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연극을 보았다네. 청주에 공연이 많지는 않지만 여름마다 들리면 하나씩은 볼 수 있는 듯. 작년에는 성안길 '씨에터 제이'에서 보았는데 이번은 수곡동 '문화공간 새벽' (위치: 수곡 중학교 버스터미널 바로 뒤..). 인터넷으로 예매하여 갔는데 티켓값이 상당히 저렴. 아직까지는 청주의 소극장이 많이 활성화 된 것 같지는 않아 조금 아쉽다. 소극장 문화만 발달되어도 청주지역에 즐길 수 있는 문화생활이 훨씬 많아질텐데. 특별히 영화 이외에는 문화공간이 예술의 전당 정도 .. 간간히 축제들이 있지만 연극과 문화적 가치를 비할 수는 없는 듯 싶다. 극 내용은 한국전쟁 중심 - 올 해가 한국전쟁 61년 이라고한다. 가장 인상깊이 남은 것은 배우분들이 상당히 능숙하셨다는 것.. 몸에 익은 동선들이 연습을 많이 하신 것 같다 , 혹은 굉장한 배우분들이시거나..하하 멋졌다. 추천 !


귀동아 방귀동아
예술공장 두레 기획

시작은 상당히 즐겁다 - 우리나라의 흥과 춤으로 농민의 삶을 표현. 해방 등 배경 설명이 어느정도 되고 보도연맹에 내용은 집중된다. 공산주의를 허용하는 너그러운 듯한 태도로 명단은 작성되고 , 쌀을 얻기위해 소작 농민들은 국민보도연맹에 가입. 결과적으로 정치 혹은 운동과 관계 없는 - 오히려 관여하고 싶지 않아하는 농민들을 반 강제적으로 가입시킨 것. 6 25 전쟁이 터지자 공산주의에 힘이 될만한 세력을 처리한다는 차원으로 이들을 학살. 주의 깊게 읽을 내용은 " 이때의 학살에 대한 실상은 공개된 것이 없으며 지금까지도 정확한 해명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극의 내용은 이렇게 전반적으로 평범하고 무고한 농민들의 전쟁이라는 사회적 움직임 속에서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그들만의 행복 기준 , 슬픔 아픔 , 억울함이 표현된 것 같다. 흥겹게 시작했고, 무서웠고 결말은 비통했던 작품이였다. 특히나 가족과 남편을 잃은 아내의 울음소리가 지금도 기억속에서 울린다..
처음 가 본 '문화공간 새벽'. 지하이지만 벽화가 그려져있고 불도 밝아 극장의 분위기가 나쁘지는 않음. 성안길 '씨에터 제이'가 보다 새로 지은 곳이여서 깔끔하지만 비교적 깔끔함. 계단을 내려가는 길에 사진 등을 배치 - 세심한 노력이 보인다. 에어콘 옆에 앉았는데도 공연동안 춥지 않았음. 매우 기본적인 조명을 사용하는 것 같다. 노랑 파랑 초롣 등 뚜렷한 색과, 관객을 극 중으로 포함하는 장면에서 관객에게 조명을 비추는 등 일반적/실용적인 조명의 사용. 이따금씩 조명이 미세히 깜박.. 정도는 아니지만 흔들렸는데 의도적인 것인지 조명의 문제인지 잘 모르겠다. 공간을 참 알뜰히 활용. 특별한 소품 없이도 모든 것이 표현 가능하다. 무대 위 배경드랍은 나무 숲, 소품은 흰 천들이 묶여 걸린 우물 하나. 전체적으로 무대를 적극 활용 - 동선을 무대 위에 균등히 분포. 배우들의 키 또한 치우치는 경우가 없었던 듯.
공연을 보면서 늘 느끼지만 참으로 섬세함이 필요한 일인 듯 싶다. 모든 일이 그렇겠지만 즉흥성 또한 가미됨으로 연습에 연습이 필요하고 예측 할 수 없는 것 마저 염두에 두려니 여간 쉽지 않을 것 같다. 실수는 대사 한 번 머뭇하신 것 정도.. 긴장이 되시는 배우분도 계셨을텐데 전혀 느낄 수 없었음. 안무 대사 동선 모두 몸에 밴 능숙함으로 연극하시는 모습이 상당히 멋지다. 특히나 슬로우 모션으로 움직이시는 부분은 표정 등 특히나 신경 쓰이셨을텐데 , 재미있게 보았다.
'방귀'라는 솔직히 조금은 동 떨어진 듯한 개념이, 극이 끝나고 돌아보니 솔직함 , 혹은 참아야하는 것 등 추상적 개념과 연관이 되면서 전체적 시너지가 느껴진다. 아픔과 슬픔 , 억울함 속에서도 가족 단위의 행복, 그들만의 아름다운 삶과 웃음을 그리던 모습들이 속속 기억이 나면서 - 생각만으로도 짠해지는 작품이였다. 개인적으로 기억에 남는 것은 작은 귀동 역을 맡으신 분의 역활변화. 할머니이셨다가 다섯살 이셨다가 다시 할머니가 되신 .. 첫 할머니 장면에서는 주름 메이크업이 상당히 진하셨는데 아이 역을 하시고 돌아오셨을때는 조금 달랐던 것 같다.. 기억의 조작인가.. 무튼 두 역을 모두 멋지게 소화하셨다. 팜플렛을 보니 안무도 맡으셨던데 멋지시다.
한 가지 의문인 것은 우물 위에 흰 천을 동동 묶어 돌아가신 영혼 분들께서 그것들을 하나씩 푸셨는데 ,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모르겠음., 대략 검색을 해보니 우리 민족이 흰색을 특별히 여긴다는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색과의 연관성에 대해도 조금 배우게 됨
붉은 색: 피, 생명
흰색: 병, 죽음
검정: 죽음의 지속, 흙으로 돌아감
죽기 직전, 직후 등 백색의 천으로 시신을 덮는 것이 문화.
그러고보니 한국 무용 중에서도 상당히 긴 하얀 소매를 볼 수 있는데 그것들의 이름은 장삼 (승무 춤) 과 한삼 (탈 춤)이라고 함.


