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icious'에 해당되는 글 616건

  1. 2012.08.22 '파페포포의 메모리즈' 아직임을 알게 해 준
  2. 2012.08.22 김제동이 만나러 갑니다
  3. 2012.08.15 대한민국의 국기, 태극기의 상징 및 의미
  4. 2012.08.14 Jeff Buckley 인터뷰 & Grace
  5. 2012.08.14 8월의 중턱, 어느 사이 시간은 흐르고. 나에게 주는 선물.
  6. 2012.08.10 밥만드는 Sigur ros 시규어 로스 Jonsi & Alex 귀요미
  7. 2012.08.10 시규어 로스 Sigur Ros 잊지 못 할 환상의 공연 - 꿈만 같은, 아름다움
  8. 2012.08.08 Nexus 7 와이어드 Wired 리뷰, 최상의 안드로이드 태블릿
  9. 2012.08.06 새 노트북, 추억이 담긴 기계 & Wired 의 리뷰 - 삼성 Series 9 2012
  10. 2012.08.06 8월의 시애틀, 감사한 사랑스러운 많은 이야기들의 여름
  11. 2012.08.06 시애틀 Seattle 북미주 청춘콘서트 "우리 함께 희망을 만들자"
  12. 2012.08.06 Seattle 맛있게 먹기 Restaurants
  13. 2012.08.06 Seattle 알차게 즐기기 즐거운 여행지
  14. 2012.08.06 Seattle 에서 California 그리고 다시 Seattle
  15. 2012.08.05 우리 태지 서태지 seotaiji 감동 눈물 플래쉬 몹 하트하트
  16. 2012.08.02 동거자 housemate 찾기, 받지 않으리 스트레스, 자리 잠.
  17. 2012.07.27 사랑과 love 인내심 patience - 7월을 보내며
  18. 2012.07.20 여름 중턱의 일상, 엄마 미안해 고마워 사랑해 괜찮아 잘 할게
  19. 2012.07.14 온라인 교육의 선두주자 Khan Academy 의 설립자 Sal Khan 이 시대의 새로운 교육 방법
  20. 2012.07.14 TOE 모든 것의 이론 Theory of Everything



파페포포 투게더

저자
심승현 지음
출판사
홍익출판사 | 2003-10-02 출간
카테고리
만화
책소개
2003년 상반기 베스트셀러 파페포포 메모리즈에 이은 파페포포 ...
가격비교


100% 이해는 할 수 있어도 120% 찡하게 와닿지만은 않은 이야기들. 나는 아직 어리구나 경험 할 것이 많이 남아있구나, 를 알려준 이야기들.




Posted by water_
,



김제동이 만나러 갑니다

저자
김제동 지음
출판사
위즈덤경향 | 2011-05-20 출간
카테고리
시/에세이
책소개
사람을 사랑하는 MC 김제동과 우리 시대의 뜨거운 현실을 반영하...
가격비교


세상에 사람은 많고 다양하다. 개인마다 지향하는 바 또한 많고 다양하다. 이따금,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이들이 있다.


나의 20대를 보다 열심히 지내야겠다, 느낀다.


Posted by water_
,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A%B5%AD%EA%B8%B0 

태극기는 《주역》계사상전(繫辭上傳)에서 나와 있는 태극→양의(兩儀)→사상(四象)→팔괘(八卦)라는 우주 생성론을 나타내는 태극도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조선의 태극 팔괘도는 복희 선천 팔괘(伏羲先天八卦)가 아닌 문왕 후천 팔괘(文王後天八卦)이다.[2]

원이 나타나는 태극은 만물을 생성시키는 근원을 의미하며 도교에서는 태소(太素), 탄드라밀지에서는 카르마무드라라고 하며 사고의 개입이 없는 순수하고 완전한 행위를 의미하는 무아전위(無我全爲)의 우주일체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상징한다.

원 안의 모양은 음양 양의를 나타나고 4괘는 팔괘(八卦)를 대표하는 사정괘(四正卦)를 나타내는 것과 동시에 그 하효(下爻)와 중효(中爻)로 태양(太陽)·소음(少陰)·소양(少陽)·태음(太陰)이라는 사상(四象)도 나타낸다.

[편집]사괘

구분이름(卦名)자연(卦象)계절(季節)방위(方位)사덕(四德)가정(家庭)오행(五行)의미
Palgwae Geon.svg건(乾)천(天, 하늘)동(冬, 겨울)북(北)지(智)부(父)수(水)지혜
Palgwae Gam.svg감(坎)일(日, 해)춘(春, 봄)동(東)의(義)중남[子]목(木)정의
Palgwae Gon.svg곤(坤)지(地, 땅)하(夏, 여름)남(南)인(仁)모(母)화(火)생명력
Palgwae Ri.svg리(離)월(月, 달)추(秋, 가을)서(西)예(禮)중녀[女]금(金)결실

사괘는 본래 팔괘 중에서 넷을 선택한 것인데, 팔괘는 중국에서 삼황으로 떠받들고 있는 태호 복희가 만든 것이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복희는 동이족으로 서술되고 있으며, 그가 팔괘를 처음 만든 사람이라고 밝힌 것은 《주역》 계사전이 최초이다. 다만 조선에 복희 선천 팔괘가 아닌 그것을 고쳐서 만든 문왕 후천 팔괘를 따르는 까닭은 복희가 팔괘를 만든 까닭이 우주 생성 원리를 설명하려 함인 반면 문왕은 우주 생성 원리를 인간의 치세 원리에 반영(“선천 변위 후천도”에서 이르는 〈“자연조화의 체”를 “인사의 용”에 적용〉한다는 사상)하려고 만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주장에서는 팔괘에서 “넷을 제하여” 만들었다고 하였으나, 근래에는 “선천 변위 후천도”에서 선천 팔괘와 후천 팔괘의 관계를 밝히어 팔괘 가운데 “넷을 선택하였다고” 밝히고 있다.[2]

'여행 > 한국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한국 방문  (0) 2014.02.25
음성군 소이면 미타사 "동양최대 지장보살 성지"  (0) 2011.08.08
Posted by water_
,



Posted by water_
,

비 현실적으로 지나가는 시간 .. 어느 사이에 8월 중순이라는 시간에 도착. 동생은 떠났고 이사를 했고 학기말 고사만을 남겨두고있다. 4년동안 사용한 노트북을 교환하고 태블릿도 구입했다. 

좋은 분들과 좋은 여름을 보내고있다. 감사하고 행복. 배울 것이 참으로 많다, 침착함 의연함 배려. 


일단 저지르면 해결은 된다

언제나 채워지지 않는 여행에 대한 갈증. 여행을 가자. 금전적인 값은 생각치 않기로. 금전적 소비가 다른 어떠한 소비보다 저렴하다. 신체적 정신적 건강, 시간, 에너지 등 이야말로 값진 것들. 금전적 소비로 보다 값진 것을 얻을 수 있으니 여행은 득이다. 

현재 부족한 것은 오히려 시간. 보다 작은 단위의 시간들을 의식적으로 사용 할 것.


두가지 생각 1. 건강하자 2. 돈 쓰고 싶다


이 만큼 마음과 생활이 편안한 것이 얼마만이냐, 얼추 5년만인 것 같다. 이제서야 유학이라는 생활에 적응이 되나보다. 떠나기 전부터 어렵고 지치기만 했던 이 생활에, 이제서야, 어느 사이에 평안을 찾았구나.


뒤척이다 결국 일어난 0700시. 방학이 시작하고 가장 일찍 일어난 오늘이다. 세수를하고 끼니를 먹고 카페를 향한다. 시애틀 8월의 마지막 주 아침은 서늘하다. 카페 도착, 춥다. 바리스타마저 카페가 freezing 이라며 중앙난방을 비난한다. 온도조절은 카페 본사에서 조절한단다. 8월 이라면 얼추 더울 것을 예상하여 찬 공기를 이리 쏟아내나보다. 하지만 춥다, 하지만 본사는 이 따위 속 사정을 모른다. 이래서 싫다 대기업. 하지만 깔끔한 시설에 찾게되는 대기업의 카페 체인점, 자본의 속물이 된 나의 모습이다. 오우 추워. decaf 를 시켜야하는데 그 조차 잊었다. 결국 내 앞에 놓여진 16oz 의 까만 카페인 .. 몇 개월만에 카페인을 과다 섭취하니 속도가 빠르다. 어젯 밤의 설친 잠에 이어 오늘도 잠을 설치지 않을까 싶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생활, 어렵기도 했고 아직 아쉬움도 많지만 상당히 감사하고 보고딘 생활이다. 마음을 놓았고 어떠한 결과에도 슬프지 않을 것 같다. 공부가 재미나기 시작했다. 계절학기도 끝났고 이제서야 시험에 집중 할 수 있어서일 것이다. 천천히 한 칸 씩 쌓인 배움들이 이제서야 하나 둘씩 유용하기 시작하다, 이대로 하루하루 용량을 늘리면 될 것이다. 역시나 오랜 시간의 투자는 배신이 없다. 보다 많은 알찬 시간들을 투자했더라면 보다 월등한 결과가 있었을테지만 후회하지 않는다. 만족스럽지만은 않지만 앞으로를 기약하리.


운동을 시작했다, 건강해지는 기분 참으로 좋다. 육체적 정신적 건강 뿐 아니라 생활, 하루의 시간 흐름도 부드럽다, 운동만큼 좋은 것은 드믈다. 체육관 gym 기구들 운동은 처음인데 제법 재미지다. 무게 weight 는 들지 않으나 심폐운동 기구들 cardiovascular exercise machines 위주로 사용한다. 멋진 근육인들은 모두 여기에 있었구나 싶다. 눈은 하트모냥 푱푱 나두 근육인이 되고싶다. 복근을 만들어 배에 1.1 을 만들고싶다. 익사이팅. 운동을하고 상쾌샤워를하고 식사를 하고 다시 찾은 카페, 여전히 춥다. 뜨거운 음료를 한 잔 더 마시며, 오후를 보내고있다. 카페의 모든 사람들이 여유로왑 보인다, 내가 여유롭다는 증거


감사한 아름다운 가족.

어제와 같은 시간, 같은 공부. 같은 카페에 같은 사람들과 앉아서 같은 음료를 마신다. 갈 길이 멀지만 온 길도 제법 오래더라. 끝이 다가오니 더욱이 처음이 기억난다. 부모님은 이미 내가 들어오기를 즐거워하시며 기다리신다. 감사한 아름다운 가족.


생각을 단순하자.

