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지 중: 기사도 인물도 훌륭 

“The truth is, nobody out-works Denis McDonough,” President Obama said as he named him chief of staff earlier this year.

There has been no immediate legislative payoff from the flurr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Pennsylvania Avenue. But Democrats say they think thawing the icy relationship between congressional Republicans and the tightly controlled White House can only help.

...

If you don't know his face or haven't heard his name, that too is according to plan. Unlike two of Obama's previous, high-profile chiefs of staff, Chicago Mayor Rahm Emanuel and Chicago party vet Bill Daley, McDonough has no professional identity beyond the President, whom he has served for nearly six years. He disagrees with Obama sometimes and even forced the reconsideration of a personnel matter a couple of days into the job. But he is far less likely than Emanuel to tell anyone about it. And unlike Daley, he is the last person to give an interview on the record about his thoughts on anything. (McDonough declined to talk for this story.) "He views himself as a staffer, not a principal," says Dan Pfeiffer, who works down the hall. "And that endears him to other people."

...

Back in college--at athletics-mad Saint John's University in Minnesota, with the winningest football program in NCAA Division III history--McDonough took the defensive plays off the bench and was in charge of reading the offense, earning a reputation as the smartest player on the field. "He wasn't the biggest, and he wasn't the fastest," says Jerry Haugen, his old defensive coordinator. "He knew not only his own job but everybody else's as well. It's kind of what he does now."

...

It was a small gesture, for sure, a nod to the battles yet to come. But it was also a start.

By Michael Schere



Read more: http://www.time.com/time/magazine/article/0,9171,2143015,00.html#ixzz2UEvX8SZl


TIME  지 구독은 참으로 값지다, 적극 추천 



Profile 

(Pete Souza/ White House)

Why He Matters

President Obama named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er Denis McDonough, one of his closest confidants who served in his Senate and campaign offices, as his new chief of staff on Jan. 25, 2013. McDonough replaces Jack Lew, who was recently nominated to head the Treasury Department.

McDonough has carved out a reputation as a fiercely loyal and demanding aide who has played a key role in some of the administration’s highest profile decisions, including the U.S. military drawdowns in Iraq and Afghanistan, the response to the Japanese tsunami and the handling of the attack on the U.S. diplomatic mission in Benghazi, Libya.

Following the departure of Obama's first national security adviser, Jim Jones, in October 2010, he became deputy to the new man in charge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Tom Donilon.

He was a top foreign policy adviser to former Senate Majority Leader Tom Daschle (D-S.D.) and to President Barack Obama when he was a senator. He also served as a senior fellow at the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a left-leaning think tank from which a slew of Obama administration officials have hailed.

McDonough advised the president on foreign policy and helped craft his speeches as director of strategic communications for the NSC before taking over as acting chief of staff when Mark Lippert departed.

He was a key player in President Obama's decision to send an additional 30,000 troops to Afghanistan for what was dubbed a temporary surge; those troops are expected to start coming home in July 2011.

And during his tenure as deputy NSC director in May 2011, Osama bin Laden was killed in a U.S. special forces raid in Abbottabad, Pakistan.



  • Career History: Acting NSC Chief of Staff (since October 2009-October 2010); Director of Strategic Communications, National Security Council (since January 2009-October 2010) Member of President Barack Obama 's transition team (Nov. 2008 to Jan. 2009); Foreign Policy adviser to Barack Obama 's 2008 Presidential campaign (2006 to 2008);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Senior Fellow (2004 to 2006)
  • Birthday: Dec. 2, 1969
  • Hometown: Stillwater, Minn.
  • Alma Mater: St. John's University (Minnesota); Georgetown University, M.S. in Foreign Service, 1996.
  • Religion: Catholic
  • Office: The White House, 1600 Pennsylvania Ave.
  • Web site
 

McDonough was a staffer on the House International Relations Committee from 1996 through 1999. He then joined Daschle's (D-S.D.) foreign policy team, where he worked until 2004, advising him on terrorism, AIDS and Middle East policy.

When Daschle lost his reelection bid, McDonough followed him to the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a progressive think-tank founded by former Clinton Chief of Staff John D. Podesta. There he researched health-care policy as a senior fellow and adviser to Daschle.

Read more

 

McDonough has argued for a common-good approach to foreign policy, saying that the U.S. must address problems like global warming and poverty by taking approaches that will benefit other countries as well. He has spoken in support of a cap-and-trade system and called on the U.S. to make a serious commitment to reducing greenhouse gases.

Killing bin Laden

Under McDonough's watch at the NSC, the world's most-wanted terrorist, al-Qaeda leader Osama bin-Laden was killed by U.S. special forces after years of painstaking intelligence work.

Read more

 

As a fellow at the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McDonough has relationships with Obama transition co-chair and CAP head John Podesta, CAP chief operating officer Neera Tanden and several other prominent Obama backers.

As a former chief of staff for Tom Daschle, McDonough is also a part of the growing list of Daschle alumnae that worked on the 2008 Obama campaign and in the Obama White House. Obama's Senate chief of staff, Pete Rouse, is a a senior White House adviser, and Mark Lippert, also worked for Daschle before becoming NSC chief of staff in the Obama administration.

Read more


http://www.washingtonpost.com/politics/denis-mcdonough/gIQAt6rX9O_topic.html



Posted by water_
,

시애틀에서 3-40 분, 가깝고 어렵지 않은 amazing 경치 등산 Rattlesnake Ledge. 


올라가자 업업업, 잠시 쉬구, 나무 옷걸이 삼아 놀구, 사진찍구, 물 마시구 랄랄랄라 




view point 까지 올라왔다 우예 ! 


멀리 보인다 .. 아래 호수







사진에 10%도  담기지 않는 감동 ..



내려왔다 우예 





등산은 능가 불가능, 환상 어메이징 최고 ! 행복하다 ~~~~~~~~~~ 

Posted by water_
,

처음 타보는 보드, 차 렌트해서 스키장가서 레슨 듣기. 시애틀은 비내리는데 한 시간 동쪽 오니 이미 눈이 제법 ..


부츠랑 데크 빌려서 10명 그룹 레슨 1.5시간 듣구 혼자 놀기. 제법 한산, 목요일.


날이 흐려서 경치가 그다지 .. white out


초보 slope 리프트 줄 





도착 했을 때



보드 타구 왔을 때 .. 세네시간 사이에 쌓인 눈




운전해서 집가는 길, 눈



40분 운전하는 동안 사고 4 건 목격 .. 2, 3, 6 중 충돌까지 .. 위험하다 안전운전




Posted by water_
,

GallaudetSeal.png 
Gallaudet University (1864)

Washington D.C. 에 위치한 걀라우뎃 대학교를 방문하였다.
청각 장애에 대한 사회의, 구체적으로 한국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이다. 일단 한국에서 장애 자체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다. 용어부터 살피자면 청각 장애, 라고 구분짓는 인구를 미국에서는 대문자 D 를 사용한 Deaf 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마치 American, Korean, Christopher 와 같은 고유명사인 것. 청각 장애라는 장애의 종류라는 개념보다, 하나의 독단적인 성격으로 구분되는 인상이다. 어려서부터 긍지에 대한, 자부심에 대한 교육은 중요시 여겨진다.
미국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이 한국과 다른 것은 물론이지만, 세부적으로 Gallaudet University 의 인식과 개념은 한 번 더 다르다. 학교에서 모든 staff 들은 ASL (American Sign Language) 를 배워야하고 정기적으로 시험을 보고 통과해야한다. 중심 언어이니만큼 가장 중요한 것이다. 청각 장애를 비하하거나 그에 유사한 태도도 조심해야한다. 이 곳에서 만큼은 오히려 청인들이 소수이고 도움을 받아야하는 존재이다. 

Gallaudet University 는 Deaf 를 위한 세계에서 유일한 대학교이다. 유럽에도 세계 다른 어느 곳에도 Deaf 난청 청각 장애인을 위해 디자인 된 대학교는 없다.  물론 미국의 모든 대학교는, 청각 장애인 뿐 아닌 도움을 필요하는 학생이 입학 한 경우, 그 학생의 필요를 보조 할 수 있는 도움을 주기 마련이다. 하지만 Deaf 를 고려하여 프로그램 curriculum, 건물, staff, 등을 디자인 한 학교는 없다. 1864년 설립으로 역사도 제법 깊다.

<학교 웹사이트, 캠퍼스 사진들 http://admissions.gallaudet.edu/gallery/campusphotos.html >

학교 곳곳에 Video phone 이 설치되어있다. 음성만을 사용하는 전화기는 불편 및 불필요 함으로 비디오 전화기를 사용한다. 수화를 하지 못하는 사람과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통역사에게도 연결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비디오  전화기 제작사인 Sorenson 은 최근 Gallaudet University 캠퍼스에 건물도 지었다 (James Lee Sorenson). 건물은 듣는 것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하여 섬세히 디자인되었다.
1. 건물 전체가 유리로 안과 밖의 사람들이 수화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2. 청각 장애인들은 시각적으로 곡선을 선호함으로 건물 구조의 많은 부분이 각지지 않은 곡선이 많다. 이 밖에도 천정이 높은 등 시각적으로 편안한 부드러운 느낌의 실내구조가 인상적이다.
3. 둥그렇게 앉는 것이 수화로의 의사소통에 용이함으로 실내 대부분의 좌석들은 둥그렇게 디자인 되었다.
4. 수화는 눈으로의 의사소통임으로 걸으며 길을 보기보다는 서로를 바라보기 때문에 계단을 못 보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계단들이 보다 눈에 띄게 디자인 되었다.
5. 등등 .. 아는 내용은 여기까지. sorenson 웹사이트, 비디오 전화에 관한 정보 http://www.sorensonvrs.com/ 
 

세계유일한 만큼 난청 커뮤니티에서는 선호되는 학교이다. 
학교의 위치는 수도인 Washington D.C. 라는 장점이 있다. 미국이라는 대표적인 나라의 수도이니만큼 사회적인 움직임이 분명히 느껴진다. 학교 자체는 관광지와 멀지 않지만 중심이지 않은 부근에 위치. Union Station 과 몇 군데의 대표적인 역에서 Gallaudet University 학교의 전용 셔틀버스 Shuttle bus 가 15 ~ 20 분에 한 대 씩 운행된다. 역까지는 D.C. 의 지하철이 제법 간단함으로 어려움 없이 도착 할 수 있고, 역에서  캠퍼스 내부까지 shuttle bus 가 운행되니 편리하다.

