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ko.wikipedia.org/wiki/%EC%84%B1%EC%82%AC

로마 가톨릭에서는 성사의 효과를 사효적 효과(Effectum ex opere operato)와 인효적 효과(Effectum ex opera operantis)두 가지로 구분한다. 사효적 효과는 '거행된 성사 자체를 통해 받는 성사의 은혜'이며, 인효적 효과란 '성사에 참여하는 이의 노력과 정성과 열심에 따라 받게 되는 하느님의 은혜'이다. 따라서 로마 가톨릭에서는 전례를 통해 거행되는 성사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신앙과 교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 성사의 효과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약화시키거나 저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록 교리 교육을 받지 않은 유아에 대한 세례성사에 있어 그 성사의 효과는 동일하다. 따라서 로마 가톨릭에서는 유아세례를 생후 100일 이내에 받기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그 유아가 성장하여 견진성사,신품성사 등을 받기 위해서는 신앙과 교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성사(라틴어Sacrament, 聖事) 또는 성례전(聖禮典)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은혜가 눈에 보이는 방법으로 전달되는 ,쉽게 말해서 하느님의 은혜를 받는 예식이다. 기독교 교파별로 개신교는 성례성례전성공회에서는 성사,성례전(전자는 성공회 기도서에서 사용하는 공식적인 교회용어이고, 후자는 교회 일부에서 사용하는 비공식적 단어이다.), 정교회로마 가톨릭은 성사라고 한다. 물론 모두 같은 말이다.

성사(Sacrament)는 교부 터툴리안이 200년경 그리스어인 μυστριον(Mysterion,신비, 특별한 것이라는 뜻)를 라틴어로 옮긴 Sacramentum에서 파생된 말이며, 번역하면 ‘성별된 것이나 행동’ 혹은 ‘성스러운 것’, ‘성별하는 것’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Sacramentum은 본래 로마 제국군인들의 황제에 대한 복종 곧 제국의 질서에 대한 복종을 상징하는 표지를 뜻하기도 했으므로,성사는 기독교인의 그리스도에 대한 복종을 상징하는 표지를 뜻하기도 한다.[1]침례교 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토니 캠폴로(Tony Campolo)는 성사 또는 성례전을 기독교신자가 자신이 기독교 신자임을 항상 기억하게 하는 중요한 전통이라고 설명한다.[2]


http://en.wikipedia.org/wiki/Sacraments_of_the_Catholic_Church


The sacraments of the Catholic Church are, the Roman Catholic Church teaches, "efficacious signs of grace, instituted by Christ and entrusted to the Church, by which divine life is dispensed to us. The visible rites by which the sacraments are celebrated signify and make present the graces proper to each sacrament. They bear fruit in those who receive them with the required dispositions."[1]

While the Church itself is the universal sacrament of salvation,[2][3] the sacraments ofthe Catholic Church in the strict sense[4] are seven sacraments that "touch all the stages and all the important moments of Christian life: they give birth and increase, healing and mission to the Christian's life of faith".[5] "The Church affirms that for believers the sacraments of the New Covenant are necessary for salvation", although not all are necessary for every individual,[6] and has placed under anathema those who deny it: "If any one saith, that the sacraments of the New Law are not necessary unto salvation, but superfluous; and that, without them, or without the desire thereof, men obtain of God, through faith alone, the grace of justification;-though all (the sacraments) are not ineed necessary for every individual; let him be anathema."[7]

The Church further teaches that the effect of a sacrament comes ex opere operato, by the very fact of being administered, regardless of the personal holiness of the minister administering it.[8] However, a recipient's own lack of proper disposition to receive the grace conveyed can block the effectiveness of the sacrament in that person. The sacraments presuppose faith and through their words and ritual elements, nourish, strengthen and give expression to faith.[9]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lists the sacraments as follows: "The whole liturgical life of the Church revolves around the Eucharistic sacrifice and the sacraments. There are seven sacraments in the Church: BaptismConfirmation or ChrismationEucharist,PenanceAnointing of the SickHoly Orders, and Matrimony."[10]


The Compendium of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states: "Christian initiation is accomplished by means of the sacraments which establish the foundations of Christian life. The faithful born anew by Baptism are strengthened by Confirmation and are then nourished by the Eucharist."[11]

Baptism[edit]

Scene of baptism. Stained glass, Paris, last quarter of the 12th century. From theSainte-Chapelle of Paris.

The Catholic Church sees baptism as the first and basic sacrament of Christian initiation.[12]In the Western or Latin Rite of the Church, baptism is usually conferred today by pouring water three times on the recipient's head, while reciting the baptismal formula: "I baptize you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 (cf. Matthew 28:19). In theEastern Catholic Churches of Byzantine Rite immersion or submersion is used, and the formula is: "The servant of God, N., is baptized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13] Though sprinkling is not normally used, its validity is accepted, provided that the water flows over the skin, since otherwise it is not a washing.[14][15]

Confirmation[edit]

Confirmation or Chrismation is the second sacrament of Christian initiation.[16] "It is called Chrismation (in the Eastern Churches: anointing with holy myron or chrism) because the essential rite of the sacrament is anointing with chrism. It is called Confirmation because it confirms and strengthens baptismal grace."[17] It is conferred by "the anointing with SacredChrism (oil mixed with balsam and consecrated by the bishop), which is done by the laying on of the hand of the minister who pronounces the sacramental words proper to the rite."[18] These words, in both their Western and Eastern variants, refer to a gift of theHoly Spirit that marks the recipient as with a seal. Through the sacrament the grace given in baptism is "strengthened and deepened."[19] Like baptism, confirmation may be received only once, and the recipient must be in a state of grace (meaning free from any known unconfessed mortal sin) in order to receive its effects. The "originating" minister of the sacrament is a validly consecratedbishop; if a priest (a "presbyter") confers the sacrament — as is done ordinarily in the Eastern Churches and in special cases (such as the baptism of an adult or in danger of the death of a young child) in the Latin Church (CCC 1312–1313) — the link with the higher order is indicated by the use of oil (known as "chrism" or "myron") blessed by the bishop on Holy Thursday itself or on a day close to it. In the East, which retains the ancient practice, the sacrament is administered by the parish priest immediately after baptism. In the West, where administration is normally reserved for those who can understand its significance, it came to be postponed until the recipient's early adulthood; but in view of the earlier age at which children are now admitted to reception of the Eucharist, it is more and more restored to the traditional order and administered before giving the third sacrament of Christian initiation.

See also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285–1321

Eucharist[edit]

The Eucharist, also called the Most Blessed Sacrament, is the sacrament (the third of Christian initiation,[20] the one that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says "completes Christian initiation")[21] by which Catholics partake of the Body and Blood of Jesus Christ and participate in his one sacrifice. The first of these two aspects of the sacrament is also called Holy Communion. The bread (which must be wheaten, and which is unleavened in the Latin, Armenian and Ethiopic Rites, but is leavened in most Eastern Rites) and wine (which must be from grapes) used in the Eucharistic rite are, in Catholic faith, transformed in its inner reality, though not in appearance, into the Body and Blood of Christ, a change that is called transubstantiation. "The minister who is able to confect the sacrament of the Eucharist in the person of Christ is a validly ordained priest alone."[22] The word "priest" here (in Latin sacerdos) includes both bishops and those priests who are also called presbyters.[23] Deacons as well as priests (sacerdotes) are ordinary ministers of Holy Communion, and lay people may be authorized in limited circumstances to act as extraordinary ministers of Holy Communion. The Eucharist is seen as "the source and summit" of Christian living, the high point of God's sanctifying action on the faithful and of their worship of God,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m and the liturgy of heaven. So important is it that participation in the Eucharistic celebration (see Mass) is seen as obligatory on every Sunday and holy day of obligation and is recommended on other days. Also recommended for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Mass is reception, with the proper dispositions, of Holy Communion. This is seen as obligatory at least once a year, during Eastertide.






views w/o endorsement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ayox&logNo=100104562373

 세례성사

우선 세례성사는 거의 모든 개신교파도 공통적으로 인정하나 일부 개신교에서는 회개를 수반하지 않는 세례의 무효성을 내세워 유아세례를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세례성사의 성경적인 근거로는 예수님 자신도 세례를 받으셨고 (마태오 복음 3장 13-17절, 마르코 복음 1,9-11절, 루가 복음 3,21-22절, 요한 복음 1장 28-33) 또한 물과 성령으로 다시 나지 않으면 아무도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요한 복음 3장 3-5절).

 성체성사

   성체성사에 대해선 개신교인들은 가톨릭과 성경 말씀의 해석을 달리합니다.  즉 개신교인들은 빵과 포도주 (어떤 개신교인들 예수님이 술을 먹지 못하게 하셨으므로 포도주가 아닌 포도즙이라고 우깁니다.)를 먹음으로써 나를 기념하라,  즉 기념하는 것을 뜻한다고 해석합니다.

  그러나 가톨릭에서는 “나를 기억하여 행하라”라고 해석합니다.  다시 말해 개신교에서는 본동사가 remember인 셈이고 가톨릭에서는 do인 셈입니다. 

그러면 영어 성경을 보실까요. 

가톨릭용 성경뿐만이 아닌 개신교 영어 성경에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Do this in memory of me.  즉 본 동사가 행하라(do)입니다.  성경에 행하라 하였으니 가톨릭에서는 행하는 것입니다. 

또한 주님의 전능하심을 믿는다는 개신교들이 어찌하여 주님께서 빵과 포도주를 주님의 몸과 피로 변화시키지 못한다고 주장할 수 있는지.  그들은 주님의 전능하심을 그냥 말로만 떠드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요한 복음서 6장 52절을 읽어보십시오.  유다인들은 이 말씀을 듣고 “이 사람이 어떻게 자기 살을 우리에게 먹으라고 내어 줄 수 있단 말인가”하며 서로 따졌다. 이는 분명 예수님께서 빵을 당신의 살로 의미하셨고 많은 제자들은 이 말씀을 제대로 해석했기에 예수님을 떠나게 된 것입니다. 얼마 남지 않은 제자들에게 예수님께서 다시 말씀하십니다.  “정말 잘 들어두어라.  만일 너희가 사람의 아들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시지 않으면 너희 안에 생명을 간직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을 누릴 것이며 내가 마지막 날에 그를 살릴 것이다.  내 살은 참된 양식이며 내 피는 참된 음료이기 때문이다” (요한 6,53-55). 

