녕 평시 한 번 도 쉬지 않고 내려오는 산을 5번은 쉰 듯..
아무래도 하산은 비교적 쉬워서 사진을 덜 찍는다는..


아 드디어 다 내려왔다, 대박의 안도감 휴


날씨가 좋다네

 

하늘 좀 보소


이게 정녕 시애틀 하늘인가요


빛 좀 보소


워메 날씨여, 좋다 좋아




집에와서 뻗어있다네, 하하 즐겁지만 죽을 뻔 한 등산, 아 체력이여 화이팅일세


Posted by water_
,
procrastinated / expandable thoughts 
순간순간 떠오르는 것들을 적은 노트를 정리한다 - 언젠가 이에 대해 글을 써야지, 혹은 기억하고 싶어 적은 짤막한 단어와 글들 ..


pregnant man
i'm still here aren't i ?
stay alive for each other
parenthesis
what do i have to do to make you fall in love with me
the way back 
not to be strong, but to feel strong 
restoration
yoga
see different - not hallucination
god siezed emptiness only god can fill
down to earth spirituality
your hue
now is perefct
take care of myself ? are you kidding?
just tell me, just say it, just do it just do it, for me just do fucking it
greek love
we should be lovers
suddenly my li fe doesn't seem such a waste
how wonderful life is, now you're in the world
i am perfect, glad you notice
be a man and leave me alone


loosing perspective
underworld
death frees every soul
tree of life
death as act of creation
death is road to awe3
death is a disease like any other. there is a cure and i will find it.

say please, be polite, hold doors, fuck off
i walk a step ahead in time, at death. i hate being nice.



꿈 - 환상 이끼로 가득한 곳
사고현장을 우리는 손을 잡고 떠났지
이불을 느끼며 꿈이라고 안심했던
엄마 아빠 창준의 손을 잡고 감사했던

설명 할 수 없는
곤추으이 관절 움직임과 같은 무겁지만 가벼운
떨어질 듯 메달려 있는 가볍지만 무거운
인도의 고개 움직임과 흡사한

무릎이 다쳐 아파 신경이 쓰이고 엄살이 생기 때에
장염이 걸려 배를 꼬아버리면 무릎 따위는 쉽게 잊을 수 있
가슴이 아파 속상하면
머리를 부숴버리면 됨

모든 기억이 기록된다면 얼마나 추악할까.
빗소리를 들으며 눈을 감고 있자니 괜히 더러운 기억들이 밀려온다.
이 맑은 소리에 적합한 더러움, 세상은 기분나쁘게 늘 평평하다.
일기예버에 비가 온다기에 종일 오지 않기를 바랬는데 막상 소리를 들으니 반갑구나.
가족 같다.
오늘도 자려한다, 머릿 속 가득 로망인지 욕망인지를 가득 담고.

미친 여자는 살인자였고, 독극물로 그 언니와 두 자매를 옥상에서 독극물을 마시게 하여 죽일 계획이였다. 나는 신고를 하는 와중 그녀에게 잡히기 직전 그녀는 나를 따라와 이모 여기있어 괜찮아 언니 안 도망갔다며 언니의 자전거와 집에 있다며 난 전화를 잡고 통화를 하며 뛰며 숨을 곳을 찾았고 용암동 원봉 중학교 lg 아파트 201호 옥상에 가야한다고 더듬어 설명했고 깨진 직전 미친여자는 자전거 트고있어 - 알렉스 어디있어 - 라며 다가오더니 직전에 뭐해 !!! 라고 괴성을 질렀다. 나는 전화를 잡고 병원의 터무니 없는 작은 신발장에 몸을 구겨넣으려던 참이였다. 다른 주인공들이 있다. 동물원에서 만난 남학생 비디오 카메라 남자, 다른 여자친구들 미친 여자를 싫어했다가 오해라고 풀었다가 막판에 다시 그녀가 싫어질 것 같다했던 친구 룸메이트 추정. 나는 그 셋이 옥상에서 이상한 병원가운을 입고 지렁이처럼 꾸물대던 모습을 잊지 못한다. 난 너무 지쳤어라는 쪽지. 그녀를 떠난 남자친구, 미친여자가 시켰 계략했겠지.