기이한 점이라면 기숙사에 학생 주방이 없단다. 아무래도 건물 구조상 어쩔 수 없었던 듯 싶다. 굳이 기숙사를 살지 않아도 되니 그만이지만. 

청각 장애인들의 공대로는 Rochester 에 유명한 대학교가 있다고 .. 자세한 내용은 차후에 정리. 궁금한 점은 댓글로 문의 해주시기를.

<학교에 대한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Gallaudet_University >

동생은 현재 Gallaudet University 의 부속 고등학교인 MSSD (Model Secondary School for the Deaf) 에 진학 중이다. Gallaudet 은 부속된 초 중 고등학교가 있다. 
개인적으로 청각장애를 가진 동생을 둔 누나의 입장으로써 한국은 살 만한 곳이 되지 못하다. 물론 살 수야 있다. 하지만 참으로 싫다. 물론 참을만하다. 괜찮다. 하지만 미국에 비교하여 이 곳에 생활 할 수 있다면 이곳이 훨씬 편안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동생 본인은 한국에서 오래 생활하였음으로 아직까지는 한국이 편하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부모님이 한국에 계시니 돌아가야하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한다. 하지만 현재 나의 마음은 동생이 Gallaudet University 에 진학했으면 하는 생각이다. 
물론 미국의 어느 대학교에든 진학해도 된다. 하지만 동생에게 Gallaudet University 에서 학부를 마치고 대학원을 가라고 권하고 싶다. 또한 유럽에 많은 학교들과 프로그램들이 있을 것이다. 학교 자체가 청각 장애를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개인을 상당히 위하는 프로그램들이 분명 존재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로써 미국이라는 나라가 나에게 그리고 동생에게 주어진 기회이기에 미국에 지내는 것이 그에게는 편리하다.

혹시나 한국에서 학부생 뿐 아니라 초 중 고 대학원 등 유학을 고려하는 청각 장애 학생이 있다면, 한국과 유학 사이의 갈등이라면 유학을 단연 추천하고 싶다. 유학이라는 생활 자체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나는 유학이 싫다. 유학생활은 어렵다. 물론 세계는 넓고 다른 곳을 경험 한다는 것은 굉장한 일이다. 미국이 더 좋다, 한국이 더 좋다, 흑백 규정 될 수 없는 문제이지만 한국보다 마음 편안히 생활 할 수 있는 곳은 많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한국의 시스템은 1. 어렵다 그리고 그것보다 싫은 것은 2. 더럽다, 시스템도 대중의 인식도. 가족과 아끼는 이들과 거리적으로 멀어진다는 것이 가장 큰 불편함이지만 나는 동생의 유학을 참 잘 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능력이 된다면, 나도 동생도 유럽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고려하고 싶지만 당장 주어진 나의 학부생활에도 바둥대는 나이기에 .. 부족한 능력으로 미국에 만족한다. 아직 우리는 젋다, 는 것을 기억하며.


Gallaudet University Mission and Goals

Mission Statement

Gallaudet University, federally chartered in 1864, is a bilingual, diverse, multicultural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that ensures the intellectual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of deaf and hard of hearing individuals through American Sign Language and English. Gallaudet maintains a proud tradition of research and scholarly activity and prepares its graduates for career opportunities in a highly competitive, technological, and rapidly changing world.

Approved by the Board of Trustees November 2007

Vision Statement

Gallaudet University will build upon its rich history as the world's premie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serving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to become the university of first choice for the most qualified, diverse group of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in the world, as well as hearing students pursuing careers related to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Gallaudet will empower its graduates with the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vital to achiev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success in the changing local and global communities in which they live and work. Gallaudet will also strive to become the leading international resource for research, innovation and outreach related to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Gallaudet will achieve these outcomes through:

  • A bilingual learning environment, featuring American Sign Language and English, that provides full access for all students to learning and communication
  • A commitment to excellence in learning and student service
  • A world-class campus in the nation's capital
  • Creation of a virtual campus that expands Gallaudet's reach to a broader audience of visual learners
  • An environment in which research can grow, develop, and improve the lives and knowledge of all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worldwide

Approved by the Board of Trustees, May 2009

      Other Goals and Statements

      Strategic Goals

      1. Maintain and strengthen its unique position as a place in which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scholarly pursuits of all kinds are conducted in an inclusive environment where the ASL/English bilingual communication abilities and potential of deaf students are fully realized.
      2. Enroll a diverse and talented student body by providing rigorous academic programs and an effective co-curriculum and services that support recruitment, retention, graduation, and life-long learning.
      3. Create and sustain a climate that fosters respect among students, faculty, staff, and administrators for the full range of human diversity, educational backgrounds, ideas, and perspectives.
      4. Conduct exemplary programs of research, scholarship, and outreach within the context of its visually-oriented learning environment and with respect to its unique service population.
      5. Obtain the financial and other resources necessary to support excellence in its programs and uses these resource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Posted by water_
      ,

      The Namesake

      문화생활 /책 2012. 1. 5. 18:16
      TheNamesake
      카테고리 문학>소설
      지은이 Lahiri, Jhumpa (PawPrints, 2011년)
      상세보기

      네임쉐이크
      감독 미라 네어 (2006 / 인도,미국)
      출연 타부,이르판 칸
      상세보기

      The Namesake.gif 

      The Namesake (2003) is the second book by author Jhumpa Lahiri. It was originally a novella published in The New Yorker and was later expanded to a full length novel. It explores many of the same emotional and cultural themes as her Pulitzer Prize-winning short story collection Interpreter of Maladies. Moving between events in CalcuttaBoston, and New York City, the novel examines the nuances involved with being caught between two conflicting cultures with their highly distinct religious, social, and ideological differences.



      Summary

      As The Namesake opens, Ashima Ganguli is a young bride who is about to deliver her first child in a hospital in Massachusetts. Her husband, Ashoke, is an engineering student at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As she prepares to give birth, she realizes how isolated she has become. If she were still in Calcutta, she would have her baby at home, surrounded by all the women in her family who would administer all the proper Bengali ceremonies and would tell her what to expect. In the United States, Ashima struggles through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as well as her own fears as she delivers her first child.

      The baby boy is healthy and the new parents are prepared to take their son home. But Ashima and Ashoke are stunned to learn that they cannot leave the hospital before they give their son a legal name. The traditional naming process in their families is to have an elder give the new baby a name. They have chosen Ashima's grandmother for this honor. They have written the grandmother to ask her to give the baby a name. But the letter never arrives and soon after, the grandmother dies. In the meantime, Ashoke suggests the name of Gogol. He chooses this name for two reasons. First, it is the name of his favorite author, the famous Russian author. The second reason is that Ashoke, before he was married, had been in a very serious accident. The train he was riding in had derailed. Many people died. Ashoke had broken his back and could not move. He had been reading Gogol just before the accident. He had a page of that book clutched in his hand. The paper caught the attention of the medics who had come to rescue him. If it had not been for that page, acting as a flag in the darkness, Ashoke could have died.

      While he insists on being called Gogol in elementary school, by the time he turns 14 he starts to hate the name. His father tries once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it, but he senses that Gogol is not old enough to understand. His parents decide to give him a more public name, which is part of the Bengali tradition—having a private name that only family and friends use and a public name for everything else. They chose Nikhil. Shortly before leaving for college, he travels to the courthouse and has his name legally changed to Nikhil Gogol Ganguli. When Gogol goes off to college, he uses his public name.

      This change in name and Gogol's going to Yale, rather than following his father’s footsteps to MIT, sets up the barriers between Gogol and his family. The distance, both geographically and emotionally, between Gogol and his parents continues to increase. He wants to be American, not Bengali. He goes home less frequently, dates American girls, and becomes angry when anyone calls him Gogol. During his college years, he smokes cigarettes and marijuana, goes to many parties, and loses his virginity to a girl he cannot remember.

      When he goes home for the summer, Gogol's train is suddenly stopped and temporarily loses electricity. A man had jumped in front of the train and committed suicide, and the wait for the authorities causes a long delay. Ashoke, who is waiting at the train station for Gogol, becomes very concerned when he calls the train company and hears of this incident. When they pull into the Ganguli's driveway, Ashoke turns off the car and finally explains the true significance of Gogol's name. Gogol is deeply troubled by this news, asking his father why he didn't tell him this earlier. He starts to regret changing his name and changing his identity.

      He lives in a very small apartment in New York City, where he has landed a job in an established architectural office after graduating from Columbia. He is rather stiff personality-wise, perpetually angry or else always on the lookout for someone to make a stereotypical comment about his background.

      At a party, Gogol meets a very attractive and rather socially aggressive Barnard girl named Maxine. Gogol becomes completely wrapped up in her and her family. Maxine's parents are financially well off and live in a four-story house in New York City. Maxine has one floor to herself and invites Gogol to move in. Gogol becomes a member of the family, helping with the cooking and shopping. Maxine's parents appear to have accepted him as a son. When Maxine's parents leave the city for the summer, they invite Maxine and Gogol to join them for a couple of weeks. They are staying in the mountains in New Hampshire, where Maxine's grandparents live. For a while, Gogol is fixed on this very American family.