최후의 만찬 때 역시, 당신이 돌아가시게 것을 미리 내다보신 예수님께서 제자들과의 마지막 자리에서 농담으로 빵을 들어 축복하시고 제자들에게 나누어주시며 “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먹어라.  이는 너희를 위하여 바칠 내 몸이니라.” 하셨겠습니까?  이 말씀을 농담, 아니면 그저 상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분명히 알아들은 제자들은 초대 교회 때부터 이 예식을 행하였던 것입니다.  가톨릭 신자들은 매 미사 때마다 주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심으로써 주님께서 유언으로 부탁하신 바를 지키고 있는 것입니다.  고해성사, 종부성사, 혼배성사, 신품성사, 그리고  견진성사 모두가 성경에 근거를 둔 것입니다. 

 고해성사

   비단 개신교인들 뿐만 아니라 비그리스도교 사람들도 ‘신부도 같은 사람인데 어찌 사람이 사람의 죄를 사해줄 수 있는가?’하는 의문을 당연히 가질 수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박 도식 신부님의 ‘천주교와 개신교’라는 책에 설명되어 있는 것을 인용하겠습니다. 

‘같은 사람이라도 법관은 국가로부터 사법권을 부여받았으므로 다른 인간을 벌하거나 죄 없음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가톨릭 신부도 그리스도로부터 사죄권을 받았기 때문에 사람의 죄를 사해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사도들이 예수님으로부터 사죄권을 부여 받았는가 아닌가를 성경에서 확인하면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 이전에는 사람의 죄를 사하는 것은 오직 하느님만이 하시는 일이라고 믿어왔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많은 사람의 죄를 사하여 주셨고 (마태오 복음 9장 2절) 또 그 사죄권을 제자들에게 부여해주셨습니다.  요한 복음 20장 22-23절의 말씀입니다.  “누구의 죄든지 너희가 용서해주면 그들의 죄는 용서받을 것이고 용서해 주지 않으면 용서받지 못한 채 남아있을 것이다.”  여기서 너희란 부활하신 예수님을 뵌 제자들을 말합니다.  또한 예수님께서는 베드로를 반석 삼아 교회를 세우셨고 천국의 열쇠를 주셨습니다.  “잘 들어라. 너는 베드로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죽음의 힘도 감히 그것을 누르지 못할 것이다.  또 나는 너에게 하늘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네가 무엇이던지 땅에서 매면 하늘에도 매어있을 것이고 땅에서 풀면 하늘에도 풀려있을 것이다.” (마태 16장 18-19절)

개신교에서는 베드로 사도부터 계승되어온 가톨릭의 정통성을 무시하기 위해 베드로라는 인격체 위에 교회를 세운 것이 아니라베드로의 믿음 위에 교회를 세웠다고 해석합니다. 

그러나 어느 사람이 글짓기를 잘해 상을 받을 때 그의 재능 때문에 상을 받지만 상을 받는 것은 바로 그 사람이지 그 사람의 재능이 아닌 것입니다.  이와 같이 믿음을 가진 베드로 개인을 반석 삼아 교회를 세우시고, 그 믿음을 가진 베드로에게 천국의 열쇠를 주신 것이지 믿음이라는 추상명사 위에 교회를 세우시고 믿음이라는 만질 수도 없는 추상 명사에 열쇠를 주신 것이 아닌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구절을 옳게 해석하면 사람의 죄를 용서해주는 권한이 예수님으로부터 제자들에게 부여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초대교회 때에도 신자들이 사도들에게 와 죄를 고백한 것이 성경에 나옵니다.  “그리고 많은 신도들이 와서 자기들이 한 일을 숨김없이 자백하였다.” (사도행전 19장 18절).  즉 고백성사가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주는 은총 등을 설명하기에 앞서 고백성사는 그 근원을 성경에 두고 있는 것입니다. 

 

 혼배성사

가톨릭에서 행하는 혼배성사 한 가지를 보더라도 개신교와 가톨릭 중 누가 성경 말씀을 더 잘 지키고 있는가에 대한 답이 나옵니다.

주님은 결혼에 대해서 단호하게 말씀하셨습니다.  마태오 복음 19장 6절에 “따라서 그들은 이제 둘이 아니라 한 몸이다.  그러니하느님께서 짝지어 준 것을 사람이 갈라놓아서는 안 된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가톨릭에서는 영국이라는 한 나라가 가톨릭으로부터 떨어져 나갈지언정 주님이 주신 이 말씀을 굳게 지켰습니다.  따라서 영국은 성공회를 세우며 가톨릭에서 이탈되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루터는 한 영주의 지지를 잃는 것을 두려워해 그의 이혼을 허락하였으며 그 결과 오늘 날 개신교에서는 이혼하는 것을 하느님의 계명을 어기는 것으로 여기지 않아 대표적인 개신교 국가인 미국에서 이혼율은 50%에 가깝습니다.  미국인 중 가톨릭 신자와 다른 종교인들을 제외한 순수한 개신교 신자의 이혼율은 50%가 훨씬 넘을 것입니다.

 병자성사

   성경을 자세히 보지 않았던지 아니면 그저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했는지 개신교에서는 아픈 사람에게 기름을 바르는 행위, 즉 병자성사에 대해서도 말이 많습니다.  그러나 야고보서 5장 14절의 말씀을 보면 병자성사에서 축성된 기름을 바르는 것이 확실히 나옵니다. “여러분 가운데에 앓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은 교회의 원로를 청하십시오.  원로들은 주님의 이름으로 그에게 기름을 바르고 그를 위해 기도해주어야 합니다.”  개신교회 목사들이나 장로들도 교인들 중에 아픈 이가 있으면 그 집을 찾아가 병이 낫기를 기도해줍니다만 기름을 바르는 경우는 없습니다.  물론 하도 많은 교파가 있으니 그들 중 어느 교파는 병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신품성사

개신교에서는 창세기 1장 28절의 말씀을 들어 하느님의 진정한 뜻이 모든 사람이 결혼하는 것이므로 신부들이 결혼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하느님 뜻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자식을 낳고 번성하여 온 땅에 퍼져서 땅을 정복하여라.”하신 이 말씀은 아담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만약 아담이 독신을 지켰다면 인류는 어떻게 되었겠습니까?  사랑으로 창조하신 인간이 결혼하지 않음으로써 멸종되는 것을 당연히 바라지 않으셨던 하느님은 인류 번성을 위해 자식을 낳고 번성할 것을 강조하셨던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결혼을 하지 않으셨고 바울로 사도 또한 결혼하지 않았으며 독신을 지키는 것을 더 높은 덕목으로 치셨습니다.  그렇다고해서 가톨릭에서 결코 결혼을 경멸 시 한다든가 등한시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다른 교회에서는 없는 혼배성사를 통해 결혼의 신성함을 더욱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가톨릭 사제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규정(교회법)을 성경의 어느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마태오 복음 19장 10-12절의 말씀입니다. 제자들이 차라리 결혼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한 말에 예수님께서는 “그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다만 하느님께서 허락하신 사람만이 그렇게 할 수 있다.  처음부터 결혼하지 못할 몸으로 태어난 사람도 있고 사람의 손으로 그렇게 된 사람도 있고 또 하늘나라를 위하여 스스로 결혼하지 않은 사람도 있다.  이 말을 받아들일 만한 사람은 받아들여라 ”

즉 가톨릭 사제가 결혼하지 않겠다고 서약하는 것은 하늘나라를 위해서이며 또한 하느님께서 허락하신 사람만이 그렇게 될 수 있다고 하신 예수님의 말씀을 받들어 교회에서는 독신을 지키는 사제가 되는 것을 신품으로 여깁니다.  또한 ‘이 말을 받아들일 만한 사람은 받아들여라’하심으로써 모든 사람이 다 그렇게 하라는 뜻이 아닌 하늘나라를 위해 자신의 욕정을 포함한 모든 것을 포기하고 자기로서 대가 끊기는 것을 감수할 뜻이 있는 사람만이 독신을 지키라는 일종의 권고를 하신 것입니다.  진정 가톨릭의 정수는 자기의 모든 것을 바쳐 주님만을 따르려는 가톨릭 사제들의 독신생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입니다. 

로마 가톨릭과 거의 모든 것에서 일치하지만 사제가 독신을 지킬 것을 서약하지 않는 동방 정교회에서는 로마 가톨릭에서 분리된 이후 아무런 성인, 성녀가 나오지 않는 것을 보더라도 사제들의 독신이 영성과 사목에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알 수 있습니다. 

바울로 사도가 독신 생활을 더 귀한 덕목으로 여긴 것은 그의 여러 서간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고린토 전서 7장 32-34절의 말씀입니다.  “결혼하지 않은 남자는 어떻게 하면 주님을 기쁘게 해드릴 수 있을까 하고 주님의 일에 마음을 쓰지만 결혼한 남자는 어떻게 하면 자기 아내를 기쁘게 해 드릴 수 있을까 하고 세상일에 마음을 쓰게 되어 마음이 갈라집니다.  남편이 없는 여자나 처녀는 어떻게 하면 몸과 마음을 거룩하게 할 수 있을까 하고 주님의 일에 마음을 쓰지만 남편이 있는 여자는 어떻게 하면 자기 남편을 기쁘게 할 수 있을까 하고 세상일에 마음을 씁니다.  나는 여러분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이 말을 합니다.” 

즉 아담에게 있어서는 자식을 많이 낳아 인류를 번성시키는 것이 주님을 기쁘게 해주는 일이었지만 예수님 당시에는 독신으로 지내는 것이 주님을 더 기쁘게 해주는 일이 된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독신을 지킨다면 인류는 곧 멸망하기 때문에 독신을 지키는 것은 하느님께서 허락하시는 사람만이 할 수 있고 다른 이들은 결혼을 하여 인류를 유지시키는 것이 주님의 뜻인 것입니다.