세상 구경하러 태어났음
모르겠습니다, 난 그냥 좀 슬프겠습니다

영화를 공부하면 세상은 영화로 돌아간다, 상대성 이론이 어찌 과학에만 적용된다고 생각 할 수 있단 말인가.
결국이라는 단어에는 오래 고무줄을 당기다가, 고무줄의 힘을 이기지 못하고 놓아버린 듯 한 싫은 어감이 있다.
세상에 똑바른 것은 없다, 이 점을 설명 할 때에 똑바름에 가장 유사한 것을 갉지 않고, 먼 것을 질타해야한다. 근접한 것의 노력을 묵사발 할 이유는 없으며 불가능을 향한 그 노력은 헛 됨이 아니다.
새로움을 받아드릴 위치 "과학의 진보는 그 종사자들에게 새로운 사고 내용을 받아들여서 그것을 구체화하는 것을 요구...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사실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지 않거나 받아들일 위치에 놓여있지 않다." 하이젠베르크
천국의 기억이 언제였는지.
의연히 상상은 숨차다.
나를 탓하되 잊지 않기를, 미워하되 기억하기를.
집착하지마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일이야, 내가 신경 쓰지 않으면 누가 써.
나에게 개를 달라.
수많은 빗방울을 싸그리 비라고 부르다니, 불쌍해.
나는 우주의 공주다, 나의 신녀자들이여 땅을 파 하늘에 띄우어라, 네가 어떤 사람인지 영원히 알 수 없을거야, 넌 그만큼 철저한 사람.
지금 하고 있는 일, 중요하다, 너를 위한 에너지가 없다.
of you my heart has spoken, 너는 나를 떠났으나 나는 가만히 조용히 있을거야. 언젠가는 다시 오겠지, 다시 떠난다해도, 영원히 헤어질 수는 없을 것이야. 나와 나의 잠 처럼, 분침과 시침처럼, 반복적으로 잠시 동안 씩 스칠 수 있는 운명.
충동이 느껴질 때에 그냥 잔다. 다 포기하고 잔다. 어차피 잘 껄 이라고 후회하게 될 것이니 생산을 포기해라.
마음이 면봉이 된 기분, 가볍고 부드럽지만 똑 부러져 버릴 수 있을
어느 날 쓰러져서 알았는데 모든 것을 이해 할 수 있었다
네가 오늘을 살고 있을 때 나는 너의 내일을 살고있지. 너는 나와 함게 있다고 생각하지만 난 이미 그 순간을 너의 미래와 살았고, 난 너의 미래와 현재인 이 곳에서 너를 기다리고 있어. 우리는 만날래 만날 수 없는 사이.
난 움직이지 않았어, 난 가만히 서있고 의자가, 책상이 세상이 움직였어, 자판이 움직여 글을 썼고 중력이 움직여 표정을 바꾼거야, 난 안 그랬어.
남의 전화기 지갑 따위를 왜 보려는가.
아 애기 보고싶다.
0400시 , 밤도 아니 아침고 아닌, 이 따위를 새벽이라 하나요.
산다는 것은 소모하는 것. 채우려 부단히 노력하지만 불필요, 불가능 한 일.
괴로울 때 쏟는 글은 술을 마시고 쏟는 언변보다 후회가 된다.
기건 잠재도 아니고 내가 그냥 이런 쓰레기인가 싶다.
미래가 보인가, 정확히 십 육일.
그 무엇보다 자극적인 가족사진, 나 없는
자유로운 나무, 아이러니
묻지 않는 질문은 설명 할 필요가 없다. 이해를 부르기는 커녕 화를 부를 것이니.
부모가 사람을 만들면
탁구치듯 문자질
아무도 아닌 나를 누구로 만들어 주세요. 살려주세요.
별 것 아닌 것이 가장 별 것 임을 - 평범예찬의 진리.
살아있음이 의심되면서 죽어도 딱히 다르지 않을 것 같다.
나 아니 막 후우
내 등으로 누워있는 이 땅의 면적은 나의 것
태아 자세로 누워도 잠이 오지 않는다
아이에게 아이 연령대 주인공의 영화 책을 보여 줄 것
나의 이야기인양 소설을 이야기하리
운동은 행복
저출산
꽃으로 만든 목걸이
식사 중 집중은 예임을
잠 잘때 절대로 깨우지 말라는 공상소설같은 소리
자신에게 상 주기 award self
꿀 탄 우유
판요 바다의 생물이 되고 싶
꺼진 컴퓨터 처럼 죽은 것도 아니지만 에너지 없는, 그저 가능성 potential e
피의 비
이데아를 사랑치만 현실은
최소한과 최대한의 차이를 모르는 것
숨은 천천히 쉬고 음식은 천천히 먹는 것
나를 주지마라, 절대 소유 할 수 없게 하라
나이가 매우 많은 사람