      Gogol introduces Maxine to his parents. Ashima dismisses Maxine as something that Gogol will eventually get over. Shortly after this meeting, Gogol's father dies of a heart attack while he is working on a temporary project in Ohio. Gogol travels to Ohio to gather his father's belongings and his father's ashes. Something inside of Gogol changes. He slowly withdraws from Maxine as he tries to sort out his emotions. Maxine tries to pressure him to open up to her. Gogol breaks off the relationship and begins to spend more time with his mother and sister, Sonia.

      Ashima, after some time has gone by, suggests that Gogol contact the daughter of one of her friends. Gogol knows of the woman from his own childhood. Her name is Moushumi, and she has had the unfortunate experience of having planned a wedding only to have her intended groom change his mind at the last minute. Gogol is reluctant to meet with Moushumi for two reasons. She is Bengali, and she is recovering from having been shamed. But he meets her anyway, to please his mother.

      Moushumi and Gogol are attracted to one another and eventually are married. However, by the end of their first year of marriage, Moushumi becomes restless. She feels tied down by marriage and begins to regret what she has done. Gogol suspects something is wrong and often feels like a poor substitute for Moushumi's ex-fiance, Graham, who abandoned her. One day, Moushumi comes across the name of a man she knew when she was a senior in high school. She contacts him, and they begin an affair. Gogol finds out. Moushumi and Gogol divorce.

      The story ends with Ashima selling the family home so she can live in India with her siblings for half of the year. Sonia is preparing to marry to an American man named Ben. Gogol is once again alone. But he feels comforted by one thing: before his father died, he finally told his son why he had chosen that name for him. By the end of the novel, Gogol has come to accept his name and picks up a collection of the Russian author's stories that his father had given him as a birthday present many years ago.

      http://en.wikipedia.org/wiki/The_Namesake  

      Plot

      The Namesake depicts the struggles of Ashoke and Ashima Ganguli (Irrfan Khan and Tabu), two first-generation immigrants from West Bengal, India to the United States, and their American-born children Gogol (Kal Penn) and Sonia (Sahira Nair). The film takes place primarily in Kolkata, India; New York City; and various New York state suburbs.

      The story begins as Ashoke and Ashima leave Calcutta and settle in New York City. Through a series of miscues, their son's nickname, Gogol (named after Ukrainian author Nikolai Gogol), becomes his official birth name, an event which will shape many aspects of his life. The film chronicles Gogol's cross-cultural experiences and his exploration of his Indian heritage, as the story shif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India. Gogol eventually meets and falls in love with two women, Maxine (Jacinda Barrett) and Moushumi (Zuleikha Robinson), while his parents struggle to understand his modern, American perspectives on dating, marriage and love.

      As much as Gogol/Nikhil's experiences, the film tenderly describes the courtship and marriage of Ashima and Ashoke, and the effect of Ashoke's early death of a massive heart attack. Ashima's decision to move on with her life, selling the suburban family home and returning to Calcutta, unifies and ends the film.

      http://en.wikipedia.org/wiki/The_Namesake_(film)  



      Nikolai Vasilievich Gogol (Russian: Николай Васильевич Гоголь; Ukrainian: Микола Васильович Гоголь; 31 March 1809[4] – 4 March 1852O.S.; 19 March 1809 – 21 February 1852 N.S.) was a Ukrainian-born Russian dramatist and novelist.[4]

      Considered by his contemporaries one of the preeminent figures of the natural school of Russian literary realism, later critics have found in Gogol's work a fundamentally romantic sensibility, with strains of Surrealism and the grotesque ("The Nose", "Viy", "The Overcoat," "Nevsky Prospekt"). His early works, such as Evenings on a Farm Near Dikanka, were influenced by his Ukrainian upbringing, Ukrainian culture andfolklore.[5][6] His later writing satirised political corruption in the Russian Empire (The Government Inspector, Dead Souls), leading to his eventual exile. The novel Taras Bulba (1835) and the play Marriage (1842), along with the short stories "Diary of a Madman", "The Tale of How Ivan Ivanovich Quarreled with Ivan Nikiforovich", "The Portrait" and "The Carriage", round out the tally of his best-known works.


      Literary development

      Cover of the first edition of The Government Inspector (1836).

      In 1831, he brought out the first volume of his Ukrainian stories (Evenings on a Farm Near Dikanka), which met with immediate success. He followed it in 1832 with a second volume, and in 1835 by two volumes of stories entitled Mirgorod, as well as by two volumes of miscellaneous prose entitled Arabesques. At this time Russian editors and critics such as Nikolai Polevoy and Nikolai Nadezhdin saw in Gogol the emergence of a Ukrainian, rather than Russian, writer, using his works to illustrate supposed differences between Russian and Ukrainian national characters, a fact that has been overlooked in later Russian literary history.[8] At this time, Gogol developed a passion for Ukrainian history and tried to obtain an appointment to the history department at Kiev University. Despite the support of Pushkin and Sergey Uvarov, the Russian minister of education, his appointment was blocked by a Kievan bureaucrat on the grounds that he was unqualified.[9] His fictional story Taras Bulba, based on the history of Ukrainian cossacks, was the result of this phase in his interests. During this time he also developed a close and life-long friendship with another Ukrainian, the historian and naturalistMykhaylo Maksymovych.[10]

      In 1834 Gogol was made Professor of Medieval History at the University of St. Petersburg, a job for which he had no qualifications. He turned in a performance ludicrous enough to warrant satiric treatment in one of his own stories. After an introductory lecture made up of brilliant generalizations which the 'historian' had prudently prepared and memorized, he gave up all pretense at erudition and teaching, missed two lectures out of three, and when he did appear, muttered unintelligibly through his teeth. At the final examination, he sat in utter silence with a black handkerchief wrapped around his head, simulating a toothache, while another professor interrogated the students."[11] This academic venture proved a failure and he resigned his chair in 1835.

      Commemorative plaque in his house in Rome

      Between 1832 and 1836 Gogol worked with great energy, and though almost all his work has in one way or another its sources in these four years of contact with Pushkin, he had not yet decided that his ambitions were to be fulfilled by success in literature. During this time, the Russian critics Stepan Shevyrev and Vissarion Belinsky, contradicting earlier critics, reclassified Gogol from a Ukrainian to a Russian writer.[8] It was only after the presentation, on 19 April 1836, of his comedy The Government Inspector (Revizor) that he finally came to believe in his literary vocation. The comedy, a violent satire of Russian provincial bureaucracy, was staged thanks only to the intervention of the emperor, Nicholas I.

      From 1836 to 1848 Gogol lived abroad, travelling through Germany and Switzerland. Gogol spent the winter of 1836–1837 in Paris, among Russian expatriates and Polish exiles, frequently meeting the Polish poets Adam Mickiewicz and Bohdan Zaleski. He eventually settled in Rome. For much of the twelve years from 1836 Gogol was in Italy. He studied art, read Italian literature and developed a passion for opera. He mingled with Russian and other visitors, and in 1838 met Count Ioseph Vielhorskiy, the 23-year-old son of the official who had brought Gogol's Government Inspector to the attention of the emperor. Vielhorsky was travelling in hopes of curing his tuberculosis. Gogol became deeply attached to the young man and attended him in his illness, but in 1839 Vielhorsky died. Gogol left an account of this time in his Nights at the Villa.

      Pushkin's death produced a strong impression on Gogol. His principal work during years following Pushkin's death was the satirical epic Dead Souls. Concurrently, he worked at other tasks – recast Taras Bulba and The Portrait, completed his second comedy, Marriage (Zhenitba), wrote the fragment Rome and his most famous short story, The Overcoat.

      In 1841 the first part of Dead Souls was ready, and Gogol took it to Russia to supervise its printing. It appeared in Moscow in 1842, under the title, imposed by thecensorship, of The Adventures of Chichikov. The book instantly established his reputation as the greatest prose writer in the language. 


      Creative decline and death

      After the triumph of Dead Souls, Gogol came to be regarded by his contemporaries as a great satirist who lampooned the unseemly sides of Imperial Russia. Little did they know that Dead Souls was but the first part of a planned modern-day counterpart to The Divine Comedy. The first part represented the Inferno; the second part was to depict the gradual purific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rogue Chichikov under the influence of virtuous publicans and governors — Purgatory.[12]

      Gogol, painted in 1840.

      From Palestine Gogol returned to Russia, and passed his last years in restless movement throughout the country. While visiting the capitals, he stayed with friends such as Mikhail Pogodin and Sergei Aksakov. During this period he also spent much time with his old Ukrainian friends, Maksymovych and Osyp Bodiansky. More importantly, he intensified his relationship with a starets or spiritual elder, Matvey Konstantinovsky, whom he had known for several years. Konstantinovsky seems to have strengthened in Gogol the fear of perdition by insisting on the sinfulness of all his imaginative work. His health was undermined by exaggerated ascetic practices and he fell into a state of deep depression. On the night of 24 February 1852, he burned some of his manuscripts, which contained most of the second part of Dead Souls. He explained this as a mistake, a practical joke played on him by the Devil. Soon thereafter he took to bed, refused all food, and died in great pain nine days later.

      Gogol was mourned in the Saint Tatiana church at the Moscow University before his burial and then buried at the Danilov Monastery, close to his fellow Slavophile Aleksey Khomyakov. In 1931 Moscow authorities decided to demolish the monastery and had his remains transferred to theNovodevichy Cemetery.

      Gogol's grave at the Novodevichy Cemetery

      His body was discovered lying face down; which gave rise to the story that Gogol had been buried alive. A Soviet critic even cut a part of his jacket to use as a binding for his copy of Dead Souls. A piece of rock which used to stand on his grave at the Danilov was reused for the tomb of Gogol's admirer Mikhail Bulgakov.