몇 일 아팠다. 오랜만이다. 힘이든다 지친다 피곤하다. 내일의 약속을 취소하고싶기도하지만 사람을 만남음 이로움을 기억한다. 혼자 있는 시간이 줄은 것은 참으로 잘 된 일이다, 다행이다. 아쉽고 어렵지만 괜찮다. 기운을 내자. 근래 운동을 시작하였으니 새로운 의지와 기운, 에너지와 정신적 버팀을 찾자. 즐겁고 고마운, 생활의 중심이 되어주는 운동. 그것에 기대를 걸어본다. 

생각을 단순하자. 쉽게, 예 아니오. 안된다, 해야 하는 순간들을 안된다, 정확히 결단력있게 강한 의지로 깔끔히, 결정하고 실천하자. 생각이 행동을 낳을 것이다. 자세가 결단을 낳을 것이다. 할 수 있다, 잘 할 수 있다. 건강하자. 힘들지 말자 아프지 말자, 아름답게 순탄하게 편안하게 즐겁게, 행복하게 하루하루 꾸준히 부지런히.


'집 그립다' 라는 문자가 아침에 도착했다. 동생의 기숙사가 기억나며 미안한 마음이든다. 답답하고 막막하기도 할 텐데 웃으며 지내는 모습이 마냥 신기하고 대견스럽다. 안타깝기도하고 무엇보다 보고싶다. 그리운, 마냥 오랫동안 함께 있고 싶은 가족. 어서 한국에 가고싶다. 동부에서 자리를 잡아 동생과 오랫동안 지내고싶기도하다. 잘 할 수 있다, 잘 할 것이다. 


어려서 부터 알던 가족의 꼬맹이 아들이 어느 새 항공대학생이되었다고한다. 부유하지 않은 가족이었지만 늘 성실했던 가족. 어려서도 눈빛에 강함이 있었던 아이이다. 아버지가 일터에서 다리를 잃으셨단다. 학생이고 아들이지만 가장이 된 녀석은 식당에서 손이 헐벗겨 질때까지 일을하며 학교에 다닌다고한다. 나보다 4년은 어린 아이인데 그러한 의지로 포기하지 않고 학교를 다니고 생활을 이어간다는 소식을 들으니 마냥 기특하다. 나라면 그렇게 지낼 수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부끄럽다. 세상에는 배울 것이, 반성해야 할 것들이 참으로 많다. 


건강은 행복이다.

8월의 마지막 날. 한국은 태풍으로 어수선한 몇 일이 지났고 나는 매우 안정적인 날들을 보내고있다. 무엇보다 매일 아침 학교 gym 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상당한 도움이 된다. 정신도 생각도 맑고 판단력이 무엇보다 상당히 좋다. 집에서 매일 만나는 언니 또한 생활에 큰 도움이고 즐거움이다. 혼자 있는 시간도 있지만 매일 누군가를 만난다는 안정감이 편안하고 감사하다. 덕분에 몸도 마음도 정신도 건강하다. 건강은 행복이다, 행복한 날들을 보내고있다. 

금요일. 왠 일인지 눈이 뜨인 시간은 0500시. 0600시에 gym이 열기에 누워서 태블릿을 뒤적이다 일어나 자전거를타고 gym 을 향한다. 이번 주말은 labor day weekend 로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 gym 을 닫는단다. 그래서인지 더욱 열심히 운동을 했다. 윗몸일으키기도 목표 100개에 이제서야 가까운 90개를 했다. 지금까지는 75개가 최고 많은 갯수였다. 운동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 식사 후 공부거리를 챙겨서 카페를 향한다. 개념없이 돌려대던 에어컨을 몇 일 사용하지 않아 좋았는데 다시 에어컨을 켜기 시작한 카페. 춥다. 뜨거운 커피를 마시며 잠과 추위를 밀어낸다. 공부를 어느 정도 하고 가져 온 점심도 먹었다. 집중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며 피로가 밀려온다. 숨 길게 휘유. 금요일이기도하고 기분전환 겸 쇼핑을간다. 백화점을 돌지만 무서운 가격에 마음에 드는 옷들을 입어 볼 엄두가 나지 않는다. 그러던 와중 마음에 드는 바지 발견. 바지가 필요한 상황이 아닌지라 고민을한다. 이전에는 생각없는 판단들이 많았던 반면 요즘은 제법 신중히 판단하려는 나 자신을 발견한다. 이롭다 ! 이로운 발전이다. 아무튼 근래 건강을 찾은 기념으로 바지를 구입했다. 조금은 타이트하지만 편안히 널널해지도록 운동을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는 다짐을 다시 한다. 나 자신에게 선물을 선물 한 행복한 하루이다. 고마워 :) 

장하다 윤영 고마워 미안해 괜찮아 고마워.


had the worse night of my life.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생각은 정신없이 흘렀고 손은 나의 것이 아닌 듯 움직였다. 많은 것을 더불어 큰 소리를 토해냈다. 이전과는 비교 할 수도 없는 차원의 고통. 다시는, 절대는 다시는 느끼고 싶지 않은, 다시는 반복하지 않으리라 다짐한다. draw the fucking line and say fuck no way, don't cross it. 


















Posted by water_
,





Posted by water_
,

공연은 8월 8일 오후 8시. doors open 7시. 나의 도착시간 4:30시. 입구가 보인다, 삼사십명의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 기다린다, 두시간 반. 들어가서 더 기다린다 한 시간. 

나의 뒤에 노숙자들이 줄을 서있더니 공연시간이 다가오자 누군가가 그들에게 돈을 지불하고 줄을 선다, smart. 핫도그를 파는 스탠드에서 스피커로 Sigur ros 의 음악이 흐른다. 





7시 입장. Paramount theatre, 제법 좋다. 카메라에 담기지는 않지만 제법 멋진 실내. 




무대 옆의 스피커들. 음향이 제법 좋았다, 만족. 이따금 낮은 bass 소리는 많이 울렸지만 전반적으로 음향에 신경쓰지 않고 공연을 봄.


무대에서 넷째 줄에 자리를 잡았다. 공연을 기다리며 Montreal 에서 얼마 전에 이사 온 Microsoft 의 젊은이와 두 의대생과 이야기를 나눈다. 음악, 공연, sigur ros, ambiance music, artists, writing, poetry, spoken word, bars, Seattle, capitol hill, food 등등 한 시간은 금새 지난다.

친해진 덕분에 나를 앞에 세워주었다. 뒤에 모르는 이였다면 두팔 높이 올려 폭풍 사진을 찍었을텐데 미안하여 사진이 몇 장 없고 수평 따위도 없다.



공연시작 - 노래하는 Jonsi 


활로 기타 연주






기타 통에 목소리 넣기 


bass George 








drum Orri 


건반의 Kjartan 는 "tired of touring" 이라는 이유로 투어에 참가하지 않았다. 그를 대신하는 2명의 연주자들이 투어 중. 





꿈만 같은, 아름다움 




Posted by water_
,

삼성 Series 9 과 ASUS Zenbook 을 두고 고민아닌 고민을하다가 삼성을 주문했으니 ASUS 욕망은 Nexus 7 으로 채움. 



Lucky Number 7

The Nexus 7 delivers the finest experience we’ve seen yet from an Android tablet. Photo by Ariel Zambelich/Wired

Note to all tablet makers not named Asus: This is how you make a 7-inch tablet.

The Nexus 7, the first tablet to wear Google’s Nexus brand, sets a new standard for smaller slates, proving that just because it isn’t as big as Apple’s iPad doesn’t mean it can’t be just as useful, as fast, or as fun. If you’ve been on the fence about Android, or tablets in general, this is the tablet you’ve been waiting for.

If you’ve been on the fence about Android, or tablets in general, this is the tablet you’ve been waiting for.

While the Nexus 7 isn’t a full-on iPad-killer, it far out-classes anything else offered in the 7-inch category, and most 10-inch tablets too. The Nexus 7 does this by offering smartly designed, powerful hardware and the best Android tablet experience to date. For those who only use their gadgets to surf the web, check e-mail, play games and update their social media feeds, the Nexus 7 might be an even better choice than an iPad, given how much easier it is to carry around.

But the feature that will probably be the most enticing to consumers is the price. The Nexus 7 sells for $200 with 8GB of storage. That’s the same price as the Amazon Kindle Fire and Barnes & Noble’s Nook Tablet at the same storage capacity. If you want a bit more room to download HD movies, music, games and apps, you can get the 16GB version for $250. At these prices, the Nexus 7 is frankly a steal when you compare it to what else is out there at the same cost.

The 1280×800 IPS touchscreen is beautiful. It’s the best display I’ve seen on a 7-inch tablet, and almost as good as the Asus Transformer Pad Infinity and the third-generation iPad. It’s not quite Retina display quality, but with a pixel density of 216ppi, it’s very close. Colors are balanced without being over-saturated, a common issue on many mobile devices nowadays, particularly those from Samsung.

Also absent are any software performance problems. Where the Fire and Nook suffer from unresponsiveness, slow animations and stuttering screens, the Nexus 7 screams. In fact, Google’s tablet responds as quickly and scrolls as smoothly as just about any tablet I’ve seen, no matter the size. It feels as fast as Asus’ larger Transformer tablets, and it performs as smoothly as the iPad, even when playing high definition games such as ShadowGun or playing back HD movies.

Basically, the Nexus 7 is a beast. Navigating around Android 4.1 Jelly Bean (yes, this is the first Jelly Bean tablet) is super clean. There’s no hesitation on the part of the Nexus 7 when loading magazines, books, apps, video, games, music or web pages.

This can be attributed to Nvidia’s 1.2GHz Tegra 3 quad-core processor — yep, this is the first quad-core 7-inch tablet, too. Alongside that is a 12-core Nvidia GPU and 1GB of RAM. The only noticeable delay comes when you first turn on the Nexus 7. There’s a lag of a few seconds while your content loads into the interactive home screen widgets pre-installed by Google.

The widgets show you what content — books, music, magazines, movies and TV shows — is available in the Google Play store for you to consume, via either streaming or downloading.

The various widgets give you a taste of what’s on offer from Google Play. Photo by Ariel Zambelich/Wired

These widgets make extensive use of cover art, so they are colorful and attractive. They’re easy to use, expanding and contracting as you cycle through the various options. Most importantly, they reduce a lot of the friction around finding stuff in Google Play, both for content you’ve already purchased, as well as enticing new options. The widgets are very much “in your face,” and they clearly suggest that Google intends to be your go-to destination for buying, renting and streaming digital media.