공연 기획 측에서 나의 의문에 대한 답변이 오셨다 - 친절히 이메일을 써주셨다. 
' ...우물로 보신 무대세트는 솟대입니다.
바위위에 세운 솟대가 다시 보니 제 눈에도 우물로 보이네요^^
솟대에 묶인 천은 '고'라고 합니다.
고라는 것은 묶여진 매듭을 뜻하는 말이구요.
굿의 양식에서 빌려온 것입니다.
억울하게 돌아가신 분들의 원한을 풀어드리는 제의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승에서의 맺힌 한이 고가 풀리듯 풀어놓고 맘편히 가시라는 의미를 담고 있지요.
저희 공연에서도 억울한 원혼들이 고를 풀고 좋은 곳으로 간다는의미로 그렇게 형상화 하였습니다.... "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기획사 예술공장 두레 ! :)
 
*사진은 클릭하여 실제 사이즈로 보시기를



사진 출처 밑 기타 정보:  극단 새벽  http://cafe.daum.net/sabyuk 


Posted by water_
,



참으로 역사적인 음악가라는 생각이든다. 나의 의견에 무관히 , 내가 아는 것 보다 굉장한 음악가이실테지만 너무 좋다 .. 저 편안한 모습을 보라 크으. 엄마가 공연에 다녀오시더니 음반도 구입하시어 운전 중 계속 들으신다 , 곁에서 듣고있자면 아는 곡이 네 다섯 뿐이지만 좋다. 좋아하는 두 곡 , 이 외에도 가장 좋아하는 곡 - 태양의 눈 또한 굉장하다. 원곡 뿐아니라 공연 중 리마스터링된 곡들의 섬세함과 시대를 무색케하는 소리 - 하아 참 멋지다. 평양 평화 공연을 본 후로 감동이 여전하다 , 나도 가고싶다 공연..

Posted by water_
,

NexttoNormalforPiano/Vocal/Chords:VocalSelections
카테고리 예술/건축 > 음악 > 장르(POP,ROCK,JAZZ)
지은이 Kitt, Tom (COP)/ Yorkey, Brian (COP) (Alfred, 2009년)
상세보기

수상내역

Tony Award for Best Score
Tony Award for Best Orchestrations

Pulitzer Prize for Drama
Alice Ripley (주인공) Tonny Awards Best Performance by Leading Actress in a Musical



5th Ave Theatre 에서 Broadway Musical next to normal 을 보았습니다.
왜인지 대문자를 쓰지 않네요, 의도가 있겠지요.



5th Ave Theatre는 처음입니다. 인터넷으로 표를 예매하고, 프린트하지 않았는데, 와보니 미리 봉투에 담아두었더군요. 원래 이런건가 봅니다. 공연 초보다 보니 소소한 모든게 신기 재미있습니다.