      The first Gogol monument in Moscow was a Symbolist statue on Arbat Square, which represented the sculptor Nikolay Andreyev's idea of Gogol, rather than the real man.[13]Unveiled in 1909, the statue was praised by Ilya Repin and Leo Tolstoy as an outstanding projection of Gogol's tortured personality. Joseph Stalin did not like it, however; and the statue was replaced by a more orthodox Socialist Realism monument in 1952. It took enormous efforts to save Andreyev's original work from destruction; it now stands in front of the house where Gogol died.[14]


      http://en.wikipedia.org/wiki/Nikolai_Gogol  



      Jhumpa Lahiri (Bengaliঝুম্পা লাহিড়ী; born on July 11, 1967) is a Bengali American author. Lahiri's debut short story collection, Interpreter of Maladies (1999), won the 2000 Pulitzer Prize for Fiction, and her first novel, The Namesake (2003), was adapted into the popular film of the same name.[2] She was born Nilanjana Sudeshna, which she says are both "good names", but goes by her nickname Jhumpa.[3] Lahiri is a member of the President's Committee on the Arts and Humanities, appointed by U.S. President Barack Obama.[4]

      Biography

      Lahiri was born in London, the daughter of Bengali Indian immigrants. Her family moved to the United States when she was three; Lahiri considers herself an American, stating, "I wasn't born here, but I might as well have been."[3] Lahiri grew up in KingstonRhode Island, where her father Amar Lahiri works as a librarian at the University of Rhode Island;[3] he is the basis for the protagonist in "The Third and Final Continent," the closing story from Interpreter of Maladies.[5] Lahiri's mother wanted her children to grow up knowing their Bengali heritage, and her family often visited relatives in Calcutta (now Kolkata).[6]

      When she began kindergarten in Kingston, Rhode Island, Lahiri's teacher decided to call her by her pet name, Jhumpa, because it was easier to pronounce than her "proper names".[3] Lahiri recalled,"I always felt so embarrassed by my name.... You feel like you're causing someone pain just by being who you are."[7] Lahiri's ambivalence over her identity was the inspiration for the ambivalence of Gogol, the protagonist of her novel The Namesake, over his unusual name.[3] Lahiri graduated from South Kingstown High School and received her B.A. in English literature from Barnard College in 1989.[8]

      Lahiri then received multiple degrees from Boston University: an M.A. in English, M.F.A. in Creative Writing, M.A. in Comparative Literature, and a Ph.D. in Renaissance Studies. She took a fellowship at Provincetown's Fine Arts Work Center, which lasted for the next two years (1997–1998). Lahiri has taught creative writing at Boston University and the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In 2001, Lahiri married Alberto Vourvoulias-Bush, a journalist who was then Deputy Editor of TIME Latin America, and who is now Senior Editor of Fox News Latino. Lahiri lives in Fort Greene, Brooklyn with her husband and their two children, Octavio (b. 2002) and Noor (b. 2005).[7]

      Literary focus

      Lahiri's writing is characterized by her "plain" language and her characters, often Indian immigrants to America who must navigate between the cultural values of their homeland and their adopted home.[2][10] Lahiri's fiction is autobiographical and frequently draws upon her own experiences as well as those of her parents, friends, acquaintances, and others in the Bengali communities with which she is familiar. Lahiri examines her characters' struggles, anxieties, and biases to chronicle the nuances and details of immigrant psychology and behavior.

      Until Unaccustomed Earth, she focused mostly on first-generation Indian American immigrants and their struggle to raise a family in a country very different from theirs. Her stories describe their efforts to keep their children acquainted with Indian culture and traditions and to keep them close even after they have grown up in order to hang on to the Indian tradition of a joint family, in which the parents,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families live under the same roof.

      Unaccustomed Earth departs from this earlier original ethos as Lahiri's characters embark on new stages of development. These stories scrutinize the fate of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As succeeding generations become increasingly assimilated into American culture and are comfortable in constructing perspectives outside of their country of origin, Lahiri's fiction shifts to the needs of the individual. She shows how later generations depart from the constraints of their immigrant parents, who are often devoted to their community and their responsibility to other immigrants.[14]

      Bibliography


      Short story collections


      Novels


      Unpublished Material (Academic)

      • A Real Durwan and Other Stories (1993, Boston University M.A. thesis)
      • Only an Address: Six Stories by Ashapurna Devi introduced, translated and with critical commentary by Lahiri (1995, Boston University M.A. thesis)
      • Accursed Palace: The Italian Palazzo on the Jacobean Stage (1603-1625) (1997, Boston University Ph.D. thesis)


      Uncollected Non-fiction


      Contributions


      Awards



      http://en.wikipedia.org/wiki/Jhumpa_Lahiri  

       

       

      Posted by water_
      ,

      RunningWithScissors
      카테고리 문학>에세이/자서전
      지은이 Burroughs, Augusten (St.Martin's, 2003년)
      상세보기

      음, 일단 자서전 memoir - 이지만 소설에 가까운 삶이기에, 소설이라는 착각을 가지고 읽은 기억이 난다.
      몇 가지 느낀점은:
      -제목이 좋다. 위험한 긴장감을 잘 표현한다.
      -미국에 대해 상당히 많은 insight 를 받을 수 있다. 미국의 문화적인 요소가 굉장히 풍부하다. 동성애라는 주제부터 시작하여 그것에 대한 관점. 미국 의학, 특정히 심리치료에 대한 문화적 배경이 보여지기도한다. 보편적인 심리치료의 문화는 아니지만 그것의 잘못된 방향, 문화적 부작용이 부각되었다.
      -전반적으로 저렴한 느낌. 고급의 글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저렴한 엔터테인먼트랄까. 글에서 특별한 어려움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내용적으로 그의 삶에서 느꼈을 어려움이 조금, 아주 조금은 느껴지지만 그것을 가지고 글을 쓴다는 데에서 아픔을 승화시키는 과정따위는 모르겠다. 때로 재미 .. 라기보다 터무니 없는 웃음, 허탈한 실소가 나오는 부분이 많다. 뭐, USA Today 의 기자는 "screamingly funny"라고 했지만, 수준이 의심스럽다. 작가는 Entertainment Weekly 의 America's 15 funniest people 중 하나란다. 이 나라의 개그코드는 수용 할 수 없다, 하.
      -지저분하다. 저렴한 느낌에 더하는 글의 느낌, 깔끔하지 않은 글의 느낌이 싫었다. simplicity 간단하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글이 효과적인 글이라고 생각하는데, 글의 서술에 있어 지저분한 느낌이다. 음, 안타깝지만 이것이 어느정도 현대 미국문학의 수준인가 싶기도하다. 예를들자면
      "Life would be fabric-softner, tuna-salad-on-white, PTA-meeting normal."
      "Her eyes scared me. They looked radioactive.'
      고급과는 멀다 ..

      내용적으로는 불안정한 가정에서 자라나는 불안정한 청소년의 이야기. 심리학, 종교, 문화 등 약간의 풍자느낌의 책이다.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1 New York Times Bestseller 이다. 슬프게도 이러한 저렴한 문화들의 번식이 가능한 것이 현대 문화인가보다.
      Posted by water_
      ,

      적고 보니 앞 뒤 없는 ..... 자료의 모음. 근래 관심가는 주제지만 시간을 들일 여유가 없음으로 일단 포스팅.

      Coal mining (채탄, 석탄 채굴) 의 목적은 토양에서 에너지로 사용 할 수 있는 석탄 coal 을 채취하는 것. 경제적인 이득을 위한 석탄 채굴은 석탄 층 (seam) 의 깊이, 질, 지형적, 환경적 요소에 따라 결정 됨. 지표면에서 채굴하느냐 지하에서 채굴하느냐에 따라 과정이 달라짐. 지표면에서 지하에서 채굴된 모든 석탄은 coal preparation plant 에서 washing 이 필요함. 50-100m 지하의 석탄은 deep mine 으로 여겨지지만 때로 지표면 채굴 기술을 이용 할 수 있기도 함.

      근래 Naomi Klein 의 책을 읽고 인터뷰를 들으면서 발견한 굉장한 사실은 - 미국의 대부분 석유를 수출하는 나라는 캐나다라는 것. 본인이 캐나다인이면서 미국과 세계의 사회적 움직임들을 큰 스케일에서부터 작은 스케일까지, 그녀의 이해도에 매 번 놀란다. 본 운동에서도 그녀의 역할이 큰 움직임이 된다.

      Bituminous sand
      Unconventional petroleum deposit
      Sands contain mixtures of sand, clay, water, viscous petroleum
      전형적이지 않은 석유 자원 - 모래와 섞인, 토양에 가까운 petroleum
      사실상 본 석유자원은 석유자원이라 할 수 없는 것이 - 그것을 추출하는 과정이 너무나 잔인하다. 숲을 밀고 땅의 겹겹을 벗기고 Tar Sand 를 화학물질에 씻어야만 석유자체를 분리 할 수 있음. Iraq 에 있는 이미 액체 상태의 석유보다 - Oil sand 상태의 석유자원을 액체로 변환하는데에 있어 3배의 연료가 소모됨.
      Iraq 전쟁 이전에 - Canada의 석유 자원은 세계 석유자원에 포함되지 않았음. 물론 Oil sand 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그것의 추출 과정이 너무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 석유를 얻기 위하야 오히려 사용회는 연료와 물이 많아 비합리적이라고 판단했던 것. 하지만 전쟁이 시작되고 석유 값이 오르기 시작하면서 마치 Canada 의 석유자원을 처음 발견한 마냥 그것은 세계 석유 자원에 포함되었고 미국의 최대 공급원이 됨. 이와 함께 캐나다는 세계 최대 석유 보유국가가 됨.
      이것은 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의 조약 중, Canada 는 본 국가의 연료자원이 부족하더라도 US 에게 연료자원을 주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법적으로 미국으로의 석유 수출을 거부 할 수 없음. Canada는 이 토양에 베어있는 석유를 파내기 시작하면서 미국과 더불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은 나라들 중 하나가 되었음. 이러한 Canada 의 석유 배출에 의존하는 또 다른 주요 국가는 중국 China.