 견진성사

견진성사란 세례를 받은 신자들이 받을 수 있는 성사로서 주교의 안수와 성유 바름을 통해 성령의 은혜를 받는 성사입니다.  이 견진성사의 성경적 근거로서는 사도행전 8장 14-17절을 들 수 있습니다.  “예루살렘에 있는 사도들은 사마리아 사람들이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들였다는 말을 듣고 베드로와 요한을 그리로 보냈다.  베드로와 요한은 그리로 내려가서 사마리아 사람들이 성령을 받기를 기도하였다.  그들은 주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는 받았지만 아직 성령은 받지 못했던 것이다.  베드로와 요한이 그들에게 손을 얹자 그들도 성령을 받게되었다.”  즉 세례는 신부를 통해 받을 수 있지만 확고한 믿음과 성령의 풍부한 은사를 받기 위해 주교님께서 안수하고 축성된 기름을 바르는 예식을 하는 것이 바로 견진성사입니다


Posted by water_
,
http://www.gnosis.org/naghamm/nhl.html 
 

About the Nag Hammadi Library (The Nag Hammadi Scriptures)

The Nag Hammadi Library, a collection of thirteen ancient codices containing over fifty texts, was discovered in upper Egypt in 1945. This immensely important discovery includes a large number of primary "Gnostic Gospels" -- texts once thought to have been entirely destroyed during the early Christian struggle to define "orthodoxy" -- scriptures such as the Gospel of Thomas, the Gospel of Philip, and the Gospel of Truth.The leather-bound codices found at Nag Hammadi in 1945

The discovery and translation of the Nag Hammadi library, completed in the 1970's, has provided impetus to a major re-evaluation of early Christian history and the nature of Gnosticism.  Readers unfamiliar with this history may wish to read an excerpt from Elaine Pagels' excellent popular introduction to the Nag Hammadi texts, The Gnostic Gospels. We also offer another brief Introduction to Gnosticism and the Nag Hammadi Library.

Visit the Bookstore to purchase the The Nag Hammadi Scriptures and to find information on other important introductory works that will help explain this material -- or just click here to buy The Nag Hammadi Scriptures.


Texts in the Collection:

All the texts discovered at Nag Hammadi are available in the Gnostic Society Library; they are indexed here in alphabetical order, and by their location in the original codices. A subject categorized list of the writings is also given, below. You may search the entire collection of texts for keywords or phrases using the search form.

We have a special collections of resources dealing with two particularly important texts, the Gospel of Thomas, and The Secret Book (Apocryphon) of John. Several introductory lectures on the Nag Hammadi materials are provided, below.

Many of the major writings in the Nag Hammadi collection have more than one English translation; where more than one translation is made available, we have listed the translators' names in parenthesis below the name of the text. Texts marked with the {*} have more than one version extant within the Nag Hammadi codices; often these were used conjointly by the translators to provide the single text presented here. All of these translations are based on the work originally sponsored by the Coptic Gnostic Library Project of the Institute for Antiquity and Christianity, Claremont, California.

The Nag Hammadi Library, edited by James RobinsonThe International Edition of The Nag Hammadi Scriptures (published in 2007) provides greatly improved translations relative to the original versions provided here, and we highly recommended you acquire a copy.

Other important primary Gnostic texts -- writings discovered in the century before the recovery of the Nag Hammadi Library, including texts like the Gospel of Mary -- are cataloged in the Classical Gnostic Scriptures section of the The Gnostic Society Library. We also have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resources focused on Valentinus and the Valentinian Tradition.

If you would like to look at the ancient manuscripts themselves, digital images of the original Nag Hammadi Codices are available online at the Claremont Colleges Digital Library.


An Overview of the Nag Hammadi Scriptures

When analyzed according to subject matter, there are six separate major categories of writings collected in the Nag Hammadi codices:

Writings of creative and redemptive mythology, including Gnostic alternative versions of creation and salvation: The Apocryphon of JohnThe Hypostasis of the ArchonsOn the Origin of the WorldThe Apocalypse of AdamThe Paraphrase of Shem.  (For an in-depth discussion of these, see the Archive commentary on Genesis and Gnosis.)

Observations and commentaries on diverse Gnostithemes, such as the nature of reality, the nature of the soul, the relationship of the soul to the world: The Gospel of TruthThe Treatise on the Resurrection; The Tripartite Tractate; Eugnostos the BlessedThe Second Treatise of the Great SethThe Teachings of SilvanusThe Testimony of Truth.

Liturgical and initiatory textsThe Discourse on the Eighth and NinthThe Prayer of ThanksgivingA Valentinian ExpositionThe Three Steles of SethThe Prayer of the Apostle Paul. (The Gospel of Philip, listed under the sixth category below, has great relevance here also, for it is in effect a treatise on Gnostic sacramental theology).

Writings dealing primarily with the feminine deific and spiritual principle, particularly with the Divine Sophia: The Thunder, Perfect MindThe Thought of NoreaThe Sophia of Jesus ChristThe Exegesis on the Soul.

Writings pertaining to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some of the apostlesThe Apocalypse of PeterThe Letter of Peter to PhilipThe Acts of Peter and the Twelve ApostlesThe (First) Apocalypse of JamesThe (Second) Apocalypse of JamesThe Apocalypse of Paul.

Scriptures which contain sayings of Jesus as well as descriptions of incidents in His life: The Dialogue of the Saviour; The Book of Thomas the ContenderThe Apocryphon of James;The Gospel of PhilipThe Gospel of Thomas.

This leaves a small number of scriptures of the Nag Hammadi Library which may be called "unclassifiable." It also must be kept in mind that the passage of time and translation into languages ver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have rendered many of these scriptures abstruse in style. Some of them are difficult reading, especially for   those readers not familiar with Gnostic imagery, nomenclature and the like. Lacunae are also present in most of these scriptures -- in a few of the texts extensive sections have been lost due to age and deterioration of the manuscripts.

The most readily comprehensible of the Nag Hammadi scriptures is undoubtedly The Gospel of Thomas, with The Gospel of Philip and the The Gospel of Truth as close seconds in order of easy comprehension. (These texts were all also thankfully very well preserved and have few lacunae.) There are various translations of most of these scriptures available; the most complete being the one volume collection The Nag Hammadi Library in English, edited by James Robinson, from which the translations presented here are principally quoted.


Lectures about the Nag Hammadi Scriptures

To help place the Nag Hammadi materials into a better focus, the Library has developed a series of introductory lectures and commentaries upon NHL materials, all in mp3 format.  (You will find a much more extensive catalog of lectures by Dr. Stephan Hoeller introducing Gnosticism and the Nag Hammadi Library available at BC Recordings.)

Christ:  The Misunderstood Redeemer --  An understanding of the Gnostic perception of Christ is crucial to any meaningful reading of texts in the Nag Hammadi collection.  In this lecture Dr. Stephan Hoeller uses several of the works in the Nag Hammadi Library to introduce the Gnostic Christ. (MP3 format, 75 min.)

Gnosticism: New Light on the Ancient Tradition of Inner Knowing, a brief introductory lecture on the sources of Gnostic tradition (hosted at BC Recordings).

Thomas and Philip: Gospels of the Gnostic Christ, discussing Gnostic soteriology as revealed in these principal Nag Hammadi tests; a presentation introducing the ten part set of lectures on the most popular and valued writings from the Nag Hammadi Library (hosted at BC Recordings).

Redemption and Redeemer in the Gospel of Thomas -- The Gospel of Thoma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nostic texts discovered at Nag Hammadi. In this lecture, Dr. Hoeller explores the "soteriology" -- the concept of a redeemer and the process of redemption -- as developed in the text of the Thomas Gospel.   (MP3 format, 75 min.)

The Sorrow of Sophia:  Feminine Divine Image of Suffering -- Gnosticism developed a unique understanding of the feminine aspects within divinity. In this lecture Dr. Hoeller explores the Gnostic image of the suffering and the alienation of the divine feminine, using as his text a reading from The Exegesis on the Soul  (NHL II,6). (MP3 format, 80 min.)
 




Rethinking"Gnosticism
카테고리 인문/사회 > 종교
지은이 Williams, Michael Allen (Princeton, 1999년)
상세보기


http://press.princeton.edu/titles/5956.html 


Most anyone interested in such topics as creation mythology, Jungian theory, or the idea of "secret teachings" in ancient Judaism and Christianity has found "gnosticism" compelling. Yet the term "gnosticism," which often connotes a single rebellious movement against the prevailing religions of late antiquity, gives the false impression of a monolithic religious phenomenon. Here Michael Williams challenges the validity of the widely invoked category of ancient "gnosticism" and the ways it has been described. Presenting such famous writings and movements as the Apocryphon of John and Valentinian Christianity, Williams uncover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some major traditions widely categorized as gnostic. He provides an eloquent, systematic argument for a more accurate way to discuss these interpretive approaches.

The modern construct "gnosticism" is not justified by any ancient self-definition, and many of the most commonly cited religious features that supposedly define gnosticism phenomenologically turn out to be questionable. Exploring the sample sets of "gnostic" teachings, Williams refutes generalizations concerning asceticism and libertinism, attitudes toward the body and the created world, and alleged features of protest, parasitism, and elitism. He sketches a fresh model for understanding ancient innovations on more "mainstream" Judaism and Christianity, a model that is informed by modern research on dynamics in new religious movements and is freed from the false stereotypes from which the category "gnosticism" has been constructed.

Reviews:

"Rare is the book on gnosticism that is thoroughly grounded in the primary sources in the ancient languages, widely conversant with the secondary literature, controlled and sophisticated in its historical method--and still intelligible and interesting, not only for experts in its field, but also for religious historians and educated readers in general. Michael Williams's Rethinking `Gnosticism' is such a book. It is essential reading for scholars of ancient Christianity and for anyone who wishes to use the terms `gnostic' and `gnosticism,' but it can be read with profit by all historians concerned with issues of methodology in studying religious people of the past."--Church History

"There can hardly be a category more misused in contemporary scholarly and not-so-scholarly discourse than `gnosticism,' so it was probably inevitable that a serious scholar would come along with an argument for the abandonment of the category altogether. In this provocative book Williams does just that."--Religious Studies Review

Endorsement:

"Michael Williams presents the first treatment of gnosticism in book form that endeavors, and succeeds, to get out of beaten tracks by questioning the very definition and description of this phenomenon. He conducts a detailed analysis of the clichés that have been in circulation for decades and shows convincingly how they have contributed to a distorted and biased approach to the sources. This book will be epoch-making for the field of gnostic studies and should attract a very large reading audience."--Paul-Hubert Poirier, Université Laval



http://www.necessaryprose.com/rethinking.htm  

 

Gnosticism:

Rethinking the Mother of All Heresies

 

Rethinking "Gnosticism":

An Argument for Dismantling a Dubious Category

By Michael Allen Williams

Princeton UP, 335 pages

 

If one seeks out a quick definition of ancient gnosticism, one is liable to get something like the following:

 

Gnosticism: 

 

A religious movement that flourished in the Roman Empire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centuries C.E.  Identified as heretical by both Christians and Jews, the gnostics taught that the world was created not by the true God but by a lesser, deficient being called the Demiurge, who ruled over his creation, our world, with the help of administrative powers called Archons.  The realm of the true God (the Pleroma, or "Fullness") lay beyond this faulty creation, and it was the goal of the gnostics to escape the trap of this world and return there. 