'일상, 단상 > Oz 탈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전 아름다운 진실 Project Beautiful Truth  (0) 2011.06.29
quote bits  (3) 2011.04.02
Oz 오즈 탈출기  (0) 2011.03.13
Oz 오즈 탈출기  (0) 2011.03.09
Posted by water_
,

근래 날씨가 좋은 날들이 종종 있다 흐흐 느즈막히 일어나 산에 다녀왔다. 이것저것 사실 머리가 편하지만은 않다. 산까지 운전하는 동안도 잡념에 음악이 들리지 않았고, 집에 돌아오는 운전 길 또한 마찬가지였다. 등산 동안은 아무런 생각도 없다, 그저 힘들 뿐 .. 특히나 오늘은 앞 사람을 쫓아가느라 숨이 넘어갈 뻔 했다. 나의 앞으로는 40대의 커플이, 뒤에는 20대의 청년이 있었다. 꽤나 쉭쉭 잘도 올라가시던 커플.. 뒷쳐지지 않으려 열심히 쫓아가다가 결국은 휴식 .. 뒤의 청년을 앞으로 보내주었다. 그래도 중간자리를 꽤나 오래 지켜 나름 뿌듯. 날이 좋은 주말이여 사람이 제법 많았다. 하산은 달렸다, 크 - 달리는 하산이 최고다. 달리려 등산화 대신 런닝화를 신고 갔다. 역시나 등산화보다 충격이 훨씬 흡수되어 편안하다. 날도 좋고 눈이 없으니 굳이 방수의 등산화나 방수 옷들을 입지 않아도 되어 너무 편안하다.

입구 쯔음 자리잡은 바위


나무가 쓰러져 길을 막고 있두. 커플을 쫓아 오르느라 오르는 길 동안 사진이 거의 없다 ..



결국 보내준 나의 뒤에 걷던 청년,



앉아서 10분정도 휴식. 그냥 내려갈까 진지하게 고민 .. 그래도 올라가야지 싶어 일어났는데 엉덩이 다 젖음..



휴식지점에서 3분정도 오르니 ledge 에 도착, 그냥 내려가지 않기를 잘했음. 다음에는 East peak 을 가보겠. 사인이 있는 곳이 1.9mi 이고 2.4mi 더 가야하니, 총 4.3 mi, 왕복 8.6 mi 흐음... ㅋ ㅋㅋ 재미있겠군



조심하시우



ledge 에서의 풍경,


돌에 이끼가 딱히 많지는 않아 미끄럽지는 않다. 그래도 바위위에 서있기는 무섭 .. 오늘은 지난 번 만큼 바람이 많이 불지 않았음.