내부촬영하다 혼났지만, 몇 장 올리자면 - 
공연장 건축의 주제는 고대 중국. 저 안에 음향장비가 들어있습니다. 대부분 나무를 깎아 지었습니다.

천정

무대가 끝난 후의 모습. 사람들이 나가고있습니다. 아주머니 흐뭇한 표정이네요.

멀리서 본 무대. 저렇게 3층 구조로 지어져있습니다. 세로로 또한 삼등분으로 나누어져있고, 계단을 통해 극 중 배우들의 동선이 매우 다양합니다.
가장 왼쪽 윗 칸은 기타 연주자가 공연 내내 앉아 연주를 하십니다. 기타는 통과 일렉을 번갈아 사용.
왼쪽 둘째 칸은 바이올린 연주자 둘
오른쪽 윗 칸은 드럼과 첼로
오른쪽 둘째 칸은 한 분 께서 피아노 / 쉐이커 / 지휘를 하십니다.
건반을 치시면서 고개로도 지휘를 하시고, 건반을 치지 않으실 때는 손으로 지휘를 하십니다. 카메라가 있어 연주자들의 호흡을 맞춥니다. 관객 쪽 위로도 화면이 있더라구요.

가장 인상적인 것이 바로 이 무대와 조명이였습니다.
배경의 빛이 파랑, 보라, 초록, 노랑, 빨강 사이에서, 서서히 넘어가기도하고, 극적인 변화의 장면에서는 한 순간에 색을 바꾸기도 합니다. 노란 전구들 또한 빛의 밝기 조절이 되어 극의 내용에 따라 어둡고 밝기가 달라집니다.


사진을 좀 퍼오자면,

크 - 유리에 그려진 눈매, 저 유리는 문처럼 열리기도 닫히기도한다.


눈이 그려진 유리는 대부분 열려있다. 이층의 양쪽과, 삼층의 가운데는, 집을 상징하는 창문과 지붕이 그려진 유리들이 있다. 저 유리들은 움직이지 않는다. 안에서는 연주자들이 있다. 안에서 악보를 읽는 빛이 있어, 연주자들이 보이지만, 조명을 비추지는 않는다.

빛이 벽에서 나오는만큼, 벽에 다가갈 수록 배우의 현상은 그림자가된다. 파아란 배경의 검은 배우의 그림자, 환상적인 장면이 속속 연출된다.




내용을 요약차면, 가족에 대한 이야기. 엄마는 조울증, 우울증 등 정신적 합병증을 앓고 있다. 의사 역할의 비중도 꽤나 크다.

3층의 남자: 아들
2층 엄마, 의사
1층 아빠, 딸, 딸의 남자친구

색깔이 매우 훌륭히 사용되었다. 배경도 그러하고 배우들의 의상 색깔이 그러하다. 엄마/아빠의 관계와 딸/남자친구의 관계가 싱크되는 경우에서 그들의 옷 색깔 또한 싱크된다. 엄마/아들의 관계가 강조될때 둘의 옷은 같은 색이고, 아들만 제외될 때에, 그의 셔츠만 다른 색이다.
사진의 장면은 마지막 장면으로, 엄마와 의사만 보라색을 입고있다. 색의 상징성은 다양하다. 극 중에서 빨강과 파랑이 가장 전형적으로 사용되며,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은 엄마/아들이 흰 옷을 입고 왈츠를 추던 장면. 아들에 대한 엄마의 순수하고 깊은 감정을 느낄 수 있고, 매우 감동적인 장면이다. 가장 아름답고 무서운 장면이기도하다.

Theme - 테마가 훌륭하다고 느꼈다. 관객마다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느낀 테마는 '다름과 평범함' 이다.
딸은 클래식을 전공하고싶어한다. 규율과 정석을 지키는, 전형적인 모범생. 반면, 남자친구는 재즈를 좋아한다. 클래식은 틀에 갇혀 즉흥성을 잃는다고 말한다. 딸이 말하기를, 모차르트는 미쳤었지만, 그의 음악은 논리이고, 하모니이고, 아름다움. 정상과 비정상 사이의 찾을 수 없는 경계를 이야기한다.