 

According to the gnostics, human beings contained a spark of true divinity that did not belong in this lesser creation, but would continually be reincarnated here unless redeemed by gnosis (the liberating knowledge of our true origins).  Human being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spirituals (those predestined for salvation), the psychicals (those who could attain a kind of salvation through gnosis and various purifying practices) and the materials (those who by their nature were permanently tied to the material realm).  Gnostic religion was thus characterized by a radical contempt both for the world (understood as a prison) and for the body (each individual's prison cell).  Ancient sources show that this contempt led in some groups to a rigorous asceticism, in others to an equally rigorous licentiousness (since the laws of morality were merely part of the trap created by the Demiurge, some gnostics taught that the spiritually liberated must demonstrate their liberation by breaking as many of these laws as they could). 

 

Christian gnostics understood Jesus to be a messenger of the true God, sent from the Pleroma to bring the liberating teachings of gnosis.  They rejected the orthodox doctrine that Jesus died to atone for the sins of men.  According to the gnostics, the evil in the world did not result from human sin, but rather from the Demiurge's faulty creation: i.e., the world was evil because its creator was evil.  Whereas orthodox Christians accepted the Old Testament as part of their sacred scriptures, the gnostics saw in the Old Testament God a depiction of the Demiurge.  Only Jesus was sent from the "Father," i.e. the true God. 

 

Given its rigorous contempt for the world and its concomitant rejection of social norms, most scholars understand gnosticism to have been a religion of radical revolt.  The Bogomils in eastern Europe and the medieval Cathars in the south of France are considered to be later incarnations of gnostic religion.  A buried collection of ancient gnostic scriptures was discovered near the Egyptian town of Nag Hammadi in 1945.

 

Here in a few paragraphs is an example of how gnosticism is typically defined in university classes and encyclopedias.  It is a presentation buttressed by such classic modern studies of gnosticism as Hans Jonas' book The Gnostic Religion.  Through force of repetition it has become more or less standard.  But is this definition really apt to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the ancient gnostics?  How appropriate is it to what we find in the Nag Hammadi texts?  After all, most of the elements of this definition were forged before the discovery of these writings.  With actual gnostic writings now available, scholars should be able to come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gnosticism than was previously possible.  Has their reading of the Nag Hammadi texts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is ancient religious movement?

 

In his book Rethinking "Gnosticism" Michael Allen Williams assesses the validity of such usual definitions and finds them seriously lacking.  To read his study is to realize to what extent this thing called "gnosticism" is an amalgam of modern scholarly caricature and uncritical reliance on ancient heresiologists like Irenaeus and Epiphanius.  Such reliance was maybe inevitable given the previous lack of original sources.  But now with the wealth of gnostic gospels and treatises uncovered in Egypt, things have changed.  Williams' work sets out to reveal the extent of the needed change.  

 

Williams' overall methodology is simple: take the current scholarly presentations of gnostic religion and compare them point by point with what we actually find in the gnostics' writings.  But also: take the ancient heresiologists' presentation of the gnostics and undertake a similar comparison.  Do the gnostics' presentations of themselves in their writings correspond to the doctrines attributed to them by Irenaeus?  Do they correspond to what we hear from the community of modern scholars?  If not, why not? 

 

If Williams is right, our idea of gnosticism as an ancient religion would not, in important respects, have been shared by the ancient gnostics themselves.  Our understanding of gnostic doctrines and attitudes (to the body, to society, to ethics) has often put the stress in the wrong place.  And our presentation of gnostic practices still relies on the heresiologists, even though their portrayals have been given the lie by the Nag Hammadi writings. 

 

For one, gnosticism is usually presented as a world-denying religion of revolt: a religion adopted by outsiders in a state of rebellion against social norms.  The gnostics were believed to have erected a barrier between themselves and the surrounding world by mechanically reversing dominant social values.  This notion of the gnostics undertaking a kind of systematic denial of everything society held sacred grew mainly from select observations of gnostic readings of Hebrew scripture (for example, they frequently understood the serpent in the Garden of Eden in a positive way, while Yahweh, understood as the Demiurge, was seen negatively).  But, as Williams points out, such instances of gnostic scriptural interpretation do not necessarily indicate a rebellious attitude to society at large. Using models developed from the sociological study of religious movements, Williams argues that in many cases the opposite was more likely true: that the gnostics were actually interpreting Judeo-Christian ideas of the divine in ways more in harmony with the dominant pagan society in which they lived.  Williams' argument here is convincing.  Our interpretation of the gnostic attitude as one of revolt against society has been foisted on us by the heresiologists, who themselves, for obvious reasons, sought to portray the gnostics as rebels against orthodoxy.  To claim the gnostics were radical social deviants is thus anachronistic.

 

Williams likewise takes up the question of "gnostic determinism": the oft-repeated modern assertion that the gnostics believed mankind to be strictly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the spirituals, the psychics, the materials) or different races (the race of Seth, the race of Cain), and that the doctrinal upshot of such divisions was that each individual's potential for salvation was understood to be already determined at birth.  Williams shows that this modern notion of gnostic determinism is not supported by the original texts.  A careful reading of the sources shows that one is not "born into" the race of Seth: rather it is a status one may attain or earn.  The race of Seth is more a spiritual community than a biological "race" in our modern sense.  Likewise with the division into three types: one's status as a spiritual is seen to be linked to one's behavior: one may lose this status through abandoning the truth, and thus to be born as a spiritual is no guarantee of salvation.  The assertion that the ancient gnostics were elitists in the sense of believing themselves predestined to salvation (saved in essence) is misguided.  Williams demonstrates that there was at least as much flexibility in these gnostic notions as there is in more recent Protestant doctrines of the elect.

 

With these remarks I've only scratched the surface of this subtle and wide-ranging study.  Williams offers an important discussion of gnostic hermeneutics (their practice of Biblical interpretation) and reassesses gnostic notions of the body and how these might relate to the different doctrines of salvation.  One abiding concern of Williams' book--and I've maybe been irresponsible in skirting it until now--is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rm "gnosticism" itself.  On the basis of the many disadvantages Williams sees in the term--its vagueness as a category, the baggage it brings with it--he suggests scholars refer instead to "biblical demiurgical traditions" when discussing much of what is typically called "gnosticism."  He seeks to demonstrate that 1) the ancient people we refer to as "gnostics" did not themselves use this term, and 2) modern scholars have long had difficulty establishing a stable set of characteristics for gnosticism: i.e., we still cannot define clearly what gnosticism is.  The argument Williams finally puts forward is that the term has impeded our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religious movements in question.  It has led generations of scholars to grapple with false problems and construct arguments on the basis of unexamined preconceptions.  This is a pretty serious charge to make.  Whether or not Williams is right in these assertions--something I'm in no position to judge--it seems obvious that his book has brought forth much that is new in the field of "gnostic" studies.  And it seems clear that many of his new perspectives on the "gnostics" grew directly from his attempts to think beyond the (academic or heresiological) category "gnosticism."  

 

Williams' book is not for scholars only, however.  Even a reader only slightly familiar with the Nag Hammadi texts can gain much from it.  He helpfully begins the book with a chapter summarizing the myths or doctrines of four important "gnostic" traditions: the myth from The Apocryphon of John; the doctrine of the Valentinian teacher Ptolemy; the myth taught by Justin the Gnostic; and the teachings of Marcion.  These four different examples are then referred to repeatedly in the remainder of the study in order to clarify this or that point.  Williams has structured Rethinking Gnosticism in a way that allows him to write both for fellow scholars and the general reader.  It is a successful strategy all around, one that makes the book fascinating reading for anyone interested in "gnosticism," the Nag Hammadi texts, or the history of Christianity.

 

Eric Mader

 


http://bmcr.brynmawr.edu/2003/2003-07-26.html 

Bryn Mawr Classical Review 2003.07.26

Karen L. King, What is Gnosticism?.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Pp. 343.  ISBN 0-674-01071-X.  $29.95.   



Reviewed by Nicola Denzey, Bowdoin College (ndenzey@bowdoin.edu)
Word count: 2496 words

An unprepared reader might pick up What is Gnosticism? expecting either a primer or a definitive study of Gnosticism's nature and origins. But this book, written by one of the country's leading scholars of early Christianity, should not be mistaken for an introductory textbook. First of all, it never addresses what Gnosticism is. In a rather subversive move -- given the book's title -- King asserts that "Gnosticism" exists solely as a modern reification, a terminological construct deriving ultimately from an early Christian discourse of orthodoxy and heresy which has now taken on an independent existence. "My purpose in this book," King explains, "is to show how twentieth-century scholarship on Gnosticism has simultaneously reinscribed, elaborated, and deviated from this discourse" (54). The book assumes that readers will have at least a passing familiarity with the sources which have conventionally been called "Gnostic," as well as with contemporary terms of debate and prominent figures. This "ideal audience" of the learned and open-minded has much to gain from reading King's book. Casual readers, however, would likely find King's thesis -- like the book itself -- too sophisticated and too historiographically esoteric to sustain their interest.