10 분 넘게 저렇게 서있던 녀석 ..


지난 번에는 볼 수 없었던 다람쥐들이 오늘은 매우 활발히 움직이던 - 10마리는 본 듯 .. 나에게 가장 가까이 접근한 녀석, 구엽. 돌과 털의 색이 매우 같다.. 너의 이름을 다윈이라 하겟소.

호수의 풍경


뛰어 내려가려구 러닝화 신음 쿠쿠


스릴을 즐기는 젊은 커플 .. 역시 젊음은 달라



먼 산 풍경


달리어 하산하는 데에 40분 정도 .. 오르는데는 80분 정도 걸린 듯 .. 산에서 내려와 호수에서 잠시 놂.


물에 비친 풍경



기이한 나무 발견, 죽은 나무 밑둥에 shrub 같은 것이 자라고 있다, 구엽 신기



물 속의 풀


여기 빠져 신발 젖었음, 역시나 넘어지거나 부서지거나 고장나거나 무언가 오류가 일어나야 익사이팅함, 크크




좋은 하루 후후



딱히 ledge 까지는 높지 않은 산이다. 풍경도 꽤나 멀리까지 보인다. 거리나 경사로는 tiger mountain 과 얼추 비슷한 듯. 운동하기에는 가까운 tiger 가 아무래도 편리. 다음에는 ledge 를 지나 까지 가 보아야겠다. 아이구 졸려 하음

Posted by water_
,
올 해 목표 중 가장 중요했던 '건강하기'가 바닥을 쳐, 백만 조각으로 부서졌다. 전과는 차원이 다른 나의 체력 저하를 느끼며, 더 이상 같은 방향으로 갈 수는 없다. 변화가 필요하다. 잘 지내고 있었는데 수면부족으로 너무나 괴로운 바닥의 바닥의 하루를 보내고 있다. 왠만큼 잡아진 방향을 다시 굳게 잡아본다. 진심으로 건강이 바닥을 치지 살고싶지가 않다. 잠이 없는 하루는 살지 않은 것 만 못하며, 아무것도 하지 않은 것 만 못하다. 할 수 있음을 기억하며, 목표를 세운다.

최소 주 3 회 운동, 최소 스트레칭, 윗몸일으키기
건강한 식사
휴식
느린 움직임, 느린 생각
마음이 급해질 때에 마음을 급하게 하는 것을 제거
이 글을 (블로그를) 자주 읽을 것
물 적게, 커피 금지 never
잠 편히
눈 감고, 숨 깊게