The Fire and the Nook — the Nexus 7′s primary competitors, which also follow the “device as content portal” philosophy — also offer an array of entertainment options on their home screens, but Google’s arrangement is far prettier to look and less intrusive. Amazon Fire’s shows a cludgy carousel of content, and even that’s better than the random assortment of book covers found on the Nook’s home screen.

These Google Play widgets come installed by default on every Nexus 7, but you can easily remove them and use a fully customized Android home screen of your own design. If you’re not into buying content from Google, you can download Amazon’s apps and get your stuff there. You can still get Netflix, or Hulu for video. Rdio, Mog, Spotify, Pandora and other music streaming services are there, too. This isn’t a user experience that forces you to buy all your content from one storefront.

It’s the perfect size for reading books, websites, magazines and news feeds. Photo by Ariel Zambelich/Wired

The Nexus 7 is a device tailored to consuming digital entertainment. The operating system is confined to a portrait landscape, and there’s an app tray persistent across the bottom of the homescreen. The only time the Nexus 7 shifts into landscape mode is when the content you’re consuming calls for it, such as watching a movie or playing a widescreen game.

The smaller form factor makes the Nexus 7 ideal for reading books.

The smaller form factor makes the Nexus 7 ideal for reading books, and magazines are a joy to read here as well, thanks in part to a “text view” mode that pulls the text from an article out of its magazine layout and into a more easily consumable e-book-style view.

As good as it is for running apps, the Nexus 7 did leave me with one complaint that persists across all Android tablets — there still aren’t as many tablet-optimized apps for Android as there are for the iPad. A 7-inch screen makes this deficiency much less of a problem than it is on 10-inch tablets. But for key apps like Twitter, Facebook, Vimeo, Fandango and Foursquare (just to name a few), you’re stuck using a stretched phone app. The experience isn’t horrible, but when compared to what’s available on the iPad, it’s obvious things could be better. It’s a shame too, because when it comes to entertainment, you can use the Nexus 7 to do nearly everything you can do on an iPad, but the smaller number of tablet-specific apps leaves the device feeling less capable.

I would also like the Nexus 7 to have included a rear camera, but there is a front-facing 1.2-megapixel camera that’s good for video chat and passable for photos. Bluetooth and NFC (two features common in phones but not lower-priced tablets) are included here, as well as a gyroscope and accelerometer.

The build quality on the Nexus 7 is excellent. The display looks fantastic, and the rest of the device is best-in-class. It’s thin (0.41-inches) and lightweight (about 12 ounces). At 4.7 inches wide and 7.81 inches tall, it’s small enough to fit in the back pocket of a pair of jeans. The back is covered in a black rubberized plastic that’s dimpled — it feels sort of like a pair of leather driving gloves. The design really works. The Nexus 7 looks classy, and it’s comfortable to hold with one hand or two. Throwing it into a purse, messenger bag, backpack or coat pocket is no problem at all.

Since it’s a smaller tablet, battery life is about the same as a large smartphone: 7 or 8 hours under normal use. Watching HD movies or playing games non-stop will blow through that in half the time or less. But overall, battery life is about what one would expect.

Google Now is one of the new features in the tablet’s native Android Jelly Bean operating system. Photo by Ariel Zambelich/Wired

Being a Nexus device, the Nexus 7 runs an unaltered version of Android 4.1 Jelly Bean. To put it plainly, Jelly Bean is the best version of Android Google has ever released, and on the Nexus 7, the OS feels tailored for this device.

Two major new Jelly Bean features, the Google Now info cards and a voice-activated search system, work expertly on the Nexus 7. Google Now presents the pieces of information you frequently search for in a series of “cards.” You can access these cards at any time by swiping upwards from the bottom of the screen, even while running different apps. For me, Google Now guessed I wanted to see local weather and directions from home to work (or from work to home, depending on the time of day). These two cards show up in Google Now automatically. It’s helpful, and it gives me what I’m looking for before I even request it, which is the point of Google Now. Eventually, the system will learn my frequent searches, and those cards will show up, too. You can delete cards you don’t want to see, or prioritize the most important ones.

The Nexus 7 delivers the best Android tablet experience we’ve seen so far.

Voice Search allows you to run basic web queries by asking a question rather than typing one in. It’s an extension of what’s already offered in Google’s mobile search apps, but it’s been refined for Jelly Bean. Answers come quickly — whether in the form of links, Google Now cards or a sweetly spoken response — but Google still doesn’t understand a lot of natural language or slang. You have to be pretty obvious in your requests. “Best wine shop nearby,” works better than, “Where can I get the best bottle of wine around here?”

Google Now and the speech-enabled search features are only found in Jelly Bean, and the Nexus 7 is the only way to get it for now, though it’s weeks away from arriving on Galaxy Nexus phones.

The the Nexus 7 boasts some other firsts. It’s the first production tablet built on Nvidia’s Kai program, which essentially lays out a recipe for building a quad-core tablet at a $200 price point. Before the end of the year, we’ll likely see similarly performing slates from other Android hardware partners. Undoubtedly, Amazon and Barnes & Noble will participate, though likely while running Android version who-knows-what forked into something unrecognizable and free of Google’s influence.

But make no mistake. The Nexus 7 delivers the best Android tablet experience we’ve seen so far. There simply hasn’t been a Google-powered device this compelling ever before. With a mix of top-notch hardware, a convenient and portable size, and easy access to entertainment from Google or anybody else outside of Apple and Microsoft, there isn’t much more you could want from a tablet, other than more tablet-tailored apps.

Overall, the Nexus 7 provides the best tablet experience outside of Apple’s iPad, though the Nexus 7 is far easier to carry around. This is the first Android tablet I’d go so far as to say I love using.

WIRED This is the Android tablet you’ve been waiting for. Beautiful, detailed display. Handsome design and fantastic build quality. Jelly Bean feels like it was built for the Nexus 7. The first 7-inch quad core tablet, it has Porsche-like speed and agility.

TIRED Android still doesn’t have enough tablet-optimized apps. No rear camera.

Posted by water_
,


대학교 입학과 함께 구입한 Dell XPS M1330 이 시름시름하다. 마더보드와 선풍기도 갈았지만 근래 미디어카드 문제인지 음영상 재생이 버겁버겁이다. 청소도 자주하지만 전만큼의 속도가 아니다. 건전지, 내장카메라, d 드라이브가 죽었다. 구입 후 한 달즈음 되어 콩크리트에 떨어트려 외부커버가 찌그러지기도 햇는데 아프지도 않았다. 여기저기 외상이 많다. 용량은 Terra 외장을 사용하기에 넉넉하다. 

IT 전공하던 친구는 나에게 할아버지를 사용하고있다고 했다, 하하. 나의 할아버지 노트북, 색상은 핑크이시다. 나는 핑크색을 좋아하지 않는다. 이 나이 아니면 언제 분홍 컴퓨터를 사용할까, 라는 생각에 녀석을 택했다. 한국에서 녀석을 주문했지만 나의 미국 입국날짜보다 늦게 도착하였다. 그리하여 늦게 들어오는 친구가 녀석을 나에게 배달해주었다. 미국에서의 첫 해에 오지에서 길을 잃었었다. 스마트폰이 없던 시절, 녀석을 길가에서 꺼내들어 왠 호텔을 무선인터넷으로 집으로 가는 버스노선을 검색하여 집을 찾았다. 버스에서 펼쳐서 나 버스 탔다고 무언의 동영상도 촬영했다. 외로운 밤들에 녀석으로 영상통화도 상당히 많이했다. 슬프다는 행복하다는 글도 상당히 상당히 많이 수만장을 썼다. 몸과 마음이 아파 일주일 이주일 내내 녀석과 영화만 보기도했다. 녀석을 통해 태지의 음악과 영상을 잔뜩 보고 눈물도 잔뜩 흘렸다. 녀석으로 논문도 쓰고 자료도 찾고 블로그도 쓰고 트위터도 쓰고 이메일도 수천 수만통을 작성하였다.비행기표도 예매하고 여행지도 정리하고, 친구들과 사진과 연락도 공유했다. 녀석으로 요리도배우고 이사 할 집도 찾고 원서도 작성하고 그림도 그렸다. 추억이 담겨있다. 아팠던 동안 함께 해 준 것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많이 아팠으니까. 조금은 괜하지만 의미부여가 된다 하하. 오래 버티어 준 녀석의 생명력이 고맙다. 



상당히 알뜰하게 사용했다, 뿌듯하다. 사실상 큰 문제는 아직이다. 


SNS 에 노트북 추천을 문의하니 맥 Mac 추천이 압도적이다. 애플 Apple 은 i pod 몇 개. Mac 은 사용해 본 적이 없다. 근래 잡스 전기를 읽는 터라 애플에 호감이 높은 편이다. 추천은 Mac Book Pro 와 Mac Air 로 나뉘더라. 비주류를 좋아하는 나로써는 일단 고민. 


Lenovo 와 IBM 도 관심이 간다, 아는 것도 없으면서 괜히 하하. Dell 도 상당히 만족스럽게 사용했기에 염두에 둔다. Seattle 살아서 그런가, 이 녀석이랑 정이 들어 그러한가보다. 



와중 Wired 는 리뷰를 잘 쓴다, 유용하고 재미지다. 댓글 많고 유용하고 웃기다 푸핳핳. 

http://www.wired.com/reviews/2012/06/samsung-series-9-2012/


결국 나는 다시 PC 를 구입.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Microsoft store 에서 $699 이상 값의 PC 를 구입하는 학생에게 X Box 4 GB 을 주더라 야호. Samsung Series 9 2012 15" 주문 완료.



  • Samsung Series 9 NP900X4C-A01US (2012) 
  • Notebooks
  •  
  • · $1,400 as tested 
  • · Samsung

The 2012 edition of Samsung’s well-regarded Series 9 laptop invites you to play a game of numbers. Here are the relevant digits: 15-inch screen. 15 millimeters thick. 3.7 pounds.

The last figure is the showstopper. This isn’t just the lightest laptop in its size class, it’s lighter than every 14-inch laptop I’ve reviewed and even lighter than some 13.3-inch laptops I’ve seen, too. If ultrabooks had a 15-inch category, the Series 9 would be the leader of the pack.

For users who desire broader screen real estate and a more spacious typing experience — yet aren’t willing to sacrifice portability — the 2012 Series 9 is a near-perfect pick.

But for now they don’t, and that puts the Series 9 in an interesting and unique market position. For users who desire broader screen real estate and a more spacious typing experience — yet aren’t willing to sacrifice portability — the 2012 Series 9 is a near-perfect pick.