Karen King taught at Occidental College in Los Angeles before moving to her current position as Professor of the History of Ancient Christianity at the Harvard University Divinity School. A highly respected scholar of Gnosticism, King's work has often focused on issues of gender. What is Gnosticism? is her second book to appear in 2003, taking its place next to her new translation of the Gospel of Mary (Santa Rosa, CA: Polebridge, 2003). Here, King identifies her primary research interests as "early Christian identity formation and the critique of current scholarly categories of analysis" (vii-viii). This book has been at least twenty years in the making; we have had tastes of her critical acumen in a series of articles on the topic of Gnosticism and identity formation which she has presented to a variety of scholarly audiences since 1993. Why is a book like King's timely? The past fifty years have witnessed a series of dramatic paradigm shifts in the Academy that have called for the revision and re-articulation of our discipline. The first of these historiographical and hermeneutical shifts which King chronicles is the rise of the Religionsgeschichtliche Schule as distinct from Theology with its interested, invested focus, its fixed canon, and its implicit Christian supersessionism. The second shift was initiated by the discovery of a cache of hitherto unknown ancient Christian texts in 1945 at Nag Hammadi, Egypt. Because scholars prior to 1945 had only a very limited number of primary sources which early members of the Christian mainstream had termed "Gnostic," the Nag Hammadi treatises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our understanding of early Christianity as richly diverse in doctrine and praxis. The third and most recent shift has been the re-evaluation of the History of Religions School by postcolonialist and postmodern scholarship, which drew into question its implicit Orientalism and colonialist orientation. For these three reasons, the work of generations of Gnosticism scholars -- built upon a limited number of primary sources and the polemical writings of a few early Christian heresiologists -- needed to be reassessed. More often than not, this examination has called for substantial revision.

The scope of King's book is ambitious, but necessarily so. She recognizes that it is impossible to take on the conceptual and definitional problem of Gnosticism without tackling the conceptual and definitional problem of "heresy," which then draws into question Christianity's discourse of orthodoxy. She notes, "...a discussion of the discourse of orthodoxy and heresy needs to include polemics aimed at pagans and Jews as well" (21). King then dedicates the book's eight chapters to evaluating and critiquing "the discourse of orthodoxy and heresy" in ancient sources, in the work of early twentieth-century scholars, and in more contemporary scholarship. The book addresses the process of early Christian identity formation as a whole, with results both cogent and incisive. It is refreshing to read an approach that neither marginalizes Judaism or paganism, nor places Christianity in high relief against otherwise "insufficient" religious options in the ancient world.

In her first chapter, "Why Is Gnosticism So Hard to Define?" King outlines two overarching scholarly approaches to Gnosticism, one genealogical and one typological. The first approach locates the origins and developments of Gnosticism over time by looking to and comparing Gnosticism with so-called Oriental religions on the one hand and "Christianity" (i.e. "orthodoxy") on the other. The second approach draws upon phenomenological analyses of primarily literary material to develop a set of coherent and definitive terms,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Both approaches, King warns us, went considerably astray; most significantly, the discovery of the Nag Hammadi texts rendered genealogical and typological analyses of Gnosticism largely moot. Central, too, has been the problem of Gnosticism's infelicitous relationship with Christianity as a whole. King observes, "the problem of defining Gnosticism has been and continues to be primarily an aspect of the ongoing project of defining and maintaining a normative Christianity" (18). In the final words of the chapter, King clarifies the task that lies ahead for the remainder of the volume:

My purpose ... is to consider the ways in which the early Christian polemicists' discourse of orthodoxy and heresy has been intertwined with twentieth-century scholarship on Gnosticism in order to show where and how that involvement has distorted our analysis of the ancient texts. At stake is not only the capacity to write a more accurate history of ancient Christianity in all its multiformity, but also our capacity to engage critically the ancient politics of religious difference rather than unwittingly reproduce its strategies and results (19).
Accordingly, Chapter Two, "Gnosticism as Heresy," focuses on the "rhetorical consolidation" of the broad variety of religious options available to individuals in the ancient world into three recognizable, mutually exclusive, and easily definable groups: Jews, Christians, and pagans (22). What was at stake, King observes, was the discourse of difference and sameness that was crucial to Christian identity-building. In order to exclude those Christians whom members of a nascent orthodoxy opposed, members of this group had to make their competitors look like outsiders; certain doctrinal or practical differences needed to be fabricated, just as real differences needed to be exaggerated. As part of the same strategy of distinction, similarities -- whether between Christians and Jews, Christians and pagans, or different Christian teachers -- were either suppressed or maliciously miscast. So successful were certain Christians in this endeavor, King notes, that even now the terms "heresy" and "orthodoxy" imply only difference, not similarity (23). These two terms are best understood as the consequence of an evaluative process that aimed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self while simultaneously silencing and excluding others within the group" (24). King invokes the examples of Tertullian's Prescription against Heretics, and Irenaeus' Against the Heresies, in a set of rhetorical attitudes she categorizes as "antisyncretism." This discourse functioned to define and defend boundaries (34) and to contribute to the "master narrative" of Christian decline from a time of pure origins to the doctrinal divisiveness of the second century and beyond.

Chapters three and four are explicitly historiographical, as King works through foundational figures and movements of early twentieth-century scholarship on religion. Chapter Three investigates Adolf von Harnack, Chapter Four, the early History of Religions school. Here, modern readers owe perhaps the greatest debt to King, who provides intelligent and useful summaries and analyses of works which are infamously impenetrable and more often than not, only available in their original German. This extended examination of early twentieth-century historiography is central for King to prove her thesis: that modern scholarship has only served to reinscribe a discourse of orthodoxy and heresy established by certain Christians of the second and third centuries. King points out that as a theologian and scholar, for instance, Harnack was perfectly aware of the manifold forms of ancient Christianity, yet like his orthodox predecessors Irenaeus and Tertullian, he employed the term "Gnosticism" as a rhetorical tool to produce a normative vision of Christianity (68).

Chapter five, "Gnosticism Reconsidered," is devoted to a discussion of Walter Bauer --particularly his landmark study Orthodoxy and Heresy in Earliest Christianity -- and to Hans Jonas' Gnosis und Spätantike Geist. King paints Bauer as an innovator, the first to develop an alternative model of Christian historiography away from the master narrative of Christian supersessionism. Jonas, rather differently, was important for his typological reduction of Gnosticism to a series of qualities or characteristics. His work on the "Gnostic experience of self and world" (117) defined Gnosticism as a transhistorical religious movement characterized primarily by the experience of existential alienation and world-abnegation. Thus Jonas proposed seven qualities of Gnosticism: gnosis, dynamic character (pathomorphic crisis), mythological character, dualism, impiety, artificiality, and unique historical locus (120). King discusses each one of these in turn, pointing out their difficulties and shortcomings. The chapter ends with a discussion of the German History of Religions scholar Carsten Colpe. It is not clear what ties these three figures together, however; overall, the chapter division here -- as elsewhere in the book -- seems more arbitrary than seamlessly sewn together into one master narrative.

The last three chapters of the book discuss Gnosticism scholarship following the discovery of the Nag Hammadi texts. Here, King spends some time discussing the various sources themselves, particularly the manner in which they defy the tidy systems of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established by earlier generations of scholars. Indeed, King is quick to point out that even post-Nag Hammadi typologies of Gnosticism such as "Sethianism" and "Valentinianism" strain to maintain coherence when applied to the tremendous doctrinal diversity we find reflected in Nag Hammadi's forty-six texts. As King notes, "the problem with variety is not variety itself; the problem is trying to force multiform, irregularly shaped objects into square essentialist definitional holes" (168). These chapters are particularly enjoyable because they move away from historiography to the ancient sources themselv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ss how a reader not well-versed in the Nag Hammadi texts would follow King's summaries and arguments.

Readers will inevitably compare What is Gnosticism? to Michael Williams' Rethinking "Gnosticism": Arguments for Dismantling a Dubious Category (1996). Williams' provocative work -- which quickly became obligatory reading for all serious students of ancient Gnosticism -- calls for the abandonment of the term "Gnosticism" altogether, stating that it is best not to imagine that anything like "Gnosticism" or "the Gnostic religion" ever existed. Instead, Williams suggests that we remain cognizant of the many diverse groups and individuals that originally comprised Christianity before they were marginalized and de-legitimated by an emergent orthodoxy. It is obvious thatRethinking "Gnosticism" and What is Gnosticism? were written contemporaneously and that King and Williams were deeply engaged in dialogue with one another. They each carefully and graciously acknowledge one another in their forewords; it is clear that their connections have fostered genuine respect and mutual fondness rather than competition. Still, since Rethinking "Gnosticism" was first to appear, the problem for King is whether or not What is Gnosticism? sufficiently advances the approach both scholars bring to the fore, and whether or not she successfully treats the same topic in a way that complements, rather than competes with, Williams' book. As a partial answer to this issu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for all their topical similarity and virtually identical theses, What is Gnosticism? and Rethinking "Gnosticism" are very different books, because the two authors work very differently. Williams applies previously established typological categories of "Gnosticism" to ancient materials, thus highlighting their insufficiencies for understanding ancient materials on their own terms. King carefully builds a sort of historiographic genealogy and keeps her focus consistently on the last century's scholarship, telling the story of how the reification of "Gnosticism" came to be from within the broader social and intellectual matrix of twentieth-century interests and movements. The books differ, too, in their suggestions for future work. In place of "Gnosticism," Williams suggests we adopt when appropriate the more specific term "biblical demiurgical" (Williams, 265). But King rightly points out the problems with this term: it is cumbersome, and it persists in the same process of naming and categorizing she proposes we abandon altogether (168, 214-16). Still, she spends more time critiquing scholars and scholarship than she does solving the essential problem to which the book is devoted. Is there a future for studying Gnosticism without "Gnosticism"? She herself raises the question in her eighth and final chapter, but ends it reflexively: "It is important not so much to eliminate the term per se, but to recognize and correct the ways in which reinscribing the discourses of orthodoxy and heresy distort our reading and reconstruction of ancient religion" (218).

Ultimately, the reader of What is Gnosticism? is left questioning why King doggedly pursues Gnosticism' s historiographical genealogy. What precisely is at stake? And how well does she convey this? King states at the outset that she will reexamine how twentieth-century scholarship of Gnosticism has reinscribed a second-century discourse, but most of her detailed examples (Harnack, Jonas, Bousset, Reitzenstein, Bauer) harken from the first half of the century. The sole contemporary scholar of Gnosticism to receive a detailed discussion is Michael Williams, leaving readers with the impression that no one else is doing the sort of work King advocates. Because she withholds from the reader what the "state of the debate" truly is, she leaves the impression that hers is the sole clarion call for a new hermeneutic. This is misleading, because King's work not so much presents new material as it presents for a broader audience the methodological approach already well entrenched in the academy, certainly among specialists of Nag Hammadi and early Christianity. Perhaps, though, King would argue that there are only a few scholars who take this approach for granted, and this book is clearly not written for them.