      Athabasca oil sand mining operations - 벗겨진 땅.

      Canada 중에서도 집중 할 것은 Alberta, Canada. 본 지역이 가장 Oil Sand 추출을 목적으로한 환경적 피해를 보고 있음. 숲을 밀고 쉽게 말하야 지층을 벗기고 있음. 1m3의 synthetic crude oil 을 추출하기 위해 2 - 4.5 m3 의 물이 소요.
      가장 터무니 없는 것은 이러한 사실들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캐나다 측의 허위 광고. 일단 대중적 미국의 의견은 대부분의 석유 수출국이 Saudi Arabia 나 Mexico라고 알고 있는 것. Canada 와 Oil sand 에 대한 존재 조차 모르는 것이 과반수.
      숲을 파괴한다는 것은 나무를 파괴하고 토양을 파괴하는 것을 떠나 Ecosystem 자체를 파괴 - 결국 동물에서 미생물까지의 파괴와 disruption 인데 그것의 파장을 알 수 없다는 것이 오류. 특히나 Gulf of Mexico 에서도 보았듯이 많은 이들은 조류, 물고기 등에게 집중하였지만 미생물 생태계의 파괴가 오히려 굉장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너무나 많은 관심이 닿아야 할 곳에 닿지 않고 있다.

      Venezuela 의 Oil Sand 보유량도 Alberta 와 유사.



      (아래는 인터뷰 비디오를 보며 노트 적은 것 - 순서 없는 노트지만 글에 첨부)
      iraq does not have an oil law - they cannot sign long term exploration agreements. they only have illegal contracts. it has been a major push of the US government for iraqis to sign a US based oil law. sold as iraqi unity. iraqis resis this oil law because nationalizing oil law is their core arab nationalism. that victory is protected by many iraqi political powers. they own the ownership control.
      iraq is incredibly accessible oil - they also know how to collect it themselves.
      since invation of iraq- number 1 supplier or oil to US is not saudi arabia, not mexico - it's canada. it's close, absolutely secure source. locked into 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 clause says illegal for canada to turn off the tap even if we face an oil crisis and are not able to supply our citizens. legally binding agreement so that canada's tap will stay open. it holds in common that it's ecologically devastating - this oil alberta tar sands. the oil sands. oil in alberta is very linked to the high price of oil. huge oil deposit was not counted as oil reserve - becasue so expensive to process thick tarlike substance into liquid oil. it didn't make sense to count as oil reserve - iraq war started, oil of canada became global oil reserve. now counted the largest oil deposit in the world.
      better left in the ground. takes 3 times amount of burning fossil fuel to process 1 barrell of oil from as it does to process iraqi oil. canada has been climate renogate along with united states. carbon intensive and water intensive to do dirty processing - argument, it should be left alone. even with this going on - canadian econimy is doing better. but has nothing to do with the oil price.

      http://www.youtube.com/watch?v=K9Gsa0fzVCU&feature=related 
      http://en.wikipedia.org/wiki/Oil_sands
      http://en.wikipedia.org/wiki/Athabasca_oil_sands

      Posted by water_
      ,


      5/29 냉소의 연장, 이것 저것

      마음이 편한 것과 생각이 없는 것은 다르다. 때로 너무 가볍게, 쉽게 하는 말들이 있다. 그것들은 늘 후회를 부른다. 불과 몇 시간이 지나지 않아, 집에와서, 혹은 말이 쏟아진 직 후에 후회하는 경우들도 종종 있다. 매번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리라. 마음을 불편하게 해야한다는 것보다, 말을 무겁게, 조심하여 해야겠다는 생각을 늘 한다. 실천은 아직 습관치않아 실수가 여전히 잦지만 천천히 나아지리라. 이는 나를 위함이기도하지만 타인에 대한 배려의 결여가 원인이리라. 나의 실수가 나의 결함이라고, 타인에게 영향을 주는 것을 방관 할 수는 없는 일이리라. 늘 느끼는 점이지만 늘 상황에서는 소홀하다. 보다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기억해본다.
      근래 속이 좋지 않은 일이 많다. 이전 보다 예민해지는 것을 느낀다. 어쩌면 나쁘지 않은, 오히려 좋은 변화인지도 모르겠다. 그 만큼 짙은 자극에서 멀어진 것이리라. 외식을 줄이고 매운 음식을 피해게 된지도 꽤나 되었다. 더불어 유기농에 집중하는 생활 또한 영향이 있으리라. 휴대용 칫솔을 우연치 않게 발견하여 근래 양치질을 자주하는 습관 또한 매우 좋은 듯 하다. 상쾌함은 물론이고 굳이 민트를 먹지 않아도 된다.
      어제 외식 후, 목이 매우 타는 것 또한 외식이 줄었음을 의미한다. 잠이 들기 직전까지 목이 타던가 하면, 새벽 3시경 깨어 속이 매우 좋지 않았다. 화장실을 수 차례 들리고 7시가 지나서야 잠이 들 수 있었다. 참으로 피곤한 밤이 아닐 수 없었다. 이렇게 잠을 이루지 못한 밤이 얼마만인가. 근래 잠을 매우 편안히, 정기적으로 자는 습관이 있었는데, 오랜만에 불면을 만나니 당황스럽기도 하였지만 딱히 괴롭지는 않았다.
      다리를 꼬지 않고 앉는 연습을 하는 중인데 쉽지 않다. 한 동안 허리를 펴고 앉는 습관을 생활화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언제인가부터 자세가 좋지 않다. 마음을 다시 잡아야 할 것들이 여러가지이다. 이러한 습관의 개선은 마음의 편안함에서 오는 것이리라. 마음이 편안하니 한 두가지 보다 할 수 있는, 관점의 여유, 시선의 범위가 넓어지었다. 좋다.
      더불어 달리기가 조금씩 보다 좋아지고 있다. 어제 밤 달리는 기분은 매우 좋았다. 특히나 미약한 태풍같은 바람이 시원하였고, 친구들과 즐거운 만남이 있어서 유쾌함을 더하였다. 아무튼 보다 정기적으로 달릴 수 있을 것 같다. 천천히 습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면 오늘 계획되어있던 등산은 가지 못하였다. 어젯밤 설친 잠과 좋지 않은 속이 이유이다. 오후가 지나 저녁 쯔음 속이 좀 나아지면 조깅은 갈 수 있을 것 같다.
      수업이 없는 월요일이다. 그렇다고 마냥 쉴 수 있는 날은 아니다. 학기 말인 만큼 할 일이 몇 가지 있다. 카페에 앉아 하나 둘 씩 마무리하고, 저녁 쯔음 집에 들어가야겠다.
      조금만 - 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무엇인가를 잃는 데에도, 얻는 데에도 조금만 마음을 놓거나, 조금만 신경을 쓰면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처럼 작은 것들이 쌓아지고, 작은 몇 번의 횟수들이 습관을 낳는 것 - 조금만 신경을 쓰는 생활을 해 보자.

      6/1 불면 , 자세 , 그대 내 품에  

      0533시 자다 깨어 물을 마시다가 물을 쏟았다. 잠 깨는 데에는 물 쏟는 것이 최고임을 배웠다네. 아무튼 그렇게 잠이 다시 들지 못하고 아르바이트의 첫 날이다. 시애틀에 와서 Conference center는 미셸 오바마 연설이 있던 Hyatt 이 후로 두번째로 가 보는 듯 하다. 기대가 된다. 긴장이 많이 풀리기도 하였지만 마음을 너무 놓으면 안된다는 생각을 한다. 시험에 앞서도 그렇고 종종 자부심에 비해 결과는 보다 나을 수 있는, 아쉬움이 남는 경우들이 많다. 실력보다 마음이 앞서간다는 것은 자만, 프라이드가 강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따라서 조심성을 의식 중에 두는 것이 안전 할 듯 하다. 무사히 다녀오겠습 !
      근래 박정현의 유재하의 그대 내 품에를 무한 반복 듣고있는데 가사가 너무 좋다. 특히 만일 그대 날 떠난다면 끝까지 따르리 저 끝까지 따르리 내 사랑. 아아 얼마나 예쁜 가사인가 .. 단순하면서도 맑으면서도 건조하지 않은, 순응이라는 것이 이리도 예쁘던가. 여러가지 생각이 드는 곡이다. 너무 좋다.

      1900시 컨퍼런스는 생각만큼 순조로왔다. 한국에서 오신 바이어는 전형적인 한국 사람, 특별히 까다롭거나 불편하지는 않은 분이였다. 일에대한 결과에 스스로 꽤나 만족하는 바이다. 내일 또한 즐거이 지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사회라는 곳은 특별히 무섭지만은 않은 것 같다. 이번 일을 하면서 한국인과, 미국인과 함께 일하는 - 이런 자리에서 배운 점은 한국과 미국의 상당한 문화차이. 아무래도 구입하는 물건들에 대한 선호도에서도 볼 수 있듯이, 둘의 성향 차이는 참으로 크다. 뿐만아니라, 한국에서 계속 생활하신 바이어 분과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한국 사회에 대한 구조를 조금 들을 수 있었다. 첫 직장이 상당히 중요하다며, 꾸준함이 중요하다고 하셨다. 아무래도 기본적인 시발점이 한국과 미국 간에는 큰 차이가 있는 듯 하다. 보험 커버부터 시작하여, 기본인금, 승진확률, 직장인의 보편적인 경로 등이 일단 다르다. 큰 기업의 인식과 태도 또한 상반적이며, 그에 대한 인식 또한 매우 다르다. 이러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듣고있자니 한국사회가 때로는 무서워진다. 그러한 구조 속에서 내가 살아 갈 수 있을지, 미국이 편하게 느껴지는게 사실이다. 아무튼 이렇게 조금씩 사회에 대하여 배워가면서 즐거움을 느낀다. 무튼 이래저래 생각보다 일이 일찍 끝나 집에 일찍 오게되었다. 
       d 9 딱히 만족스럽지 않은 하루이다. 미국 컨퍼런스는 설탕류가 너무 많다. 이것저것 오랜만에 설탕 덩어리들을 줏어 먹었더니 속이 달다, 윽. 전보다 입이 짧아진 것 같다. 나이가 들 수록 머리는 아둔해지고 몸은 민감해진다는데,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나는 아니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왜인지 뛸 기운이 나지를 않는다, 아아. 어젯 밤 잠을 못 잔 터이리라. 유기화학 페이퍼를 자정 전에 내야한다. 휴, 학교를 빠져도 내야하는 것들이 있다니, 흥. 어서 마무리하고, 잠을 푹 자고, 내일이 왔으면 좋겠다. 내일은 친구의 합창공연을 보러간다. 금요일 또한 오전에 잠시 미팅이 있다. 이번 주는 참으로 짧고 속차구나. 졸리다.