What’s under the hood? A 1.7GHz 3rd generation Core i5, 128GB SSD, 8GB of RAM, and integrated graphics. The screen — an odd 15.0 inches — packs in 1600×900 pixels and is extremely bright. Altogether, it’s one of the most dazzling displays I’ve come across.

The Series 9 is also an impressive performer, turning in the best general application benchmark scores I’ve seen on an Ivy Bridge system to date while still pulling out 4.5 hours of battery life on a full-screen video loop at maximum brightness. Of course, it’s a no-show on graphics tests, a necessary sacrifice for a machine of this size and weight.

The design is strikingly thin, yet there's still a fine selection of ports. Photo by Peter McCollough/Wired

The Series 9 even goes above and beyond with its port selection considering its tiny size: two USB 3.0 ports, one USB 2.0, and an SD card reader, plus micro connectors for HDMI, VGA, and wired Ethernet (dongle included). Even the power brick is small enough to add only a minimal additional burden to your travel bag.

Samsung has been dinged in the past for having wonky clickpads on its laptops, and the kinks finally seem to have been ironed out here. I had no trouble with tracking and taps being registered, and the depress-to-click action works well.

If I have only one complaint (and I do) about the Series 9, it’s the keyboard. 15mm doesn’t give you much depth to work with, and the shallow travel on these keys makes touch typing difficult. At $1,400, the price may be an additional concern for some buyers, but I’d happily argue that the design and power of this good-looking laptop merit the extra outlay.

WIRED Amazingly portable and powerful, with a screen to die for. Surprisingly sturdy, tough design. “Silent mode” kills fans.

TIRED Keyboard backlighting too dim to be useful, even at highest brightness setting. Thin profile means very shallow key travel.

The keyboard suffers a bit from the thinness of the computer's case. Photo by Peter McCollough/Wired







Posted by water_
,

8월의 첫 주말. 시애틀은 일 년 중 9 개월 비가 내리고 여름은 가뭄이다. 뜨겁다, 해. 그립다, 비. 서울 날씨를 검색하니 36도란다. 올 해는 비가 많이 없나보다, 아직인건가. 그립다 장마와 소나기. 제주대학교에서 보냈던 두 해의 여름은 자주 떠오른다. 아이들, 나무, 노력이 많았다. 나와 무관치 않지만 불편치도 않은 드라마도 많았다. 시원하고 상쾌하고 편안하고 귀엽고 즐거웠다. 기억에 남는 사람을 만났고 고마웠다. 여전히 상당히 자주 궁금하다 어디서 무얼하고 지내시는지, 닮고 싶은 사람이다. 


이틀 후면 동생이 간다, 걱정 반 안심 반. 함께 있어야 할 이유들이 있고 떨어져 지내야 할 이유들이 있기에 다행이고 아쉽다. 무관히 감사하다, 착한 든든한 고마운 나의 동생. 동생이 돌아가면 공부도해야하고 이사도 해야하고 계절 수업도 마무리에 가깝다. 많이 그립고 보고싶고 아쉬울 것이다. 녀석과 십수년 가까이 남매로 지내며 가까워 진 것은 이번 여름이 처음이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사랑하고 아끼고 의지하고 그리워했는데, 멀리 지낸다는 이유로 특별히 대화 혹은 대화를 나눌 기회가 없었던 우리다. 참으로 기억에 남을, 2007년의 여름에 이어 내 생의 2번째로 행복한 추억이 될 여름이었다.



University of Cambridge 로 internship 을 떠난 친구가 사진과 정보들을 왕왕 전해준다. London 도 Cambridge 도 아름답다. 더불어 London Olympic 2012 이 한창인지라 더욱이나 부럽다. 


카페에 공부를 조금이라도 하러 왔는데 생활을 정리하다보니 몇 시간이 훌쩍이다. 나의 20대는 여유롭다. 괜찮은 것인지는 모르겠다, 판단보류. 아니 그냥 판단은 없다 하자.


동생이 오늘 자정 떠난다, 공항은 가지 않기로했다. 저녁은 이 달 말에 있을 동생의 생일 을 기념 할 겸 친구들과 룸메이트를 초대했다. 동양음식을 좋아하지 않는 룸메이트의 남자친구를 위해 미국식 음식을 살 생각이다. 케익도 살 것이다. 와인은 고민해본다. 동생에게 같이 가자니 안간단다. 미안한지 청소 핑계를 댄다. 조금은 서운하지만 그러려니한다. 

친구를 초대하려 전화를 걸었는데 다이얼이 울리는 동안 무언가 올라오면서 눈물이 쏟아진다. 얼마만에 울어보는 눈물인가. 괜찮았는데, '동생가면 공부해야지' 라는 기대감마저 있었는데, 보내기 싫은 것이 아닌데, 각자 할 일을 오히려 하는 것이 맞고 그렇게 하고 싶은데, 눈물이 난다. 막상 보내면 괜찮을 것이라 친구그 위로해준다. 맞는 말이다. 멀리 보내는 것도 아니고 마음만 먹으면 비행기 한 번에 갈 수 있는 곳이다. 고마워서 눈물이 흐르나보다.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정확한 이유가 필요치 않다. 얼마만의 눈물인가, 반갑기마저하다. 그렇게 통화를 마치고 앉아있는 동안 여전히 무언가 뜨겁고 흘러 다른 친구에게 전화를 걸었다. 음성사서함의 그녀 목소리만이 흐르고 친구는 전화를 받지 않는다. 한 숨 한 번 쉬고 자리에서 일어난다. 전화를 받지 않은 친구는, 몇 분 후 그룹 대화방에서 축구를 보는 중이란다. 축구를 보고 있었구나. 무언가 나의 눈물이 작아지면서, 오늘이 다른 날과 다르지 않음을 느낀다. 별 일 아니다. 축구만큼의 별 일도 아니다.


어제 아침은 왠일인지 식욕이 좋았는데 어제 저녁부터 양이 급하게 줄었다. 따듯한 날씨 때문인지 싶었지만 오늘은 제법 선선함에도 불구하고 점심을 적게 먹었다. 숨이 길어지고 심박이 느려지고 마음이 편안하고 눈가가 풀린다. 편안하게 덤덤하게 괜찮은 마음으로, 하루를 보내고 있다.


동생이 떠났다. 자정 비행기를 기다리는 하루는 기이하고 심한 긴장으로 집중도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 친구와 룸메이트들를 저녁에 초대하고 메뉴를 하나씩 준비한다. 동생이 같이 가지 않는다더니 미안했는지 같이 간다더니 할 일들을 생각하니 번거로운지 가지 않는단다. 미안한지 먼 곳이냐고 다시 물어본다. 괜찮다하고 문을 나선다, 미안한지 잘 다녀오라고 문자가 온다. 가게를 세 군데 들린다. 음료를 구입하고 식재료를 구입하고 조리된 음식도 구입하고 집으로 향한다. 음료를 냉장고에 넣고 음식들을 하나 둘 준비한다. 준비 끝. 저녁 시간은 멀었다. 

동생은 5주 동안 사용한 이불 베게 쿠션커버 수건, 그리고 나의 세탁물들을 세탁한다. 세탁기와 건조기를 대여섯번 돌린다, 하루종일 돌린다. 친구들이 도착하기를 기다리며 무엇인가 필요한지 나의 무릎을 킁킁거리는 강아지와 산책을 나선다. 친구의 남자친구와 문 앞에서 마주친다. 강아지와 셋이 산책을한다. 같은 집에 5개월을 지냈지만 이렇게 길게 이야기를 나눈 것은 처음인지 싶다. 학교, 인턴쉽, 고향, 가족, 일 등에 대해 소소한 이야기들을 주거니 받거니, 산책 길이 즐겁다. 착하고 좋은 사람들. 집에 도착하고 동생과 짐을 정리한다. 친구가 도착한다. 침대에 누워 한참 이야기를 나눈다. 이런저런 기회가 없었던 이야기들을 나눈다. 고맙고 미안하고 고마운 친구, 무엇 보다 소중한 시간과 추억을 나눈 친구. 

마지막 친구가 도착한다. 기다리며 배가 고파진 우리들, 식사와 이야기를 나눈다. 다른 곳에서 다른 것들을 경험하고 지낸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를 나눈다. 재미도지고 신기하기도하고 그냥 마음이 편안하다. 종일 혼자 안절부절 가만히 있지 못하고 진정하지 못하던 시간과 달리 세네다섯시간이 훌적 흐른다. 어느 새 떠날 시간이 다가오고 케익을 푸르려는 찰나 고모와 고모부가 도착하신다. 두 분을 안으로 초대한다, 계획치 않은 즐거운 서프라이즈. 에스프레소 케익에 초를켜고 노래를 부르고 사진을 찍고 케익을 나누어 먹는다. 그리고 시간에 밀려 떠난다, 굳바이. 급하게 안녕, 이게 나을 것이다. 접시들을 닦고 그릇들을 닦고 팬을 닦고 수저 포크 나이프 컵들을 모두 닦는다. 싱크대 식탁 조리대도 닦는다. 동생을 위해 만들어 둔 커리도 버리고 사 둔 태국 음식들도 버리고 밥솥의 밥도 버린다. 녀석이 아니면 먹지 않을 음식들, 모두 버린다. 남은 음식들을 접시에 정리하여 냉장고에 넣는다. 룸메이트들에게 부디 부엌의 모든 음식들을 먹어도 좋다고 메모를 남긴다. 끝. 