While this book tears down the scaffolding upon which many earlier studies of Gnosticism have been built, King stops short of offering a concrete new direction, though her final chapter and "Note on Methodology" seems to suggest that such a direction lies in adopting postmodern and postcolonial reading strategies. It would have been enlightening and stimulating to see examples of what such a new hermeneutic, applied to the Nag Hammadi writings either individually or as a corpus, might yield; there are indeed recent articles and monographs out there from which to draw, but these are neglected. Because she does not address the work of modern scholars of early Christianity who likewise adhere to the New Historicism, King effectively flattens the background, placing her own methodological convictions in stark relief against a century's worth of essentially flawed scholarship. Still, as the only full-length study of the scholarship of Gnosticism that exists, there is surely a place for King's volume. Readers can follow the thread of a story ably told about a relatively new academic discipline now facing the challenge of modernity.


http://www.oup.com/obso/focus/focus_on_gnosticism/ 

Focus On Gnosticism

Written by leading scholars, the Focus On essays are designed to stimulate thought and to explore in depth topics of interest in the field of Biblical studies. New essays on specific themes, with links to related content within the site for further reading, are published throughout the year. All visitors to Oxford Biblical Studies Online can access these essays, but related content links in Previous Features are available to subscribers only. Please visit the full collection of Focus On essays.

Update Alert Service: to receive an email notice and details when a new Focus On article or site update is posted, sign up for Oxford Biblical Studies Online update alerts.




Gnosticism

Stevan Davies

Professor of Religious Studies
Misericordia University

Walk into any large bookstore and you will discover a few shelves of books labeled "Christian" or "Buddhist" or "Jewish" while next to them you will see several shelves with the vague label "New Age" or "Spirituality." Today many people have left the comfort of the churches or synagogues they grew up in and have decided to understand religion for themselves, to be "spiritual" rather than to be part of any organized religion, perhaps to combine ideas from Buddhism and Judaism and Catholicism into a new synthesis that they create themselves. In ancient times, mainly in the first through the fourth centuries, religious thinkers of this sort were called "Gnostics." In roughly 180 CE Irenaeus, the Bishop of Lugdunum in Gaul (now Lyon, France) wrote a long savage attack against the Gnostics entitled "The Refutation and Overthrow of the Knowledge (Gnosis) Falsely So Called," in which he says angrily that "since their teachings and traditions are different, and the newer ones among them claim to be constantly finding something new, and working out what no one ever thought of before, it is hard to describe their views." Irenaeus was certainly right about that.

Like today's New Age writers, ancient Gnostic writers delighted in coming up with new theories, highly variable creation myths, creative salvation schemes and imaginative descriptions of supernatural realms. Because the Gnostic texts contain such a diversity of ideas, scholars sometimes despair of ever coming up with a clear and useful definition of Gnosticism. Michael Williams has argued that the term "Gnosticism" is so overloaded with diverse meanings, so contradictory in the ways it is used by scholars, and so negative in its connotation when used by Christian clergy, that we probably should not use the label "Gnosticism" at all. I think that Williams is correct, yet I will continue on here to try and discuss Gnosticism in a meaningful way, while urging you to bear in mind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variation in Gnostic thought that will not be reflected in the relatively straightforward account I will provide.

The word Gnosticism comes from the Greek word "gnosis," which means "knowledge." The reason that Gnostics made "gnosis" their primary category is that for them salvation depended on correct knowledge. One might immediately ask, "salvation from what?" and "knowledge of what?"

Gnosticism postulates that human beings have divinity within them because a divine soul or divine wisdom permeates us. However, they observed, hardly anyone seems to know this. To know that you are fundamentally divine reveals to you that you are also fundamentally trapped in a non-divine material environment filled with demonic forces. If people are inherently divine, and if our divinity is trapped within a world filled with demonic forces, the god who created this world cannot be the same God who is the divinity within us. There must be a higher God in a higher realm than this one. Salvation, then, is an escape from this world into the world of the God beyond the creator god and demons of this world.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world to the realm of the true God we need to understand how that divinity got trapped here in the first place. This is the essential Gnostic "gnosis," knowing how it came to be that we are God trapped in this world. If we can understand the cosmic process by which we came to be here, we can reverse that process and go back to whence we came. Understanding that cosmic process is the fundamental point of Gnostic mythology, which is a mythology of creation that describes the devolution of God into us.

Many ancient Gnostic manuscripts depict this process, which Irenaus called their attempts to "work out what no one ever thought before." But there is one "locus classicus," of the Gnostic myth that is found in a book called the "Apocryphon Johannis" or, in English, "The Secret Book of John." The Secret Book of John was probably written by Jewish Gnostics in the first century CE, or even a century before. While it is critical of the Jewish God, its terminology and mythic motifs and biblical citations show that it comes from a Jewish cultural background. In the early second century CE Christians revised it slightly to make it Christian; Jesus appears at its beginning and its end and Jesus is now the name of the revealer of Gnostic truth. There are no fewer than four surviving manuscripts of the Secret Book of John, three found in the great collection of Gnostic texts called the Nag Hammadi library and one in what is called the Berlin Gnostic Codex. In addition Irenaeus includes a summary of it in his anti-gnostic tract. If there is a single basic Gnostic text, the Secret Book of John is it.

Here is a brief summary of the Secret Book of John. First we hear of an unimaginable, indescribable perfect God, the being (beyond being) called Brahman in Hinduism, or Ein Sof in mystical Judaism. The Secret Book of John goes on at some length to describe how indescribable God is. Second we hear about the mystical structures of the divine mind, how God's mind contains a central realm of providence called Barbelo, and four subordinate categories of divine activity—truth, incorruptibility, foreknowledge, and everlasting life—then how further subordinate categories of divine being, mainly mental, come into existence. The Secret Book of John's description of the mind of God, called the fullness or, in Greek, the "pleroma," is conceptual and therefore below the level of the indescribable God. Third, we are told that Sophia, the Wisdom of God, seeks to know God objectively. But this leads to crisis because God is purely subjective. God's Wisdom imagines God and, although an imaginary God is unreal, it yet takes on a kind of inferior illusory being of its own outside of God's realm. This lower god has the name Yaldabaoth and is to be identified with Yahweh of the Hebrew Bible. Fourth, Yaldabaoth, who does have a portion of divine spirit from his mother, Sophia, creates a universe populated by all sorts of demonic creatures when, to his amazement, the full mind of God reveals itself as a human being in the heavens. Yaldabaoth constructs a material version of the heavenly human being and puts the divine spirit into it to make it mobile. But, surprise! It was a trick, for now, if the human being can realize its divine origin and return above, the divine spirit will return with it and thereby the realm of Yaldabaoth will become devoid of divine spirit and cease to be. Fifth, in self-defense Yaldabaoth makes the human being ignorant of its origins. But the divine mind sends down a messenger (Jesus, in the Christian version of the tale) to give human beings true "gnosis" by which they can go back to the perfect divine realm.

Whew. The Secret Book of John may be bizarre (and there is a great deal more to it that I have left out here) but it is ultimately a negative reworking of the Biblical story of Genesis, taking the point of view that while the story behind Genesis is true, the version written into the Bible by Moses is mistaken. We hear several times in the Secret Book of John that we should understand that it was "not as Moses wrote," but as some other thing. Moses is taken to be a mistaken interpreter of the fundamental myth. For Gnosticism, the tree of knowledge in the Garden of Eden (Genesis 2:15–17) was the tree of gnosis, and people should eat from it. Wicked Yaldabaoth forbade this and then walled off the garden and the tree after Eve did the right thing (led by a divinely empowered serpent) by eating from that Tree (Genesis 3:1–24). The story in Genesis is wholly reversed through Gnostic interpretation.

From the Gnostic perspective, Jesus is a divine being sent from the realm of the higher God into this world to inform the trapped divine elements within human beings of their true nature and origin. Accordingly, Jesus is from some entirely other world than this one and therefore the Gospel of John was particularly interesting to Gnostics because in that Gospel Jesus says repeatedly that he is not of this demonic world of lies but from another world of light and truth (Jn 12:44–4617:14–16). The idea of a revealer coming from a world above that is infinitely superior to this demonic world below makes the Gospel of John very open to Gnostic interpretation.

Some have said that the Gospel of Thomas is gnostic, but they are mistaken. They observe correctly that in the Gospel of Thomas Jesus sometimes says that people have divine light within them, e.g. "There is light within a man of light and he lights up all of the world. If he is not a light there is darkness," (saying 24) or "When you give rise to that which is within you, what you have will save you. If you do not give rise to it, what you do not have will destroy you," (saying 70), and certainly Gnostics would have agreed with those passages. But overall the Gospel of Thomas is not Gnostic because it affirms that the Kingdom of God is now and has been from the beginning spread out upon this world, although people do not see it (saying 113). While Gnosticism regards the world as an enimical place of entrapment and declares that God's kingdom is beyond this world, the Gospel of Thomas denies this by mocking (in saying 3) the idea that the Kingdom is in heaven (if so, "the birds will be there before you are!") rather than right here now. (For more information, see the new article on the Gospel of Thomas.)

The success of orthodox Christianity over Gnostic Christianity stemmed in part from its organizational superiority. In establishing an invariant set of beliefs through creedal conferences such as the one in Nicea (325 CE), the range of possible Christian ideas was pinned down to a defined set. Gnosticism's wild creativity worked against its success as an organized religion. Eventually orthodox Christianity defined Gnosticism as a heresy that first Roman and then medieval Catholic police power would work to exterminate. In 367CE the Egyptian bishop Athanasius of Alexandria ordered his monks to destroy "illegitimate and secret books" and so, in a Pachomian monastery near Nag Hammadi, Egypt, the monks took their library of Gnostic books and, rather than burn them all, buried them in jars. In 1945 CE those jars were unearthed and they have subsequently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Anyone interested in Gnosticism can read a whole library of texts from 1,600 years ago (many of which were written a couple of centuries earlier still). Through these texts, and others, Gnosticism still lives today, and through the New Age movement and the Spiritual religion movement the creative impulses of the Gnostic thinkers persist.