휴 옴 -
Posted by water_
,

정기적 커피를 끊은지 3개월 정도가 지났다. 커피를 마시면 잠이 오지 않는다. 알면서도 어제는 커피를 두 잔이나 마셨다. 꿀을 가득 담아 마시는 커피가 왜 그리 맛있는지 .. 망설임 없이 드립 커피 두 잔을 섭취한 후 잠이 들지 않는 것은 당연했다. 하지만 밤을 꼬박 새리라고는 .. 그레이스 아나토미를 시즌 1 에피소드 1 부터 보기 시작하였고, 4시 쯔음 밥도 먹었다. 잠이 없는 날은 논리도 없다. 아침부터 학교 근처에서 어슬렁 거리다 결국 스타벅스에 앉았다. 스타벅스에 이렇게 많은 사람이 온다는 것이 믿겨지지 않는다. 번창하는 만큼 소비층이 있다는 것은 당연할테지만, 신문지 맛의 음식들과 묽은 커피를 이리도 좋아 할 수 있다니 .. 참으로 기이한 일이다. 확실히 사회는 감각보다 대중을 따라 움직이는 것 같다.
근래 소화기능이 사라졌는지 속이 좋지 않다. 배고픔은 너무나 번거롭다. 생선튀김과 고구마로 산지 2개월이 넘은 듯 하다. 마침 생선튀김이 떨어져 메뉴를 바꾸어 볼까 생각도 해보지만 딱히 넘어 갈 수 있는 음식이 없다. 냉동생선튀김은 편리하다. 맛있는 외식을 해야지 마음을 먹고도 딱히 갈 수 있는 곳은 없는 듯 하다. 무엇을 먹느냐보다 누구와 먹느냐가 중요 한 것 같은데 마땅히 아무때나 밥을 먹자 할 친구가 없다. 안타깝다.
수업 중 귀여운 친구를 사귀었다. 친구라는 단어가 어색하기는 하지만 덕분에 수업이, 학교가, 생활이 한 층 재미있어졌다. 재미없지만 개구진 농담을 즐기고 코 맹맹이 모기 목소리를 가졌다. 요상하지만 귀엽다.
백인 남자가 드립 커피에 크리머를 부어 나간다. 걸음 사이로 검은 정장바지 속의 파란 양말이 보인다, 맛 없는 커피를 마시며 귀여운 양말을 신은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하며 살까.. 휴 , 북적대는 사람들에 속이 울렁거린다. 귀에 음악을 꽂아도, 틈새로 흘러들어오는 잡음에 괴롭다. 이어폰을 빼는 순간 세상의 소리는 정말이지 싫다. 눈 화장을  짙게한 고등학생들, 커피를 통으로 사가는 회사 직원들, 이 시끄러움 와중 비즈니스를 이야기하고 있는 아저씨 둘. 세상 사람들이 좋은 날이 있는가 하면 오늘은 다 싫은 날이다.
못 자서 괴롭다, 수업까지 네시간이나 남았는데 .. 왜 그랬을까 - 왜 논리적으로 생각하지 않았을까. 십분만 고려했더라면 커피를 마시면 잘 수 없다는 것을 인지했을테고, 커피를 마시지 않았을텐데, 왜 몸은 정신과 분리되어 움직였을까 .. 머리가 아프다, 아 수업가기 싫어.. 휴우 그래도 모기소리 보러 가야지이 - 역시나 친구가 최고이다. 사람이라고 모두 같은 사람이 아니라는 것. 기운을 내자 !
글을 올린 후로 다섯 시간이 지났다, 개미스트리는 듣고 바이오는 듣지 않고 귀가. 바이오를 들었더라면, 학교에 네 시간을 더 있었어야 했음으로 도저히 그럴 수는 없었다.. 집에와서 미쳤다. 역시나 잠이 없는 하루의 괴로움이란 , 하아 정말이지 이대로 죽는 것인가 싶다. 건강이 새로운 아픔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전과는 다른, 근래 속이 좋지 않았던 이유가 있었다. 식초를 과히 섭취해 속이 너무 산성이여 그런가 싶었지만 그 따위의 이유가 아니였다. 나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히 나 자신이였고, 이제는 견디기 힘든 단계에 다다른 것이다. 오히려 지금껏 버텨내준 나의 몸이 신기 할 정도이다. 하아, 오랜만에 죽음이라는 생각이 들며, 잠이 없는 하루는 살지 않은 것 만 못하다는 것을 다시 느낀다.
다시 자신을 잡기 위해 새로운 실천을 다짐해본다. 하루하루 건강을 위하여, 알뜰히 꾸준히 노력해보자. 살기 싫지만 힘을 내자.

Posted by water_
,


단순한 tv series 이지만 생활에 즐거움을 준 Dwight 사랑한다


'문화생활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Agora (2009) 아고라  (0) 2011.06.10
Local Colors (2006)  (0) 2011.06.07
장화, 홍련 (2003) Tale of Two Sisters  (0) 2011.05.10
Outsourced (2006) 세계화 따위  (0) 2011.05.10
Basketball Diaries (1995) 바스켓볼 다이어리  (0) 2011.05.10
Posted by water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