슬플 수 아쉬울 수 어려울 수 있었을 밤인데 참으로 행복하다, 상당히 감사하다. 공항으로 향하는 동생에게서 문자가 온다, "thank you for everything"


thank you for everything




















Posted by water_
,

Posted by water_
,

Bellevue & Issaquah

Z Teja's Southwestern Grill - Bellevue Square Mall 

Wild Ginger - Thai, Bellevue Old downtown 

Monsoon East - Vietnamese

India Gate - Indian, Eastgate   


Sushiman - Issaquah





Seattle

Homegrown - Fremont 

Flying Apron - vegan bakery cafe, Fremont 


Sitka and Spruce - Capitol Hill

611 Supreme - Capitol Hill

Oddfellows - Capitol Hill

Vivace - Cafe, Capitol Hill

Kingfish Cafe - brunch, Capitol Hill


Chaco Canyon Organic Cafe - U district 

Specialty's Cafe - U village


Le Fournil - Eastlake 

Musashi - sushi, Wallingford


La Panier - bakery, Pike Place

Maneki - sushi, International district

Umi sake - sushi, Belltown 


Le Pichet - French, Queen Anne

Lark - French, First Hill

Cafe Presse - French, First Hill

 




Bainbridge island WA

모든 음식이 맛있음 (모든 가게들이 5시 쯤 닫음으로 일찍 갈 것)

Cafe Nola

Treehouse Cafe 

Pegasus Coffee House 

Four Swallows - Italian 

Mora - dessert 


Posted by water_
,

* 추천 


Seattle Downtown & 근교

Pike Place Market

Seattle Public Library

Pioneer Square 

Alki Beach

Discovery Park 

Bainbridge Island - Downtown Seattle 에서 Ferry 로 이동


Ballard  

Fremont 



Parks & easy Trails near Seattle

Point Defiance - Tacoma WA

Olympic National Park - 큼

Whidbey Island - Mukilteo WA 에서 Ferry 로 이동

San Juan Island 

Lake Chelan - Chelan WA 

Twin Falls - North Bend WA


Canada

Victoria - Victoria British Columbia 




Posted by water_
,

Seattle 출발 

Korean War memorial - Olympia WA

State Capitol Dome, Washington Supreme Court - Olympia WA


Oregon

Shopping - Portland OR (northwest OR) 

Shakespeare Festival - Ashland OR (southwest OR) 사랑스런 마을


Northwest ~ Southwest California

Redwood National Park 

Point Reyes National Seashore - north of San Francisco CA 아름다운 해안선 절벽 공원

Golden Gates Bridge - San Francisco CA 

(서남 해안선 따라 도시들에 엣 Catholic Cathedral 들이 많음)

Monterey Aquarium - Monterey CA

Santa Barbara Beach - Santa Barbara CA 근처 도시들도 예쁨


Southeast ~ Northeast California

Six Flags - 놀이공원 Santa Clarita CA 

Yosemite National Park 

Lake Tahoe - 산위의 바다같은 호수 Amazing ! 




Posted by water_
,

태지도 태지 음악도 성향 신념 모두 좋지만 팬덤도 너무너무 너무너무 좋다. CGV 플래쉬 몹 하모니 들으면서 카페에서 코 징 눈물 흐엉. 






Posted by water_
,

오 스트레스 게이지 상승 폭발. 간만에 손이 떨리고 잠이 오지 않는다. 살던 두명의 룸메이트들이 개인적인 이유로 계약이 끝나자 이사를 간다. 한 명은 말레이시아로 다른 한 명은 남자친구와 친구들과 집을 세내어 살기로 했다. 나에게 함께 가자는 룸메 그녀. 고맙지만 사양. 나는 이사를 할 생각이 없는데, 이 가구들을 어찌 옮기며 책들을 상자에 넣을 생각만해도 속이 메쓱하다. 

집 주인은 무슨 생각인지 두명의 룸메이트를 내가 구하지 않으면 세명의 그룹을 본인이 구해서 계약하겠단다. 집세도 올리고 나에게 무슨 불만이 있으신지 성이 나셨다. 룸메이트를 구하여 이 집에 남는다 하여도 집주인과 지낼 생각에 불편하다. 이사 갈 집들을 알아보기도 했다. 이 동네 집 광고는 모두 읽었다. 하지만 짐을 옮기고 푸르고 새 집에 적응 할 생각은 하고싶지도 않다. 

어제는 자다가 새벽 두어시에 깨어 잠이 들지 못해 약을 먹고 잤다. 오늘도 새벽 다섯시에 깨어 집 광고를 보고 이메일을 보낸 사람들에게 답장을하고 집을 보여 줄 계획을 세우고있다. 


이게 사는건가. 공짜로 주는 걸지도 ..

이사를 가야하나 싶어 룸메이트를 구한다는 글을 보고 방을 보러 갔는데 마음에 들었다. 내일 보여주기로 한 사람에게 보여주고 연락을 주겠다했다. 이메일 보낸 결과, 그 사람이 아직 방을 안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렌트의 80%를 낼테니 본인에게 방을 달라고 하였단다. 오늘은 누가 현재 지내고 있는 집을 보러 오기로 하였다. 나 또한 다른 방을 이번 주말에 보기로 하였다. 


룸메이트는 내가 함께 이사를 가지 않아서 성이 났는지 냉랭한 태도를 한껏 보인다. 사람이 어떻게 저렇게 변하나 싶을 정도로 놀랍다. 그렇게 수다를 떨고 즐거워하고 궁금해하던 모습은 모두 던지고, 집에 들어오는 길에 나를 마주치자 Bye 란다. 내가 집에 없는 줄 알았는지 남자친구에게 나의 이야기를 하는데 어떻게 저럴 수 있나, 서운하기도하지만 당황스럽다. 함께 같은 집으로 이사가자고 새 집에 대해 참 많이 설명해주고 이야기해주었지다. 그녀와 그녀의 친구들은 물론 좋은 사람들이지만 함께 이사를 갈 마음이 생길 정도는 아니고 굳이 그 집에 내가 들어가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물론 일이 해결되니 편리하겠지만 그렇게 그들과 가까워지고싶지는 않다. 아무튼 성이 났는지 나의 뒤 아닌 뒤에서 그런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에 실망이다. 





집 주인은 아래 광고를 올렸다. 내가 방 하나 쓰고싶다고 이사 가고싶지 않다고 했는데 방이 3개 비었다고 올리다니 !




$2250 / 3br - 1350ft² - 2.5BA Walk to UW. Move in mid-Aug. Modern Townhouse.50th & 11th. (University District 50th & 11th) (map)


Date: 2012-07-21, 9:46AM PDT
Reply to: qvzj8-3153874740@hous.craigslist.org [Errors when replying to ads?]

Pre-leasing for Fall. Available mid-August. 

Live in the heart of UW. Walk or bike to Burke Gilman, University of Washington Campus, The Ave, Wallingford, Fremont, Greenlake, Trader Joe's...easy access to everything.

Offered for rent is a townhome which features a modern kitchen - slab granite counter top, stainless steel appliances, wood cabinets, and gas stove.
Live "green" and save on your utility bills. Each room has separate heater thermostat.
The townhouse has 2.5 bathrooms. No more sharing...even with guests...there is a half bath for them on the main floor. Townhouse has a total of 3 toilets and 2 full bathtub/ shower.
Washer and dryer in the unit. Not need to go to the laundromat.
Garage space for one small car and storage.
Small backyard for a BBQ.
Bedrooms layout are large master bedroom with full bath (top floor), medium bedroom with adjacent full bath (top floor), and small bedroom (ground floor).

All tenants must have a credit check or parent co-signer.
Security deposit of $2,250. Total needed for move in is $4,500 = first month's rent ($2,250) + security deposit ($2,250)
Prefer no pets but negotiable depending on size and deposit.


MAKING APPOINTMENTS. Please email and I will give you contact details. 

image 0

image 1

image 2

image 3

image 4

image 5

image 6

image 7


11th Ave NE at 50th (google map) (yahoo map)



























괜찮을 것 이다, 다행이다

몇 일이 지났다. 방을 구한다는 광고들에 수십 통의 이메일을 보냈지만 답장은 둘. 룸메이트를 구한다는 광고들 중 마음에 드는 곳을 2 곳 찾았다. 괜찮을 것 이다, 다행이다.

8월의 첫 주가 지나면서 집을 구하는 사람들이 늘었는지 아침에 이메일이 네통이나 와있다. 타지에 사는 여학생이 방을 보러 올 수는 없지만 계약을 하고 싶다는 이메일과, 오늘 방을 보러 오겠다는 이메일과, 이번 주에 방을 오겠다는 이메일 두 통. 모두에게 답장을 보내고, 방을 보러 방문한 법대생에게 20여분간 집을 보여주었다. 마음에 들어하였고 application 을 작성하고 싶다고 했다. 그렇게 룸메이트 두 명이 구해졌다. 얼마 전에 단기간으로 이사 갈 만한 곳도 찾았고, 이메일을 보낸 결과 집을 보여주신다고 하였다. 하지만 룸메이트들이 구해 질 경우 이사를 갈 필요가 없기에 일단 보류해두었다. 친절한 언니분 께서도 선뜻 룸메이트를 하자고 제안해주셨다. 

설상가상이던 룸메이트 고민은 이렇게 여러 가능성들이 열렸다. 마냥 감사 할 따름. 걱정과 스트레스로 잠도 설치게했던 고민이 풀릴 기미가 보이니 참으로 다행이다. 






Posted by water_
,

el oh veeh yi - that spells love 

i want to i want to i want to fall in love.



i also want to shop, haha.notice my size .. shame ! 

pants and shoes and top were all soooooo comfortable ....... 매장에서 입어 본 십여벌 중 마음에 들었던 녀석들, 꿈에 나온다 지를까.


Now is forever


울구싶다. 간만에 별 일들이 있다. 친구가 떠났고 친구가 성이 났다. 동생이 곧 떠나고 룸메이트도 곧 떠나고 학업은 뒷전이다. 시험은 다가오고, 따라서 속이 좋지 않으며 마음이 편치 않다. 좋은 일을 생각해보자. 친구는 겨울에 만나면 되고 친구는 언젠가 성을 풀 지도 모르고, 동생은 멀지만 가까이 있으며 새로운 룸메이트를 분명 찾을 수 있을 것이고 학업은 시험이 둘이나 남았다. 다가오는 시험은 마음 편히 부담 없이 보기로 하였으며 속은 좋아질 것이고 마음도 편해질 것이다. 지난 몇 주 몇 개월 동안 참으로 편안하고 감사한 생활들을 지내었다. 오랜만에 이러한 불편함을 느끼자니 반감이 보다 크게 이른다. 하지만 이제는 '인내'라는 것은 참으로 실천해보련다. 방법을 바꾸어야 발전이 있을 것이니 방법을 바꾸기로 하였다. 나 자신을 아기 다루듯 일시적 선택들에 넘어가지 않고, 조금 더 참아보자. 이 순간을 슬픔에 빠져 어루고 달래며 슬픔을 연장하기보다, 슬픔을 인정하고 해야 할 일들을 정리하는데에 시간과 에너지를 사용하자. 내 그 동안 낭비한 시간이 얼마나 많던가 .. 기운내라 윤영.



1344시 졸립 눈이 무거운 오후. 아이스 티 한 잔을 두고 교과서를 읽는 중. 친구와의 대화, 아무도 방문하지 않은 오픈 하우스, 몇 통의 이메일. 여전히 어떻게 해야 할 지는 모르겠다. 시간이 지나면 이 모든 것이 아무 것도 아닌 일이리라. 오늘은 그저 낮잠을 한 숨 자고 싶은 날. 지난 밤 꿈에서 손바닥만한 로보트가 눈에서 레이저빔을 쏘며 공간을 인지하고 나를 따라다니며 나의 신발을 물어뜯고 우리를 쫓아오더라. 도망가고 가두어보아도 쫓아오던 주먹만한 동물형태의 로보트. 꿈 속에서 한참을 도망다니고 일어나니 등교시간, 온 몸은 운동을 실컷 했다는 듯이 쑤시고 피로하다. 