Further Reading


  • Brakke, David. The Gnostics: Myth, Ritual, and Diversity in Early Christianit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 Davies, Stevan. The Secret Book of John: The Gnostic Gospel Annotated and Explained. Woodstock, Vt.: Skylight Paths, 2005.
  • King, Karen L. What Is Gnosticism? Cambridge, Mass.: Belknap, 2005.
  • Meyer, Marvin. The Nag Hammadi Scriptures: Revised and Updated Translation. New York: HarperOne, 2009.
  • Pagels, Elaine. The Gnostic Gospels. New York: Random House, 1979.
  • Williams, Michael A. Rethinking "Gnosticism": An Argument for Dismantling a Dubious Categor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

Biblical Passages and Apocrypha


Genesis
Gospel of John

Subject Entries and Commentary


Gnosticism
Nag Hammadi
Mysticism
Apocrypha
Gospel of Thomas


http://www.gnosis.org/naghamm/nhl_sbj.htm 

The Apocryphon of John Collection
(The Secret Revelation of John - The Secret Book of John)

Gnosis Archive | Library | Bookstore | Index | Web Lectures | Ecclesia Gnostica | Gnostic Society

I have come to teach you about what is, and what was, and what will be
in order for you to understand the invisible world, and the world that is visible,
and the immovable race of perfect humanity. - The Apocryphon of John

Introduction

Among the several dozen ancient Gnostic manuscripts rediscovered in modern times, the Secret Book of John is generally agreed to be the most important. It has been called the locus classicus for the Gnostic mythological system – in sum, it is the preeminent “Gnostic Gospel”, a sacred reservoir for the defining essence of Gnostic myth and revelation.  It breathes with the life of vision that vitalized early Christianity, a life suppressed and then largely forgotten in later ages. From a modern reading of this crucially important and recently rediscovered "Gospel", we are granted fundamental insights into the lost foundations of Christian tradition.

Apocryphon Iohannis – the Apocryphon of John – is the title that appears on the original manuscripts, and by this title the text has been known in scholarly circles over the last fifty years. In Greek,apocryphon literally means “hidden” or “secret”, thus in recent popular literature the title is usually translated as either the Secret Book of John or The Secret Revelation of John.   

Saint John the Evangelist, by El GrecoBy its own declaration, the Secret Book of John is a sacred text intended to be shared only with individuals properly prepared to receive its revelation. In second-century Christian communions circulation of the text probably remained restricted.  Amazingly, despite limited circulation and  the effective later efforts by evolving Christian orthodoxy to destroy all such “heretical” scriptures, four separate manuscripts of the SBJ have survived into our own age. Three of these were found among the Nag Hammadi codices discovered in 1945, while a fourth copy was independently recovered fifty years earlier from another site in Egypt. All four versions date to the fourth century. Three of the four appear to be independently produced Coptic translations of an original text in Greek. Two of the four manuscripts (NHC II and NHC IV) are so similar that they most likely represent copies of a single common source.

To put in context the uniqueness of finding four complete copies of a document of this extreme antiquity, note that we possess only two fairly complete manuscripts of the canonical gospels of equal age (the Codex Vaticanus and Sinaiticus).  Only a few fragments of canonical texts with dates of creation earlier than the fourth century have survived. These four manuscripts of the Apocryphon of John represent some of the oldest known surviving books. From the ancient sands of Egypt, they come to our modern age bearing a timeless message.

The Secret Book of John is the one Gnostic text every student seeking to understand the roots of ancient Christianity must read.  At first reading it will seem unlike anything encountered in the New Testament -- excepting perhaps the Apocalypse of John. Like the Apocalypse, this too is a revelation text, a secret and sacred vision.  It is the story of God, and by reflection, the story of Humankind -- a penetrating psychological reflection on the source of consciousness and the existential predicament of an eternal light indwelling life. It is not an intellectual curiosity, nor is it a text to be "surfed", in the perverse sense of modern internet reading.  As Prof Karen King notes:

In antiquity, readers studied the Secret Revelation of John in order to perfect the divine image of their souls; it was composed, translated, and distributed largely to further salvation—or to refute its claims to aid in salvation. In the modern world, however, it has rarely been read with such goals in mind. It usually finds its place either in the theology of orthodox Christianity as a chapter on Gnostic heresy or in disputes about the historical origins and definition of Gnosticism. Within the academy more narrowly its value largely has to do with intellectual production and prestige, including concerns about tenure and promotion—salvation, if you will, of a rather different sort. As the Secret Revelation of John becomes known more widely, we may expect it to have new and varied impacts on early Christian historiography, constructive theology, and personal appropriation. In any case, modern readers do not stand outside the work's history, but take it up on a new historical stage. (King, p 23)

The resources in this collection are intended to assist study of the Secret Revelation -- the Secret Book, the Apocryphon -- of John, to help it become more widely known, to aid the "personal appropriation" by modern readers who now surprisingly find themselves part of its history.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presented here, we strongly advise serious students obtain two excellent books.  The first is Stevan Davies' superb new translation of The Secret Book of John.  Davies has produced a readable translation that is profoundly true to the source material:  it is both accurate and beautiful.  Davies' translation is accompanied by an excellent verse by verse commentary on facing pages.  For any reader, this is the place to start.  The second book is Karen King's The Secret Revelation of John.  This is an extensive and scholarly -- but still very readable -- study of the text and the cultural milieu that influenced and in turn was influenced by the Apocryphon Iohannis.

-- Lance Owens
 













..






Posted by water_
,

The Destruction of Sodom and GomorrahJohn Martin, 1852. 

Sodom (HebrewסְדוֹםModern Sədom Tiberian SəḏômGreek Σόδομα Sódoma) and Gomorrah (HebrewעֲמוֹרָהModern ʿAmora Tiberian Ġəmôrāh/ʿĂmôrāhGreek ΓόμοῤῥαGómorrha) were cities mentioned in the Book of Genesis and later expounded upon throughout the Hebrew Bible, the New Testament and Deuterocanonical sources as well as the Quran.

According to the Torah, the kingdoms of Sodom and Gomorrah were allied with the cities of AdmahZeboim and Bela. These five cities, also known as the "cities of the plain," were situated on the Jordan river plain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land of Canaan. The Jordan river plain (which correlates to the modern day Dead Sea[1]) has been compared to that of the garden of Eden,[Gen.13:10] being a land well-watered and green, suitable for grazing livestock. Divine judgment by Yahweh was then passed upon Sodom and Gomorrah along with two other neighboring cities that were completely consumed by fire and brimstone. Neighboring Zoar was the only city to be spared during that day of judgment.[Deut.29:23][Gen.10:19]

In Christian and Islamic traditions, Sodom and Gomorrah have become synonymous with impenitent sin, and their fall with a proverbial manifestation of God's wrath.[2][Jude 1:7] Sodom and Gomorrah have also been used as metaphors for vice and homosexuality viewed as a deviation. The story has therefore given rise to words in several languages, including the English word "sodomy", used in so-called sodomy laws to describe a sexual "crime against nature" consisting of oral or anal sex, either homosexual or heterosexual.[3]


http://en.wikipedia.org/wiki/Sodom_and_Gomorrah
Posted by water_
,
Course Description:
Certain forms of religious expression from the early centuries of Christianity were eventually condemned by "orthodox" Christian authorities as "heretical." Among the earliest and most interesting of these were a variety of writers and movements who considered the creator God of biblical tradition to be a "lesser god," inferior to a far more transcendent and sublime divine entity. Original writings from such movements are preserved among the works in the important "Nag Hammadi Library," a collection of writings (gospels, revelations, treatises, etc.) discovered in the later 1940's near the Egyptian village of Nag Hammadi, and we will give special attention to this collection and related sources from the period. These often contain interesting and sometimes rather elaborate mythologies about the origin of the world, the nature of the true God and the lesser god(s) of creation, the origin of evil, and the nature and destiny of humanity. At a time when there was still no fixed Christian Bible or uniform organization, such elaborate myths of origin and eschatology constituted some of the earliest attempts at a systematic articulation of Christian doctrine in relation to Jewish tradition and Greco-Roman philosophy. The Nag Hammadi collection includes other writings that do not necessarily--or at least so clearly--involve these mythologies but do exemplify interesting "alternative" Christian literatures claiming to convey "secret" revelation of one sort or another. Fundamental features of what eventually became Christian orthodoxy were shaped through controversy over such doctrines and literatures.

https://catalyst.uw.edu/workspace/maw/23944/150927



http://en.wikipedia.org/wiki/Gnostic

 Simple crossed circle.svg

Gnosticism (from gnostikos, "learned", from Greek: γνῶσις gnōsis, knowledge) is a scholarly term for a set of religious beliefs and spiritual practices common to early Christianity, Hellenistic Judaism, Greco-Roman mystery religions, Zoroastrianism (especially Zurvanism), and Neoplatonism.

A common characteristic of some of these groups was the teaching that the realisation of Gnosis (esoteric or intuitive knowledge), is the way to salvation of the soul from the material world. They saw the material world as created through an intermediary being (demiurge) rather than directly by God. In most of the systems, this demiurge was seen as imperfect, in others even as evil. Different gnostic schools sometimes identified the demiurge as Adam Kadmon, Ahriman, El, Saklas, Samael, Satan, Yaldabaoth, or Yahweh.

Jesus is identified by some Gnostic sects as an embodiment of the supreme being who became incarnate to bring gnōsis to the earth.[1] Others adamantly deny that the supreme being came in the flesh, claiming Jesus to be merely a human who attained divinity through gnosis and taught his disciples to do the same.[citation needed] Among the Mandaeans, Jesus was considered a mšiha kdaba or "false messiah" who perverted the teachings entrusted to him by John the Baptist.[2] Still other traditions identify Mani and Seth, third son of Adam and Eve, as salvific figures.[3]

The Christian sects first called "gnostic" a branch of Christianity, however Joseph Jacobs and Ludwig Blau (Jewish Encyclopedia, 1911) note that much of the terminology employed is Jewish and note that this "proves at least that the principal elements of gnosticism were derived from Jewish speculation, while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new wine having been poured into old bottles."[4] The movement spread in areas controlled by the Roman Empire and Arian Goths,[5] and the Persian Empire; it continued to develop in the Mediterranean and Middle East before and during the 2nd and 3rd centuries. Conversion to Islam and the Albigensian Crusade (1209–1229) greatly reduced the remaining number of Gnostics throughout the Middle Ages, though a few Mandaean communities still exist. Gnostic and pseudo-gnostic ideas became influential in some of the philosophies of various esoteric mystical movements of the late 19th and 20th centur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ncluding some that explicitly identify themselves as revivals or even continuations of earlier gnostic groups.