      6/4 좋고 좋지 않은 마무리

      0027시, 아아 엉엉 싫다. 일을 마무리하고 매우 유쾌한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하였으나 역시나 불면은 나를 괴롭게 한다. 낮잠에서 일어난 2300시 경, 밤 낮의 패턴은 지켜져야하는데 너무나 싫구나. 방에 전구를 사왔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불이 켜졌다가 꺼져버렸다. 이 슬픔을..
      i'm so tired of making the same mistakes over and over. sometimes it is as if i am not trying to improve or heal. i walk long miles without them, but yet again, i find myself on the floor back on ground zero. but staying on ground zero and walking away from and toward it again is a different matter. efforts do count because it is the journey not the destination. but destination do also matter. i want to finish at a better place. at a better place than i am today. i want to move an inch a day towards something greater than i myself of yesterday. i want to make progress and have momentum of growth. that is what we want and we strive for. however difficult, however challenging, however impossible it may seem, there is beauty within and it should not be forsaken.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둘째 주 / 셋째 주  (0) 2011.06.05
      동네 산책  (0) 2011.05.31
      즐거운 주말, 셀카 작렬  (0) 2011.05.30
      no reasons  (0) 2011.05.30
      Outdoor Research , 사회 생활  (0) 2011.05.29
      Posted by water_
      ,
      짧은 아르바이트를 하게되었다. Outdoor Research (OR)은 Backpacking, hiking, skiing, snowshoeing, 등등 outdoor 기어들을 파는 회사이다. Nordstrom의 일부로, 설립된지는 10년이 조금 넘은 듯 하다. 다음 Season 의 제품들을 가지고 Domestic/International Buyer들을 위해 3일 동안 Presentation 형식의 Show 를 연다고 한다. 그 중 한국 Buyer를 위한, 한인 assistant 로 고용되었다. 따라서 OR은 나를 3일 동안 고용하였다, 하하.
      Show 가 있기 전에, 진행형식 등 회사에 대해 조금 더 알고싶다고 하자 나를 회사로 초대하였다. 긴장했는데 생각보다 훨씬 편안한 분위기였다. Show의 스캐줄을 하나하나 설명해주고, Conference 장의 위치, 한인 Buyer에 대한 설명 등 자세한 설명들을 듣고나니 한결 마음이 편안해졌다.
      더불어 회사 Tour를 시켜주었는데, 회사는 7층 건물로, 1층에는 매장이 있고, 7층은 오피스들, 그 사이는 무려 공장과 Storage가 있더라. 정부를 위해서도 물건들을 만드는데, 그러한 제품들은 State 주 내에서 만들어져야한다는 법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직접 이 곳에서 만들고, 이 외의 제품들은 China에서 만들어진다고 한다. 장갑이나 헤드기어 따위가 만들어지는 모습들을 보았는데 대부분 중국, 베트남, 멕시코 계의 노동자들이였다. 바느질 작업과 커팅 작업 등 모두 손으로 이루워지는 모습은 신기했다. 플러스 상당히 깔끔히 정돈되어있는 모습 또한 멋졌음.
      어떠한 회사를 위해서 일하는 것은 J Crew 이후로 처음, 그 회사의 본사를 이렇게 가까이서 자세히 보게 된 것은 처음이다. 나를 고용한 Jackton이라는 사람은 미생물을 전공하였는데 현재 International marketing manager 자리로 일하고 있다. 회사의 전반적 분위기는 상당히 깔끔하고 편안하지만 책임감있는 느낌이였다. 회사에 대해 매우 좋은 이미지를 받았다. 이렇게 사회에 대해서 하나씩 배워가는 것 같아 새롭고 즐거운 경험이다.
      Show 는 다음 주, 기대된다. 샘플 등, 제품들을 선물할테니 싸이즈를 알려달라던 고용주. 무엇을 줄지는 모르겠지만 등산용품이니 유용히 쓸 수 있는 것 들일테지, 기대가 된다. 하하