카페의 화장실 거울에서 내가 아닌 듯한 사람이 보이면서, 지난 세월동안 내가 아닌 내가 머물렀나 싶다. 알아보기 어려운 모습을 하고있는 나, 누구인지 모르겠다. 건너 테이블의 한 여성. 늘어진 흰 니트 스웨터를 입고 샌드위치에 샐러드에 후식 브레드까지 우물우물 잘도 먹는다. 작은 몸에 많이도 들어가는구나 싶다. 

집에 가서 한 숨 자야겠다. 



1221시. 어제는 그렇게 낮잠을 자고 엄마의 전화에 일어나 동생과 룸메이트와 저녁을 나누어 먹고 호수 공원을 산책했다. 그러고는 이른 시간에 다시 잠들었지만 새벽 두어시에 눈이 떠지더니 괜한 고민거리들로 다시 잠이 들지 못하던 것이다. 그리하여 약을 하나 반 알을 씹어 삼키고 금새 잠을 찾았다. 아침에 일어나는 일이 어찌나 어렵던지. 하지만 수업에 가야한다는 생각에 일곱시부터 몇 번을 깨어 결국 제 시간인 아홉시에 일어 날 수 있었다. 그렇게 수업시간보다 20여분 이르게 강의실에 도착하였고 무거운 눈으로 수업을 들었다. 수업을 마치고 자전거를 어렵게 굴려 집으로 무사히 귀가. 점심을 얼추 먹고 동생의 식사도 차리고 어제와 같은 카페의 같은 자리에 오늘도 차 한 잔을 두고 앉았다. 오늘도 졸리다. 집에서 한 숨 잘까 싶었지만 어제를 반복 할 수 없기에 나를 카페에 앉혔다. 앞 자리의 엄마는 아이 둘을 데리고 점심식사를 나왔나보다. 본인의 식사를 마치고 우는 아이에게 젖을 물린다. 

동생은 곧 봉사활동에 다녀 올테고, 저녁은 외식을 하기로 하였다. 

생소한 나라에서 한 1년 봉사활동이나 하고싶다.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 하루하루 살아가는 날들을 지내면 마음이 가벼워지지 않을까. 1개월도 2개월도 짧게 느껴지는 요즘, 무게감잇는 시간을 순간적인 감정에 투자하고싶다. 언제나 미래를 위해 지금을 보내지만 지금만을 위해 보내는 시간들을 지내고싶다. 마음이 피곤하다. 친구들을 한국으로 보내고 동생 또한 곧 보낼 생각을 하니 마음이 헛헛한 것이 울고싶은데 울지 못한지가 제법 지났다. 

몇 년 전 기억 추억들을 생각하자니 왜인지 휑 한 것이 겁까지 난다.  무서워. 나 왜 이러지.


















Posted by water_
,

목요일. 아침에 일어나 동생을 깨우고 나는 수업을 향하고 동생은 봉사활동을 향한다. 수업을 마치고 도서관을 들렸다가 시간을 보내고 다음 수업을 듣고 그렇게 이래저래 집에 돌아오니 오후 4시. 부엌에서 식사를 준비하고 있자니 동생이 문을 열고 들어온다. 계단에 누워 나를 처다보던 강아지가 급히 아래층으로 달려내려간다. 개를 들고 동생이 걸어올라온다, 표정이 밝다. 예정된 1시간의 봉사활동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기 아쉬워 로비에서 서성대었더니 직원께서 추가적으로 할 일을 주어 5시간의 봉사활동을 마쳤단다. 몰랐던 동생의 알차고 적극적인 모습에 뿌듯하고 반갑고 즐겁다. 된장을 끓이고 있는데 한 숟가락 먹더니 싱겁단다. 된장을 더 잔뜩 부어 넣는다. 누군가 동생을 위해 보내주신 국수를 볶고 있는데 맛이 없다. 카레가루를 넣자는 의견에 그러자며 녀석이 물과 카레가루를 잔뜩 부어 넣는다. 얼추 먹을만한 카레국수가 만들어졌다. 식사를 마치고 일주일 동안 외면한 집안을 정리한다. 등산을 다녀온 세탁물들을 담는다. 동생에게 세탁기에 돌려달라니 세탁물을 들고 세탁기를 향한다. 세탁을 시작하고는 강아지를 산책시키겠다며 개에 줄을 걸어 나간다. 부엌과 방을 얼추 정리하고 있자니 녀석이 들어온다. 개가 많은 양의 대변을 보았다는 소식을 밝은 얼굴로 전한다. 구엽다. 설거지를 부탁한다. 녀석이 한다. 고맙다. 

이것 저것 마무리하고 침대에 누워 전화기를 가지고 논다. '하루 중 이제야 한 숨 돌리는구나' 싶은 생각이 들며 시간을 보니 1900시를 향한다. 잠이 온다. 잔다. 다 잤다, 일어난다. 닝기적 대다보니 과일을 얼음에 갈아먹고 싶다. 냉장고를 연다. 냉장고 내부 불이 켜지지 않는다, 어느 정도 시원하지만 덜하다. uh oh. 과연인가싶어 차고에 두꺼비 집을 확인하러 간다. 두꺼비 집은 이상 무, 그래도 부엌 전기를 내렸다 올려본다. 냉장고로 돌아갔지만 여전히 꺼져있는 냉장고. 냉동실을 열어보니 전기 돌아가는 소리가 나며 평상시의 온도와 차이가 없다. 냉장실만 고장 난 것. 룸메이트에게 문자를 보낸다. 김치를 시원한 곳에 치우란다, 하하하. 그래 그 동안 미안했다. 지금까지 아무 말 없던 부분인데 싫기는 했을 것이다. 나도 신경을 쓴다고 했지만 역시나 완전히 차단 할 수 없는 김치스멜. 관리인에게 수리공을 보내달라는 이메일을 보낸다. 냉동실은 작동하는 관계로 얼음 큐브을 마구 뽑아 큰 그릇들에 담는다. 얼음들을 냉장실 곳곳에 배치한다. 음식들아 상하지 말아다오.. 이러저러다 냉동실이 작동하는 것이 아무래도 이상하다. 전구를 갈아보자. 2300시를 향하지만, 동생을 들고 가게를 향한다. 전구와 탄산수를 집어들고 집에 돌아온다. 전구를 간다. 불이 들어온다. 냉장실 기온이 평상시보다 시원치않게 느껴졌던 것은 순전한 환상 착각이었다, 하하하! 룸메이트에게 문자를 보내고 관리인에게 이메일을 보낸다. 이렇게 냉장고는 이상 없음으로, 룸메이트의 김치에 대한 의견을 알게된 계기로 마무리.


일요일. 

반복되는 실수만큼 지치는 것이 있을까. 정도를 지나 실수는 잘못이되고 죄가되고 상처가되고 곪고 썩어 언젠가는 치유되기만을 기다리지만 치료를 하지 않는 이상 나아지지 않는 .. 아프고 쓰리고 더럽고 싫고 괴롭지만 이미 늦은 것일까 싶고 부끄럽고 그것 때문에 다른 많은 것을 놓치는 지경까지 이르는. 많이 나았지만 아직 아프다. 하지만 이제드는 생각은 돌아 갈 수 없다는 생각, 포기 할 수 없다는 마음. 한 때는 너무 아프고 아파서 그냥 이렇게 평생 아파야하나보다, 아픔을 안고 살아야하나보다, 라는 터무니 없는 생각을 하던 때가 있었다. 그에 비해면 근래의 나는 상당히 맑은 정신으로 지내지 싶다. 자신이 뿌듯하고 주위의 많은 모든 이들에게 감사하고 행복하다. 이렇게 나아지나보다. 이렇게 치유되는 것이다. 

몇 일 전 친구가 눈의 혈관이 터져 빠알간 핏줄기가 눈을 그었다. 어떤 압력이었길래 안구의 혈관이 터지는겐가. 나 또한 구토로 눈가의 핏줄이 터져 핏 자욱들이 오른 적이 있다. 여러 기억이 기억나면서 이제는 아프지 않을지라도 숨찼을 압력을 생각하니 괜히 미안하다. 앞으로는 아프지 않기를, 다시는 핏줄이 터지지 않기를 .. 어제는 친구가 깨진 유리에 베였다. 벌어진 살갗을 보니 나의 벌어졌던 살갗이 기억나며 그 쓰라렸던 기억이 마음을 절여 속이 앉지 못하고 오랫시간 잠들지 못하였다. 지금도 생각을하자니 미간이 올라가면서 속이 휑하고 얼마나 아플지 미안한 마음이 다 든다. 피부를 긋는 일은 한 순간이지만 살점이 아물기까지는 수 개월. 그 수 개월 안의 수십번의 샤워들과 설거지 손 씻기 들을 생각하면 혹시나 물이 닿을 그 순간의 아픔이 상상되면서 아프다. 아아 친구들이여 아프지 말아다오 나아다오, 안전하고 건강하오.

주기보다 20일 늦게 월경이 시작되었다. 이제라도 시작되어 참으로 다행이지 싶다. 삼개월씩 월경이 없이 지나기도한다. 유학생활이란 이런건가보다,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사는 것이 이러한가보다, 결국은 괜찮다

동생이 봉사 갈 시간인데 자고있다. 검지 손가락으로 팔목을 톡톡 두드려도 일어나지 않는다. 꾹꾹 눌러도 일어나지 않는다. 두 손가락으로 손목을 잡고 들어올려 흔든다. 눈을 뜬다. 시간을 보여준다. 뒤척뒤척 껌벅껌벅 .. 20분이 지났는데도 자고있다. 다시 손가락으로 툭툭 흔들어본다. 눈을 뜬다 껌벅껌벅 .. 녀석을 깨우고 카페를 향한다. 이메일을 확인하고 답장을 쓰고 음악을 들으며 몇가지 확인 및 정리하고 책을 잠시 보고, 오전에서 오후로 하루가 넘어왔다. 출출한 것이 동생 끝나는 시간에 점심이나 먹자 싶어 문자를 보내본다. 자느라 못 갔단다. 점심 먹기 싫단다. 녀석 하하. 흠 그래 그럴 수도 있지요. 