엄마는 정신'병'을 치료하기 위해 의사를 만나고, 터무니 없이 많은 약을 복용한다. 아빠는 그러한 엄마를 사랑하고 가족을 지키려 노력한다. 서로는 서로가 자신을 이해 할 수 없음을 노래한다. 아빠는 엄마를 기다리고, 위로하고, 노력하고, 그녀의 피를 닦는다. 그렇게 그는 지쳐가지만 포기하지 않는다. 그녀를 사랑한다고 이야기한다.

의사에게 문제가 생기면 하소연을 하지만, 의사는 'completely normal'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이며, 아무런 걱정하지 말라고 이야기한다. 터무니 없이 많은 약들과 치료 방법들을 사용하면서도, 모든 것은 괜찮고, 드믈지만 충분히 있을 수 있는 현상이라고 이야기한다. 정말이지 어처구니가 없다. 하지만 가족은 포기하지 않는다, hope 희망을 가지고, better 나아짐을 기대한다.

next to normal, 정상의 곁, 정상적이지 않지만, 그것에 가까운 것을 뜻하는 듯 하다. 정상이라, 그 누가 정의 할 수 있겠는가. 정신과 Handbook에는, 누군가를 잃고 4개월 이상 슬픔에 잠겨있는 것은 비정상의 범주라 정의한다. 자식을 잃은 엄마가, 4개월 넘도록 마음아파하는 일이, 비정상이라 이야기 할 수 있는가.

사회적으로 금지된 영역들이 있었다. 아무도 말하면 안된다고 하지 않지만, 모두들 피하려는 주제들. 선을 그어 놓고, 그것을 넘는 일을 사람들은 '안됨'으로 여긴다. 역사적으로는, 여성인권, 인종차별, 종교 등. 오늘도 물론 껄끄러움이 남아있는 영역들이다. 현 시대의 새로운 기피항목은, 극의 주제로 다루어진 정신적 질환과 동성애가 아닌가 싶다.

모든 현상을 의학적으로 설명가능타고 착각하는 의사들과, 그 말을 곧대로 믿는 대중. 그들은 질병의 환자가 아니라, 현대 의학에 대한 깊은 신뢰의 환자이다. 의사들은 약을 쏟아 먹이고, 그것을 받아 먹으며, 환자는 나아지지 않는다. 정신적 심리적 신체적 병은 깊어 갈 뿐. 희망을 가진 것은 환자와 가족들, 자만에 찬 의학.

정녕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본다.



뮤지컬이니만큼, 배우들 노래를 장난없이 잘 한다. 안무는 후한 점수를 줄 수 없다. 음악은 훌륭하나, 춤은 영 아니다. 딱히 중요한 부분은 아니니, 전반적 작품에 타격을 주지는 않는다. 배우들의 동선은 매우 적절하다. 무대의 공간적 활용, 세트에서 볼 수 있듯이 매우 효과적이다.




배우들이 노래를 매-우 잘 한다. CD를 샀다.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의사 엄마 아빠
아들 딸 남자친구


두 장 act 1 act 2로 나누어진다




가사가 특히나 주옥같다

"Every day is just another... and another... and another...
I will hold it all together.
We're the pefect loving fam'ly
If they say we're not, then fuck 'em
The perfect loving fam'ly"


"And you play...
And you play...
And everything else goes away
Everything else goes away
Everything else goes away"


"But even if everything else turns to dirt,
We'll be the one thing in this world that won't hurt
I can't fix what's fucked up
But one thing I know I can do...
I can be perfect for you..."


"I miss the mountains
I miss the highs and lows,
All the climbing, all the falling,
All the while the wild wind blows,
Stinging you with snow
And soaking you with pain
I miss the mountains
I miss the pain

Mountains make you crazy
Here it's safe and sound
My mind is somewhere hazy
My feet are on the ground

Everything is balanced here
And on an even keel
Everything is perfect

Nothing is real...
Nothing is real..."

이 노래가 가장 좋다 - 엄마가 부르는 I miss the mountains. 약에 절어 모든 감정을 잃은 엄마. 아무것도 느낄 수 없다고 노래하는, 이 곳은 안정이고 완벽이고 평온이지만, 감각을 잃어버린, 현실과 멀어진 자신의 마음을 노래한다. 비정상이라는 낙인에, 약을 먹고, 약의 세계에서 살아가는, 어느 것이 정상인지 여전히 알 수 없다.


이 작품으로 Tonny Awards를 수상한 주인공 Alice Ripley 엄마역, 목소리가 매우 독특하고 구슬프다, 기억 속에서도 절절하다 -


Posted by water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