      회사 도착, 이 때까지만해도 긴장했음 하하


      화장실에 매우 친환경적인 손 타올이 있었다


      오피스 입구


      새로 진행되는 암벽 세트란다, 제품들을 실험하기 위한 핑계로, 놀으려고 만들었단다 허허


      아직 미완성임





      6/1 day 1 그 후
      아, 첫 날이 끝났다. 조금은 긴장하였지만 전혀 두려울 일 없던 하루였다. 종일 한인 바이어 곁에서 통역과 대화를 나누었다. 사람이라는 것이 얼마나 기이한지를, 또 사회라는 곳이 얼마나 기이한지를 다시 느낄 수 있는 기회였다. 나를 고용한 OR 의 international marketing manager 는 나에게 한인 바이어들의 행동을 이해하기 어려운 점들이 많다고 이야기하였다. 오늘 만난 한인 바이어는 미국 녀석들의 비즈니스 태도에 대해 불만을 표하였다. 서로 순조롭지만은 않은 관계인 것 같다. 서로는 대화가 통하지 않지만 중립적이고 양문화를 어느정도 수용하는 나에게는 두 파티 모두 서슴없이 이야기를 하는 듯 했다. 정작 서로 앞에서는 별 말들이 없다 .. 아무튼, OR 측은, 한인 바이어의 구체적이지 않은 마케팅 제안서에 불만을 표했고, 한인 바이어는 OR 측의 느린 서비스와, 일본 시장이 넓어지면서 한국에 소홀해하는 것 같다는 점에 불만이 가장 컸다.
      한인 바이어분에게 불만을 직접 이야기해보시는게 어떻냐고 제안하자 저 사람들은 말이 통하지 않는다며 거절하셨다. 왜 자신의 주장을 이야기 하지도 않고, 그들의 태도를 부정적으로 수용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어쩌면 전형적인 동양의 방법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이어 분은 더이상 OR 에게 대화나 기대보다 그저 비즈니스만 하고싶어했다. 반면에OR 측은 한국의 시장에 대한 이해, 앞으로의 전망 등을 공유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둘의 소통은 , 거의 제로에 가까웠다.
      내가 고용되면서 OR 측에서 들은 바로는, 통역가라기보다 바이어가 본인들에게 질문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그의 생각을 끌어내는, 협정의 도구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바이어는 나에게 많은 이야기를 해 주었지만 얼만큼을 OR 측에 전달해야하는지 모르겠다. 바이어분은,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지만, 그저 같은 민족이라는 이유의, 편안한 마음에 나에게 이야기를 쉽게 하셨으리라. 그러한 이야기들을 OR 측에 전달해도 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전달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편을 들려 하는 일이라기보다 그저 나의 의견이 그러하다. 이런 점을 고려 할 때에 나는 한인의 정서보다 서양의 정서에 가깝지 않나 생각된다. 하지만 정보와 요구사항을 공유하고, 현재의 비즈니스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나아갈 전망들을 나누는 것이 보다 전반적인 사업에 효과적인 것 아닐까? 나의 의견에 대한 옳고 그름은 없으리라.
      더불어, 바이어에게서 한인 사회문화에 대해서 조금 들을 기회가 있었다. 한국에서 본인이 수입한 물건들을 여러 매장측에 공급한다고한다. 이 또한 물주와 바이어들의 만남이 이루워지는데, 이번 OR 측의 행사와 의도는 같다 - 도매점들에게 물건을 설명하고 홍보하는 것. 하지만 그 과정은 매우 다르다고한다. 오늘 OR 측의 쇼같은 경우, 제품들을 직접 체험하는 것이 많았다. 예를들어 Gaiter 를 착용하고, 흙 위를 달리는 wii 를 설치해둔다던가, 래프팅을 위한 모자를 위해 강풍 선풍기와 래프팅을 준비해두는 모습들을 한국에서는 절대 볼 수 없다고 한다. 아무도 그러한 세팅에 참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물주와 바이어들은 점심부터 모여 밥을 먹고 술을 마시며,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좋지 않은 문화라고 생각한다. 물건을 팔고 사는데에 물건을 설명하는 시간보다 개인적 bonding 을 하는 음주의 시간을 갖는다니, 이상한 일이지 않은가.
      이러한 점들을 생각하며, 역시나 미국의 work ethic 이 보다 나에게 편안한 것 같다는 생각을 다시 해본다. 비록 잠시 뿐이였지만 J CREW 에서의 경험, 그리고 OR 에서의 경험은 참으로 재미있었다. 물론 한국의 제주도 IVY CAMP 의 경험도 재미는 있었지만, 미국의 비즈니스만큼 깔끔함이라고는 전혀 찾아 볼 수 없었다. 물론 회사의 규모에서 수백배의 차이가 있지만, 시스템의 기초라는 것이 애초에 한국 비즈니스에서는 약한 것 같다. 전반적인 틀과, 세부적인 규정들이 매우 부실하거나, 딱히 중요시 여겨지지 않는다. 이렇게 기준이 흐릿한 환경에서 일하는 것은 재미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결코 유쾌하지 않는 일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졸업 후에 어디에서 살고싶냐는 질문을 물어온다. 가장 이상적인 일은 미국에서 국제기업에 취직하여, 어느정도 경력을 쌓은 후에 한국으로 발령을 받는 것이다. 오늘 바이어분도 이 이야기를 하셨지만, 사람 사는 일이 그렇게 딱 떨어지지 않는다는 이야기도 하셨다. 아무튼 어떠한 일을 하느냐보다 어떻게 일을 하느냐가 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솔직히 어떠한 일을 하여도, 그 시스템이 깔끔하고 환경이 유쾌하다면 즐거울 것 같다. 그 일이 한국이냐 미국이냐 사이에서는 솔직히 미국에서가 마음이 편하지 않을까 싶다. 비록 짧았지만 한국에서의 사회경험에는 술이 너무나 쉽게 포함되어있고, 그것의 비중감이 결코 적지않다. 사교또한 이제는 오히려 이 곳이 편해지는 감도 없지 않다. 이렇게 나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잃는 것일까 .. 결국 한국인도 미국인도 아닌, 중간계 정도의 오지의 , 소속없는 사람이 되어버리는 것은 아닐까 .. 딱히 걱정되는 일은 아니지만 유쾌하지만도 않은 일이다. 물론 유학생의 인구가 늚으로써 나와 비슷한 다사회적인 인구가 늘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나는 그러한 유학파인구의 소속이 될 수 있을까, 그 또한 아니라고 생각되지만 객관적으로 그래 보일 확률이 높다.
      더불어, 오늘 미팅에는 도메스틱 국내, 그리고 인터네셔널 국제 바이어들이 모인 자리였다. 그룹을 미국 팀, 캐나다 팀, 그리고 그 외 국가들 팀으로 나누어 한 시간 정도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이 또한 매우 인상적이였다. 한국, 일본, 대만, 칠레, 유럽대표팀 이 있었다. 일본은 지진으로 인하여 사람들이 한동안 등산을 기피하였지만, 등산복과 같은 옷들을 대비하여 많이 사는 바람에 매출이 늘기도 했다고 한다. 지진의 여파는 여전히 느껴지지만 크게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고한다. 많은 사람이 여전히 지진의 가능성에 대해 불편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도 하였따. 대만이 가장 흥미로왔다. 어쩌면 내가 중국에 가장 흥미를 두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중국의 outdoor sports 시장 규모는 점점커지고 있다고한다. 하지만 그러한 문화가 아직 성립되지 않았다. 물론 많은 땅이 있지만, 공적인 땅들도 개인의 소유인 곳들이 많고, 정부의 규제가 여전히 심하다고한다. 이리하여 스키와 같은 outdoor 문화를 성립하는 데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OR 측이 중국의 문화를 바라보는 것을 보며, 얼마나 거시적인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그들은 아직 성립되지 않은 중국 시장이지만 그 시작을 분명히 감지하고, 정부의 개입 때문에 어려워보이는 문화육성에 기대를걸고 있었다. climbing festival 이라는 행사가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작은 움직임이지만 움직임은 움직임이니라. 이 처럼 OR은 제품을 팔기위하여 문화를 양성하고 지지하고있었다. 칠레는 지진의 여파가 여전히 남아있으나 대부분의 혼란은 가라앉았다고 하였다. 경제는 건강하고 환경적인 문제들이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 수로들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유럽 대표는 여러 국가들의 대표들을 모아야 함으로 미팅이 비교적 어렵다고하였다. 더불어 러시아의 정치적 움직임 또한 경제와 문화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러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하였다. 한국 대표의 주장은 내가 번역하였다. 한국 현재 시장은 매우 경쟁적이다. 거의 모든 해외 outdoor 브랜드들이 한국에 들어와있기 때문에 고객들의 기준이 높다. 더불어 아이템이 나오는 족족 국내 브랜드에서 유사제품을 보다 저렴한 값으로 만들기 때문에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더불어 이처럼 많은 경쟁과 제품들 사이에서 브랜드 밸류와 값은 둘째이고, 첫 째는 기능이라고 한다. 또한 인터넷 쇼핑의 문화는 계속해서 자라나고 있다고도 하였다. 이렇게 세계의 국가들이 개인적인 배경과 문화를 가지고 한 자리에 모여있는 것이 신기하였다.
      또한, OR 의 제품들을 보면서, 참으로 간단해 보이지만 그 사이에서 차별화 됨을 만들기 위해 얼마만큼의 노력이 들어가는지에대해 놀랐다. 솔직히 왠만한 방수 자켓은 비슷해 보이기 마련이다. 시장에 나와있는 방수 자켓의 수는 대여섯 쯤 되고, 그 사이에서 가격, 기능, 디자인 등을 꼼꼼히 따져 고르는 것이 고객이다. 그 사이에서 자신들의 브랜드를 개별화 시키기 위해서는 특별한 '무엇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디자인 면에서 볼 때에 많이 벗어나는 것은 위험하다. 트렌드를 따라야하고 대중성이 있어야한다. 기능면에서 뛰어나는 것은 값에 큰 타격을 입히고, 가격 내에서 기능의 차별화를 두는 것에는 정도의 한계가 있다. 더불어 미세한 기능의 차이는 어떻게 마케팅되느냐가 강권이고, 대중에게 이해받기란 쉽지 않다. 매 해 비슷한 제품들을 만들어내는 것 같은 회사들도, 이렇게 미세한 것들을 연구하고 수정하고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는 것이, 어쩌면 당연하겠지만, 어느정도 아는 것과 직접 보는 것의 차이는 매우 컸다. 흥미로운 배움이였다.  
      아무튼, 나는 이렇게 조금씩 사회에 대해서 배우고 있다. 내일도 무사히 즐겁게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점심 메뉴가 맛있게 나와서 좋았다 크크. 페이 또한 기대되는 바이다. 이왕하는 일 열심히 해보자 !

      6/4 끝

      끝났다. 일이 끝났다. Jackton도 한인 바이어 분도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미팅을 가진 듯 하였다. 둘의 한계에 대해 불만이 많은 듯한 분위기였으나, 마무리는 모두 서로의 노력과 제한적인 부분들을 수긍하는 듯한 모습이 인상적이였다. 역시나 마무리가 깔금하고 정리되어야 긍정적인 전반적 인상을 남길 수 있는 듯 하다. 나의 업무는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으니 나 또한 좋은 마무리의 모습을 보여주어야겠다고 생각한다.

      '일상, 단상 > 단상과 일상 20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주말, 셀카 작렬  (0) 2011.05.30
      no reasons  (0) 2011.05.30
      불면, 알면서 마시는 커피  (0) 2011.05.12
      화려하지 않은 the end 끝  (0) 2011.05.09
      그 와중 나를 웃게 ... 폭소하게 했던  (1) 2011.05.07
      Posted by water_
      ,
      연을 쫓는 아이
      감독 마크 포스터 (2007 / 미국)
      출연 제케리아 에브라하미,아흐마드 칸 마흐미드제다
      상세보기

      연을 쫓는 아이 Kite Runner의 책을 읽은 것은 3년 전. 영화를 보며 책의 묘사들이 기억이 났다. 개인적으로 영화가 책보다 재미있었다. 책을 읽으며 나의 머릿 속에 상상되었던 그림들은 사실상 뚜렷하지 않다. 아프간의 문화와 모습들에 대한 배경 지식, 혹은 이미지들이 많이 없기 때문에 상상한다는 것이 너무나 백지장 같았을 것이다. 영상화된 그림들인 영화를 보며, 아프간의 문화와, 그들의 의복, 길거리, 건축, 얼굴 선 들을 직접적으로 보니, 그 문화가 얼마나 고유하고, 멋진지 느낄 수 있어 좋았다. 눈이 매우 즐거웠다.
      내용은 간단하면서도 훌륭하다. 사회적 배경을 대중에게 훌륭히 전달하였고, 문화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현상들, 물론 미화된, 동화적인 요소가 있는 듯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야기이지 않은가. 생각 해 볼 수 있는 주제거리를 던져준다. 문화적인 것을 떠나 가족, 개인, 친구, 집단성, 사회, 구성원, 등 사람에 대한 사람 향이 짙은 영화이다. 사람들의 움직임 - 사회적 단체들의 행위들, 가족 구성원의 - 각자의 위치, 그리고 그러한 위치들의 상호관계 등이 매우 흥미롭다. 사건에 따라 변하고 변하지 않는 인물들의 감정, 성격 등에 집중하며 보았다.
      친구, 형제, 아버지, 하인 ... 거짓말, 사실, 충성심 ... 나라면 어떠했을까를 생각하게하는, 나에게는 너무나도 다른 세상의 일인 듯 하지만, 큰 틀에서 생각해 보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나에게 거짓을 말한 아버지, 나에게 끝까지 믿음과 충성을 준 친구, 하인, 형제 - 그를 위해 내가 얼만큼 할 수 있는가. 나를 위해 목숨도 마다하지 않은 친구를 위해, 나는 얼만큼 움직일까 ...