친구에 대한 아쉬움. 내 앞에 보이는 그 사람의 모든 움직임이 불편하다. 보고싶지 않아 만나지 않는다. 사람이 달라졌겠는가, 변한 것은 나의 시선일 뿐이다. 사람이거늘, 사람인거늘, 나의 친구. 그 무엇이 그리 실망스럽고 아쉽더냐, 나에게 기운이고 사랑이었는데, 그 무엇이 그리 불편한지. 나의 마음이 좁아져버렸다. 숨 길게 쉬고 입가를 울려본다, 마음을 놓고 쉽게 편하게 생각하자. 괜찮다 시간이 지나면 무겁고 가벼운 것들이 모아져 중심을 찾으리라. 

이야기 나누고 싶지 않다, 그냥 한 웅덩이 펑펑 울었으면 좋겠네.

엄마와 오랜만에 목소리를 나눈다. 한 두어시간 말을 나눈다. 요즘은 이래요, 당신은 어때요, 그때는 그랬어요, 그때 당신은 그랬고 그때 상황은 그랬어요. 괜찮아요 모두 괜찮아요. 아팠죠 미안해요 고마워요 사랑해요 괜찮아요. 나도 그래요 .. 걱정하신다. 행여나 소홀하셨을까, 행여나 내가 아쉬웠을까. 소홀하셨는지는 의문이지만 어린 마음에 무의식 중에 아쉽기는 했나보다. 미안하다는 말씀에 눈물이 그렁그렁. 나의 나의 스물 셋. 언제 나의 나이가 이 만큼이나 커졌는지, 머리도 마음도 어느 정도 변하기는 했나보다. 아니라고 아프지 않다고 괜찮다고 믿었을텐데, 신경쓰지 말라고 말하고 진심이었을텐데, 이제는 관심도 받고싶고 조금은 아팠어라고 말도 할 수 있을 것 같다. 엄마에게 하지 못 한 이야기, 미안해서 상처되실까 몇 년 동안 꾹꾹 누르기만했던 이야기들, 나의 부족하고 한 없이 더럽고 창피하고 수치스러운 이야기들. 무덤까지 가져갈거야 했던 이야기들, 이제는 언젠가는 엄마와 나눌 수 있겠구나 생각이 든다. 시간이 지난 만큼, 머리도 마음도 변하기는 했나보다. 

이렇게 미안하게 고맙게 사랑하며 괜찮으며, 나도 엄마도 함께 우리 모두의 하루가 흐른다.

엄마 미안해 고마워 사랑해 괜찮아 잘 할게








Posted by water_
,

MIT 2012 Commencement AddressSalman Khan gives commencement address at MIT (2012)

"principle over profit"


"smile with every atom in your body"


"take a walk through the woods forget your name, your idenTiTy, for just a little bit, realize what you are, just another animal walking towards another mammal"


"try to build true empathy for everyone"


"now i can optimize things"


"i can finally tell them how much i appreciate them. i can give the more hugs more time... i can be more source of positivity for people around me."


"thank you"


나 또한 Khan Academy 의 youtube 비디오들을 보면서 수업 공부를 하였다. 사실상 요즘 online open course 온라인 오픈 코스로 사실상 학교를 물리적으로 가지 않아도 온라인으로 왠만한 수업을 들을 수 있다. 마이클 샌댈의 course 도 물리 화학 수학의 모든 개론 수업 등 왠만한 수업을 온라인에서 만날 수 있다. 굳이 학교에 갈 필요가 없어지면서, 학비가 과소비로 느껴진다. 무튼 무관히 고등 교육 과정이 공개적으로 무료로 허용되고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MIT의 참으로 이롭고 선하고 굉장한 선택이었다. 


더불어 재밌는 것은 나의 사촌도 MIT 졸업생이고 그녀의 남편도 MIT 졸업생이다 하하하! 

나도 가고 싶다 MIT. 근래 대학원에 대한 없던 스트레스가 콩알 만하게 생기는 것을 느끼고 있었는데 다시 Sal 의 연설을 들으니 사라졌다 하하하. 기분이 좋구나.


자료: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Salman_Khan_(educator)

Salman Amin 'Sal' Khan (Bengaliসালমান খান;[2] born 1976) is a Bangladeshi American educator and the founder of the Khan Academy, a free online education platform and nonprofit organization. From a small office in his home, Khan has produced over 3000 videos elucidating a wide spectrum of academic subjects, mainly focusing on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As of July 2012, the Khan Academy channel on YouTube has attracted more than 355,000 subscribers.[3] In 2012, American magazine Time named Salman Khan in its annual list of the 100 most influential people in the world: Time 100.[4]


Khan Academy

In late 2004, Khan began tutoring his cousin, Nadia, in mathematics over the internet using Yahoo!'s Doodle notepad.[11] When other relatives and friends sought his tutoring, he decided it would be more practical and beneficial to distribute the tutorials on YouTube where he created an account on 16 November 2006.[12] Their popularity on the video sharing website and the testimonials of appreciative students prompted Khan to quit his job as a hedge fund analyst in late 2009 to focus on developing his YouTube channel, 'Khan Academy', full-time with the aid of his long time friend Josh Gefner.[10]

His videos attracted on average more than 20,000 hits each. Students from around the world have been attracted to Khan's concise, practical, and relaxed teaching method.[12]

Khan outlined his mission as to "accelerate learning for students of all ages. With this in mind, we want to share our content with whoever may find it useful." Khan also plans to extend his "free school" to cover topics such as English. Programs are being undertaken to use Khan's videos to teach those in isolated areas of Africa andAsia. He delineated his motives:

With so little effort on my own part, I can empower an unlimited amount of people for all time. I can't imagine a better use of my time.[13]



Posted by water_
,

표준 모형을 넘어서래 .. 이야말로 '후덜덜.'

beyond the Standard Model


모든 것의 이론, 그 꿈의 실현을 방해하는 우주의 불협화음

박효진기자기자2009.09.23 14:52:46 / 조회: 584

전 우주의 다양하고 복잡한 자연현상들을 단 하나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는 물리학자들의 오랜 꿈이다. 하지만 20세기 물리학의 이론은 거시세계와 미시세계를 설명하는 각각의 이론이 전혀 통합될 수 없는 상태에 있었다. 거시세계를 설명하는 상대성이론과 미시세계를 설명하는 양자역학이 각자의 영역에서만 들어맞을 뿐 서로 상통하지 않았던 것이다. 
우주가 두 부분으로 나눠진 것이 아닌 만큼 우주를 설명하는 이론도 하나로 통합될 수 있어야 한다. 물리학자들은 언젠가 이런 이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그 이론을 ‘모든 것의 이론(T.O.E : Theory of Everything)’이라 이름 붙이고 연구를 해오고 있다.

거시세계와 미시세계의 충돌
모든 것의 이론은 구체적으로는 통일장이론(Unified Theory of Field)이라고 불린다. 통일장이론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4가지 힘 - 중력, 전자기력, 강한 핵력, 약한 핵력- 을 통합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현재 중력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힘은 ‘표준모형(Standard Model)’이라는 이론으로 통합한 상태이다.
표준모형에 의하면 각각의 힘은 장(場)을 이룬다. 예를 들어 전기력은 전기장을, 자기력은 자기장을 이루고 있고 그 장들은 공간에 보이지 않는 선으로 흐르고 있다. 힘의 장에는 입자들이 퍼져있는데, 그 입자들은 힘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우리가 사물을 보려면 빛 입자가 우리 눈을 때려야 하는 것처럼 어떤 힘이 전달될 때에도 매개 입자에 의해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자기장에는 ‘광자’, 강력장에는 ‘글루온’ 입자, 약력장에는 ‘W, Z보존’이라는 입자가 퍼져있다. 이 입자들은 실험에서도 이미 발견이 됐다. 물리학자들은 같은 맥락에서 중력장에도 중력을 매개하는 입자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중력자’라고 이름 붙였지만 아직까지 실험에 의해 발견되지는 않고 있다.
이론적 계산에 의하면 중력자는 질량이 0이 되어야 한다. 중력이라는 힘은 미칠 수 있는 범위가 아주 넓은데, 질량이 0이 되어야 무한대의 거리까지 힘이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질량이 없다는 것은 공간이 평평하다는 의미를 가진다.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있는 물체는 공간을 휘게 하기 때문에 반대로 질량이 없으면 공간이 평평하다. 하지만 거시세계에서 평평하게 보이는 공간을 미세한 영역까지 확대해보니 아주 광폭하게 요동치고 있었다. 확대된 공간이 왜 요동을 칠까, 이는 초미세영역의 세계를 설명하는 이론인 양자역학의 원리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양자역학에서 양자의 개념은 ‘에너지는 불연속적으로 증가한다.’이다.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50이라는 에너지가 55로 증가하려면 에너지를 5만큼 가해주면 된다. 그리고 에너지는 50에서 55가 되기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에너지는 연속적이지 않고 어느 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에너지가 증가할 때는 서서히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한 지점에서 한 지점으로 도약하듯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뉴턴 물리학을 뒤흔드는 발견이었다.
양자역학에서의 또 한 가지 기본 원리이자 핵심은 어떤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고, 입자가 언제 어디를 통과하는 지는 확률로만 알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속도와 위치는 동시에 측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위치를 정확하게 알 게 되면 속도오차가 매우 커지고 속도를 정확히 측정하면 위치오차가 매우 커진다. 이것이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다. 이 원리는 입자의 크기가 아주 작은 미세영역에서 보이는 현상이고, 일상세계에서는 입자의 크기가 아주 크기 때문에 양자역학의 효과를 알아차릴 수 없다. 만일 미시세계에서 보이는 현상이 일상세계에서도 적용된다면 우리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악수를 할 때 손과 손을 맞잡은 위치가 정확하기 때문에 속도오차가 커져 상대방의 손을 따귀를 때리듯 아주 세게 칠 수도 있다. 또는 사람이 한 곳에 서 있는 모습은 속도가 0임을 측정할 수 있는 대신 위치오차가 커져 윤곽이 흐릿하게 퍼져 보이게 된다.
이렇게 위에서 살펴 본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에 의해, 확대해서 본 공간이 요동치게 되는 것이다. 이 공간의 요동을 양자역학에서는 양자적 요동(quantum fluctuation)이라고 한다. 이 양자적 요동 때문에 미시세계에는 상대성이론의 부드럽게 휘어진 곡면 기하학을 전혀 적용할 수 없다. 이것이 거시세계와 미시세계의 충돌이다.


자료: http://en.wikipedia.org/wiki/Theory_of_everything


theory of everything (ToE) or final theory is a putative theory of theoretical physics that fully explains and links together all known physical phenomena, and predicts the outcome of any experiment that could be carried out in principle.[1]

Many candidate theories of everything have been proposed by theoretical physicists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but none have been confirmed experimentally. The primary problem in producing a TOE is that general relativity and quantum mechanics are hard to unify. This is one of the unsolved problems in physics.

Initially, the term 'theory of everything' was used with an ironic connotation to refer to various overgeneralized theories. For example, a great-grandfather of Ijon Tichy—a character from a cycle of Stanisław Lem's science fiction stories of the 1960s—was known to work on the "General Theory of Everything". Physicist John Ellis[2] claims to have introduced the term into the technical literature in an article in Nature in 1986.[3]Over time, the term stuck in popularizations of quantum physics to describe a theory that would unify or explain through a single model the theories of all fundamental interactions and of all particles of nature: general relativity for gravitation, and the standard model of elementary particle physics — which includes quantum mechanics — for electromagnetism, the two nuclear interactions, and the known elementary particles.

While loop quantum gravity attempts to unify quantum field theory and general relativity, string theory and its successor M-theory, remain the only prominent candidates as a theory of everything.[citation needed]

Modern physics

[edit]Conventional sequence of theories

A Theory of Everything would unify all the fundamental interactions of nature: gravitationstrong interactionweak interaction, and electromagnetism. Because the weak interaction can transformelementary particles from one kind into another, the TOE should also yiel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different kinds of possible particles. The usual assumed path of theories is given in the following graph, where each unification step leads one level up:

 
 
 
 
Theory of Everything
 
 
 
 
 
 
 
 
 
 
 
Gravitation
 
 
 
 
Electronuclear force (GUT)
 
 
 
 
 
 
 
 
 
 
 
 
 
 
 
 
 
 
 
 
Strong interaction
SU(3)
 
 
 
 
 
Electroweak interaction
SU(2) x U(1)
 
 
 
 
 
 
 
 
 
 
 
 
 
 
 
 
 
 
 
 
 
 
 
 
 
 
 
 
 
Weak interaction
SU(2)
 
 
 
 
Electromagnetism
U(1)
 
 
 
 
 
 
 
 
 
 
 
 
 
 
 
 
 
 
 
 
 
 
 
 
 
 
 
 
 
 
 
 
 
 
 
 
 
Electricity
 
 
 
 
Magnetism
 
 
 
 

In this graph, electroweak unification occurs at around 100 GeV, grand unification is predicted to occur at 1016 GeV, and unification of the GUT force with gravity is expected at the Planck energy, roughly 1019 GeV.

Several Grand Unified Theories (GUTs) have been proposed to unify electromagnetism and the weak and strong forces. Grand unification would imply the existence of an electronuclear force; it is expected to set in at energies of the order of 1016 GeV, far greater than could be reached by any possible Earth-based particle accelerator. Although the simplest GUTs have been experimentally ruled out, the general idea, especially when linked with supersymmetry, remains a favorite candidate in the theoretical physics community. Supersymmetric GUTs seem plausible not only for their theoretical "beauty", but because they naturally produce large quantities of dark matter, and because the inflationary force may be related to GUT physics (although it does not seem to form an inevitable part of the theory). Yet GUTs are clearly not the final answer; both the current standard model and all proposed GUTs are quantum field theories which require the problematic technique of renormalization to yield sensible answers. This is usually regarded as a sign that these are only effective field theories, omitting crucial phenomena relevant only at very high energies.

The final step in the graph requires resolving the separation between quantum mechanics and gravitation, often equated with general relativity. Numerous researchers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this specific step; nevertheless, no accepted theory of quantum gravity – and thus no accepted theory of everything – has emerged yet. It is usually assumed that the TOE will also solve the remaining problems of GUTs.

In addition to explaining the forces listed in the graph, a TOE may also explain the status of at least two candidate forces suggested by modern cosmology: an inflationary force and dark energy. Furthermore, cosmological experiments also suggest the existence of dark matter, supposedly composed of fundamental particles outside the scheme of the standard model. However, the existence of these forces and particles has not been proven yet.

[edit]String theory and M-theory

Unsolved problems in physics
Is string theorysuperstring theory, or M-theory, or some other variant on this theme, a step on the road to a "theory of everything", or just a blind alley?

Since the 1990s, many physicists believe that 11-dimensional M-theory, which is described in many sectors by matrix string theory, in many other sectors by perturbative string theory, is the theory of everything. However, there is no widespread consensus on this issue, because M-theory and superstring theory is not a completed theory but rather an approach for producing one. All these theories attempt to deal with the renormalization problem by setting up some lower bound on the length scales possible.

String theories and supergravity (both believed to be limiting cases of the yet-to-be-defined M-theory) suppose that the universe actually has more dimensions than the easily observed three of space and one of time. The motivation behind this approach began with the Kaluza-Klein theory in which it was noted that applying general relativity to a five dimensional universe (with the usual four dimensions plus one small curled-up dimension) yields the equivalent of the usual general relativity in four dimensions together with Maxwell's equations (electromagnetism, also in four dimensions). This has led to efforts to work with theories with large number of dimensions in the hopes that this would produce equations that are similar to known laws of physics. The notion of extra dimensions also helps to resolve the hierarchy problem, which is the question of why gravity is so much weaker than any other force. The common answer involves gravity leaking into the extra dimensions in ways that the other forces do not.[citation needed]

In the late 1990s, it was noted that one problem with several of the candidates for theories of everything (but particularly string theory) was that they did not constr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dicted universe. For example, many theories of quantum gravity can create universes with arbitrary numbers of dimensions or with arbitrary cosmological constants. Even the "standard" ten-dimensional string theory allows the "curled up" dimensions to be compactified in an enormous number of different ways (one estimate is 10500 ) each of which corresponds to a different collection of fundamental particles and low-energy forces. This array of theories is known as the string theory landscape.

A speculative solution is that many or all of these possibilities are realised in one or another of a huge number of universes, but that only a small number of them are habitable, and hence the fundamental constants of the universe are ultimately the result of the anthropic principle rather than a consequence of the theory of everything. This anthropic approach is often criticised[9] in that, because the theory is flexible enough to encompass almost any observation, it cannot make useful (i.e., original, falsifiable, and verifiable) predictions. In this view, string theory would be considered a pseudoscience, where an unfalsifiable theory is constantly adapted to fit the experimental results.

[edit]Loop quantum gravity

Current research on loop quantum gravity may eventually play a fundamental role in a TOE, but that is not its primary aim.[10] Also loop quantum gravity introduces a lower bound on the possible length scales.

There have been recent claims that loop quantum gravity may be able to reproduce features resembling the Standard Model. So far only the first generation of fermions (leptons and quarks) with correct parity properties have been modelled by Sundance Bilson-Thompson using preons constituted of braids of spacetime as the building blocks.[11] However, there is no derivation of theLagrangian that would describe the interactions of such particles, nor is it possible to show that such particles are fermions, nor that the gauge groups or interactions of the Standard Model are realised. Utilization of quantum computing concepts made it possible to demonstrate that the particles are able to survive quantum fluctuations.[12]

This model leads to an interpretation of electric and colour charge as topological quantities (electric as number and chirality of twists carried on the individual ribbons and colour as variants of such twisting for fixed electric charge).

Bilson-Thompson's original paper suggested that the higher-generation fermions could be represented by more complicated braidings, although explicit constructions of these structures were not given. The electric charge, colour, and parity properties of such fermions would arise in the same way as for the first generation. The model was expressly generalized for an infinite number of generations and for the weak force bosons (but not for photons or gluons) in a 2008 paper by Bilson-Thompson, Hackett, Kauffman and Smolin.[13]

[edit]Causal dynamical triangulation

Causal dynamical triangulation (abbreviated as "CDT") invented by Renate LollJan Ambjørn and Jerzy Jurkiewicz, and popularized by Fotini Markopoulou and Lee Smolin, is an approach toquantum gravity that like loop quantum gravity is background independ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assume any pre-existing arena (dimensional space), but rather attempts to show how thespacetime fabric itself evolves. The Loops '05 conference, hosted by many loop quantum gravity theorists, included several presentations which discussed CDT in great depth, and revealed it to be a pivotal insight for theorists. It has sparked considerable interest as it appears to have a good semi-classical description. At large scales, it re-creates the familiar 4-dimensional spacetime, but it shows spacetime to be 2-d near the Planck scale, and reveals a fractal structure on slices of constant time.

By far the greatest advantage of this theory is that it derives the observed nature and properties of spacetime from a minimal set of assumptions, and needs no adjusting factors. The idea of deriving what is observed from first principles is very attractive to physicists, as it often indicates a concept that is close to the truth, or offers powerful tools for investigating the nature of reality.

[edit]Other attempts

Any TOE must include general relativity and the standard model of particle physics.

A recently very prolific attempt is called Causal Sets. As some of the approaches mentioned above, its direct goal isn't necessarily to achieve a TOE but primarily a working theory of quantum gravity, which might eventually include the standard model and become a candidate for a TOE. Its founding principle is that spacetime is fundamentally discrete and that the spacetime events are related by a partial order. This partial order has the physical meaning of the causality relations between relative past and future distinguishing spacetime events.

Outside the previously mentioned attempts there is Garrett Lisi's E8 proposal. This theory provides an attempt of identifying general relativity and the standard model within the Lie group E8. The theory doesn't provide a novel quantization procedure and the author suggests its quantization might follow the Loop Quantum Gravity approach above mentioned.[14]

[edit]Present status

At present, no convincing candidate for a TOE is available. Most particle physicists state that the outcome of the ongoing experiments – the search for new particles at the large particle acceleratorsand for dark matter – are needed in order to provide theoretical physicists with further input for a TOE.

[edit]Theory of everything and philosophy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a physical TOE are frequently debated. For example, if philosophical physicalism is true, a physical TOE will coincide with a philosophical theory of everything.

The "system building" style of metaphysics attempts to answer all the important questions in a coherent way, providing a complete picture of the world. Plato and Aristotle could be said to have created early examples of comprehensive systems. In the early modern period (17th and 18th centuries), the system-building scope of philosophy is often linked to the rationalist method of philosophy, which is the technique of deducing the nature of the world by pure a priori reason. Examples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include the Leibniz's MonadologyDescarte's Dualism, andSpinoza's MonismHegel's Absolute idealism and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were later systems.

Other philosophers do not believe their techniques can aim so high. Some scientists think a more mathematical approach than philosophy is needed for a TOE, for instance Stephen Hawkingwrote in A Brief History of Time that even if we had a TOE, it would necessarily be a set of equations. He wrote, “What is it that breathes fire into the equations and makes a universe for them to describe?”.[15]


Posted by water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