      연을 고르는 Amir Jan




      Amir Jan과 Hassan



      사진 출처 http://movies.nytimes.com/2007/12/14/movies/14kite.html
      http://www.coiana.com/stream/2008/04/the-kite-runner.html

      Posted by water_
      ,

      Pharmacy Schools

      사회 /의약업 2011. 4. 18. 16:54



      학교 학교 학교.. 평생 다니는 것 같다 , 맞는 것이 지금 까지의 생은 지속적으로 학교를 다녔구나. 무튼 가고싶은 학교들이 몇 있다. 사실 학교자체 보다 지역이 중요 한 듯. 동부에서는 딱히 지내고 싶다라는 지역이 없다. Boston 도 살고싶지만 약대가 마땅치 않다.  
      하와이가 가장 가고싶으나 엄마 아빠가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다. 랭킹이 높은 학교도 아니고 조금은 쌩뚱맞거나 생소한 느낌이 있는 지역이다. 걱정 많은 아빠는 지진 걱정을 하실 것이 분명하다 .. 창준이와 가까운 곳이 아무래도 가장 이상적이다. 엄마아빠도 그렇게 생각하실 것이고 나 또한 동의한다. 창준이를 움직일 수 없으니 내가 움직이는 것이 맞다. Maryland 는 진심 생소하다. 학교에 붙을 수 있을지 또한 의문 , 천천히 어떤 곳인지 알아보아야겠다.
      이 리스트 외에 하나의 학교가 더 있다, 정작 가고싶은지는 모르겠지만 그저 염두에 두고있는 곳. 후년 쯤의 일이니 천천히 준비를 해야하는 것 같다 , 휙 쿵.


      U of Washington Seattle School of Pharmacy
      시애틀이 좋으니까 .. 시애틀을 벗어나고 싶기도 않기도 하다.

      U of Hwaii Hilo College of Pharmacy http://pharmacy.uhh.hawaii.edu/ 
      가장 가고싶다 ! 하와이 하와이 동경과 낭만의 하와이.

      U of Marylnand Baltimore School of Pharmacy http://www2.pharmacy.umaryland.edu/ 
      창준이와 가까운 거리에서 지낼 수 있을 것 같다.





      Posted by water_
      ,

      내 이름은 칸
      감독 카란 조하르 (2010 / 인도)
      출연 샤룩 칸,까졸
      상세보기


      3 idiots 만큼이나 멋진 영화. 주제가 인종차별, 종교차별이니 만큼 가볍고 유쾌하지만은 않지만 분명 뿌듯하고 와닿는 영화. 2001년의 9 11 테러는 그야말로 충격적인 역사이다. 내 생의 가장 큰 역사이고, 통일이 되지 않는 한, 앞으로도 내 생의 가장 큰 역사로 남을 것 같다. 2011년 9월 11일, 그 날의 아침을 또렷히 기억한다. 당시 나는 6학년, 사건의 중대성도 알지 못하였는데 어떻게 기억하는지 모르겠다. 아침에 일어나 학교에 갈 준비를 하고 있었고, 라디오에서는 World Trade Center 가 무너졌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었다. 그것이 무엇인지도 몰랐던 나는 아무런 생각 없이 라디오를 들으며 양치를하고 옷을 갈아입었다. tv에서 건물이 흐드러지는 영상을 보았고, 굉장하다는 생각은 하였지만 기겁할 정도는 아니였다. 사건의 무게는 학교에 도착하여 느낄 수 있었다. 모든 학생들, 선생님들이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고, 수업은 카운슬링으로 대체되었다. 가장 예쁘셨던 영어 선생님은, 남편 분이 군인이시라며 눈물을 흘리셨고, 우리는 모두 교실에 앉아 기도를 드렸다.
      영화 왈, 미국인들의 영사는 bc 와 ac 로 나뉘지만, 무슬림들에게 역사는 911 이전과 911 이후로 나뉜다고 한다. 사실상, 딱히 그들의 입장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적은 없었다. 대부분 머리가 좋은 사람들이고, 종교적 성향이 강하며, 테러학교라는 기이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것 정도. 하지만 그들 중에서도 분명 선과 악이 있고, 분류가 있다 - 매우 많다. 그들을 대하는 시선은 그러한 구분들을 크게 중요시 하지 않을 것이다. 지구상에는 수천가지의 박테리아 종자가 있지만 그 중 300 종 만이 인체에 해롭다. 하지만 우리는 모든 세균을 더럽고 해로운 것으로 여긴다. 이 처럼 대중은 자신이 속하지 않은 것에 대을 세분화하여 인식하는 습관이 없다. 따라서 모든 무슬림을, 보다 어리석게는 모든 중동민족을 테러리스트로 바라보는 시선들이 있다.
      주인공 Khan은 무슬림이지만 마냥 순수한 청년이다. 하지만 그의 종교적 배경 때문에, 그의 이름 때문에, 그의 아들은 죽음으로 몰리고, 그는 자신이 테러리스트가 아니라는 말을 대통령에게 전하려 여행을 떠난다. 그가 전하려는 말은 "My name is Khan. I am not a terrorist." 여행 중 그는 다른 이들을 돕고, 자신을 돕고, 사랑으로, 긍정으로 상황과 마주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들의 죽음으로 미움으로 뭉친 아내와는 다르게, Khan은 사랑으로 세상을 대한다. 아내는 Khan을 거부하지만, Khan은 아내를 여전히 사랑하고, 그녀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마음아픔을 감수한다.
      이러한 사람을 어찌 Terrorist로 모는가. 하지만 분명 이러한 일은 너무나도 흔하다. 분명 9 11 테러 이후에 미국 사람들은 그들을 대하는 태도가 변하였다. 그들의 사업은 사그라 들었으며,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 또한 편견으로 가득했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매우 흥미롭다. 그야말로 모든 국적의 사람들이 모여있으니 말이다. 유럽에서의 이민가족들, 아시아의 유학생, 이민가족들, 멕시코에서 올라온 노동인력, 동남아시아의 유학, 노동인구 - 그야말로 전 세계가 모여있는 곳이 미국이다. 한국에서 한국어가 서툰 사람을 만나는 일은 흔치 않지만, 미국에서 살면서 영어가 서툰사람을 많이 볼 수 있다. 미국이 모국이 아니라는 뜻이다. 이렇게 여러 문화가 공존하고 섞이기도 하는 이 곳 - 인간의 성향을 시험하기 가장 좋은 곳 일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성 속에서도, 집단은 덩어리가 아닌 세부적인 구성원들이 존재한다는 것, 개인의 존재를 누구보다 잘 아는 미국에서도 종교와 인종의 차별이 존재한다는 것은 속상한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미국이지만, 이 '미국'안에서도 분류가 있다. 편견가득한 시선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시선도 있다. 다수가 어느 쪽인지는 분명하지만, 소수 또한 존중받아야하고, 어쩌면 어리석은 다수보다 옳은 기준을 가진 소수에 집중하는 것이 보다 현명 할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세상은 개인들로 구성되어있고 옳음이 있는만큼 그름도 있다 - 그렇게 우리는, 모두는 공존한다. 타인의, 다른 이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헤아릴 수 있는 것이 의무가 아닐까 싶다 - 그런 의미에서, 생각해보지 않았던 입장을 보여주는 이 영화는 훌륭하다.



      호박을 건네는 칸, 순수함은 주로 엉뚱히 보이기 마련

       



      "No, not Khan. From the epiglottis. Khan. Khan." 칸이 아니고 epiglottis 후두개에서 부터, 크흐흐한 - 크흐흐한 ㅋ ㅋㅋㅋㅋㅋ




      "Our Khan has managed to achieve with his love and humanity..." 정의를 위한 싸움도, 미움이 아닌 사랑으로 만드는 움직임이 보다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칸. 미움으로 싸우려했지만 결국 칸에게 돌아왔고, 칸의 사랑의 움직임이 옳았음을 인식하는 그녀.






      "The death of one innocent is equal to the death of humanity" 정의는 한 사람의 희생으로 무너진다. 그 만큼 정의란 절대적이며, 목숨의 가치는 숫자에 비례하지 않는다 - 하나의 목숨은 천의 목숨과도 같은 것.




      "Come back to me baby" 오열하는 엄마 그녀






      자동차 따위를 수리하며 여행자금을 마련하는 칸 - 대통령을 만나러 가는 중




      기도는 장소와 시선을 가리지 않는다 - 기도 시간에는 기도를 해야 하는 것이다, 어디에 있건, 누가 보건, 기도는 기도는 기도는 기도.




      여행자 칸




      다친 꼬마를 도와주고 Mama Jenny의 집에 머물게 된 칸, Mama Jenny의 드레스를 입고 있다 ㅋ ㅋㅋㅋㅋ




      "I... Mama Jenny, I don't know what to say." 양아들은 유일한 최고의 친구였고, 그를 잃음은 - 설명 할 수 없는 일





      괜찮을 것을 노래하는 소년 - 아프로 머리 소년의 감성 멜로디, 아들을 바라보는 Mama Jenny의 흐믓한 표정. 네, 괜찮을거에요 -




      "This one you cannot repair. Now go." 폭우와 홍수로 Mama Jenny 의 마을이 물로 덮히자 그녀를 찾아온 칸 - 모든 기계를 고칠 수 있더라도 이것은 고칠 수 없다며, 칸의 안전을 위해 돌라가라고 이야기하는 Mama Jenny. 하지만 칸은 돌아갈리 없다




      아들의 죽음으로 모든 것을 잃고 무너진 그녀, 칸의 이름 때문에 아들이 죽었고, 칸의 아내가 될 수 없다던 그녀 - 아들의 죽음으로 아픔과 미움으로 뭉쳐있던 그녀, 아들을 보내주기로 결심. 성조기의 색인 빨강, 하얀, 파란 색의 풍선을, 아들이 죽은 자리에서 하늘로 날려 보낸다. 이 나라에 대한, American의 정의에 대한, 알 수 없는 의미들, 인종차별, 엇나간 기준들, 이해받지 못하는, 이해하지 못하는 인간관계들 - 모든 것을 날렸으리라.




      드디어 대통령을 만나게되는 칸 - 사랑으로, 순수함으로, 꿈을 이루는 장면

      Posted by water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