History of Gnosticism
Early Gnosticism
Syrian-Egyptic Gnosticism
Gnosticism in modern times
Proto-Gnostics
Philo
Simon Magus
Cerinthus
Valentinus
Basilides
Gnostic texts
Gnostic Gospels
Nag Hammadi library
Codex Tchacos
Askew Codex
Bruce Codex
Gnosticism and the New Testament
Related articles
Gnosis
Neoplatonism and Gnosticism
Mandaeism
Manichaeism
Bosnian Church
Esoteric Christianity
Jnana




Nag Hammadi is located in Egypt
Nag Hammadi

http://en.wikipedia.org/wiki/Nag_Hammadi
(Arabic: نجع حمادى‎, IPA: [ˈnæɡʕe ħæmˈmæːdi]), is a city in Upper Egypt. Nag Hammadi was known as Chenoboskion (Greek: Χηνοβόσκιον) in classical antiquity, meaning "geese grazing grounds". It is located on the west bank of the Nile in the Qena Governorate, about 80 kilometres north-west of Luxor.

It has a population of about 30,000, who are mostly farmers. Sugar and aluminium are produced in Nag Hammadi.

The town of Nag Hammadi was established by Mahmoud Pasha Hammadi, who was a member of the Hammadi family in Sohag, Egypt. Mahmoud Pasha Hammadi was a major landholder in Sohag, and known for his strong opposition to the British occupation.

Mahmoud Pasha Hammadi created Nag Hammadi for the indigenous people from Sohag who were forced to abandon their homeland by the British occupation. In recognition of this, the new town was given the name "Hammadi".

The Nag Hammadi Library

Nag Hammadi is best known for being the site where local farmers found a sealed earthenware jar containing thirteen leather-bound papyrus codices, together with pages torn from another book, in December 1945. The mother of the farmers burned one of the books and parts of a second (including its cover). Thus twelve of these books (one missing its cover) and the loose pages survive.[1] The writings in these codices, dating back to the 2nd century AD,[2] comprised 52 mostly Gnostic tractates (treatises), believed to be a library hidden by monks from the nearby monastery of St Pachomius when the possession of such banned writings, denounced as heresy, was made an offence.[citation needed]

The contents of the Coptic-bound codices were written in Coptic, though the works were probably all translations from Greek. Most famous of these works must be the Gospel of Thomas, of which the Nag Hammadi codices contain the only complete copy.

All the texts have been public since 1975, and are available online.



Codex

A codex (Latin caudex for "trunk of a tree" or block of wood, book; plural codices) is a book in the format used for modern books, with multiple quires or gatherings (sheets of paper or vellum in multiples of two which are folded and stitched through) typically bound together and given a cover.

Developed by the Romans from wooden writing tablets, its gradual replacement of the scroll, the dominant form of book in the ancient world, has been termed the most important advance in the history of the book prior to the invention of printing.[1] The spread of the codex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rise of Christianity, which adopted the format for the Bible early on.[2] First described by the 1st-century AD Roman poet Martial, who praised its convenient use, the codex achieved numerical parity with the scroll around AD 300, and had completely replaced it throughout the now Christianised Greco-Roman world by the 6th century.[3]

The codex holds considerable practical advantages over other book formats, such as compactness, sturdiness, ease of reference (a codex is random access, as opposed to a scroll, which is sequential access), and especially economy; unlike the scroll, both recto and verso could be used for writing.[4] Although the change from rolls to codices roughly coincides with the transition from papyrus to parchment as favourite writing material, the two developments are quite unconnected. In fact, any combination of codices and scrolls on the one hand with papyrus and parchment on the other is technically feasible and well attested from the historical record.[5]

Although technically any modern paperback is a codex, the term is now reserved for manuscript (hand-written) books which were produced from Late Antiquity through the Middle Ages. The scholarly study of these manuscrip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bookbinding craft is called codicology, while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in general is called paleography.

Posted by water_
,

article from http://alisina.org/einstein-and-islam/

Iranian mullah says Einstein converted to Shiite Isalm.

In a debate with a learned mullah from Iran my opponent quoted a passage that he claimed is from Albert Einstein.

“Quran is not a book of algebra or geometry but is a collection of rules which guides human beings to the right way, the way which the greatest philosophers are unable to decline it.

I made as search and found that this passage is quoted in many Islamic sites. However, the passage is falsely attributed to Einstein. Einstein’s views of God and religion were radically opposed to Islam. In the following passage he explains his beliefs.

The insight into the mystery of life, coupled though it be with fear, has also given rise to religion. To know that what is impenetrable to us really exists, manifesting itself as the highest wisdom and the most radiant beauty which our dull faculties can comprehend only in their most primitive form — this knowledge, this feeling, is at the center of true religiousness, and in this sense only, I belong in the ranks of devoutly religious men. I cannot imagine a God who rewards and punishes the objects of his creation, whose purposes are modeled after his own — a God, in short, is but a reflection of human frailty. Neither can I believe that the individual survives the death of his body, although feeble souls harbor such thoughts through fear of ridiculous egotism.”

Clearly, Einstein did not believe in a personal god that rewards and punishes, neither he believed in the afterlife. These concepts are fundamental to Islam. Without a personal God and without the Day of Judgment, a lustful paradises and a tormenting hell Islam becomes meaningless.

Islam is entirely based on fear. No other words are repeated more frequently in the Quran than “hell” and “Day of Judgment.” I have debated with thousands of Muslims, some very educated, and some not. The undertone of all these debates was the punishment of God that awaits me. It’s this fear that has paralyzed Muslims and has made them helpless. As long as this fear persists they will not doubt Islam and will not be able to set themselves free.

Einstein believed religion is the product of ignorance and fear. Those comments about Islam are falsely attributed to him. But that does not surprise me. Almost everything Muslims say is a lie. It’s unbelievable that one cannot find a word of truth in this religion.

What surprises me is that this erudit mullah in his previous message to me had posted a long list of all the quotes from several anti-Semites such as Gustav Le Bon and others, to portray that Jews are the most wicked and evil people in the world, utterly dehumanizing them and demonizing them. Le Bon’s theories about race and crowd control greately influenced Hitler in writing his Mein Kampf and it is said the Musolini kept Le Bon’s book by his bedside.

This educated man even believes that Allah transformed the Jews into pigs and monkeys. It’s amazing what Islam does to human brain. And when I tried to prove him wrong, reminding him of all the great things the Jews have done for mankind, he said, aha! Now we know that you are a Jew. Yet among all the people, he picked Albert Einstein, a Jew, to falsely attribute those words of praise about Islam to. If Einstein is racially inferior, as Le Bon says, and as wile as the Quran says, why quote him? If as a Jew he is not worth anything, why should his opinion about Islam matter? The absurdity of the Muslim mind never ceases to amaze me.

To fully comprehend the delusional mind of the Muslims I’d like to inform the reader that the mullahs in Iran claim that Einstein had converted to Shiite Islam. The government controlled site SobheSadegh.ir says that according to an unnamed cleric delivering a sermon at a mosque in Tehran, the nuclear physicist Albert Einstein allegedly converted to Shi’a Islam through the efforts of Grand Ayatollah Boroujerdi, who also had urged Einstein to keep his conversion secret in order not to be assassinated.

However, far from converting to Islam or praising it, as a Jew, Einstein had distinct views on Jesus. Below is a clip of an interview from the Saturday Evening Post, October 26, 1929:

“To what extent are you influenced by Christianity?

As a child I received instruction both in the Bible and in the Talmud. I am a Jew, but I am enthralled by the luminous figure of the Nazarene.

Have you read Emil Ludwig’s book on Jesus?

Emil Ludwig’s Jesus is shallow. Jesus is too colossal for the pen of phrasemongers, however artful. No man can dispose of Christianity with a bon mot [a witty remark].

You accept the historical existence of Jesus?

Unquestionably! No one can read the Gospels without feeling the actual presence of Jesus. His personality pulsates in every word. No myth is filled with such life.”

These Islamic sites post several quotes from famous personalities such as Napoleon Bonaparte, Gandhi, Leon Tolstoy, Bernard Shaw and others that praise Islam. Quoting the opinions of famous people as the evidence of the truth of a religion is a logical fallacy. Even famous people can be wrong, but the fact that none of these people were scholars of Islam or had read its holy book or its history makes their opinion about Islam worthless. Hitler also praised Islam. Hitler’s opinion is the only one that matters because he understood Islam. Would others have still praised Islam had they known that Muhammad was a raider, a mass murderer, a slave maker and a rapist? These facts have come to the public attention only during the last decade or so. When I started writing about them no one believed me. I sounded like a lunatic to them. It just made no sense that a man literally worshipped by 1.5 billion people could be a despicable criminal. But that is the fact the world must come to terms with and it is coming to term with.

These famous people, who have spoken loftily about Islam, have spoken from the position of ignorance. Praising Islam makes Muslim very happy. Muslims constantly seek approval from people in authority and for the unwary people it seems to be a cheap way to endear themselves with Muslims. Sadly, these approvals compound Muslims’ ignorance and make them more fanatical and as the result more violent. The essence of the message of Muhammad is jihad. If you approve Islam, you validate all its evil teachings including jihad and encourage terrorism. Now that the truth is out, no one should ever praise Islam to appease Muslims. Ignorance is no longer an excuse. Praising Islam is treason to humanity.

Another authority quoted by Muslims is the Russian Novelist Leo Tolstoy. He is claimed to have said, “Quran contains clear realties and tenets and human beings can utilize it generally.” As usual, no reference is given. Assuming these are the words of Tolstoy, he has also thought that Islam has become currupted beyond redemption. He has also praised Bab and Baha-u-llah, the twin founders of the Bahai Faith . These prophets are denounced by Muslims. A few months before his death Tolstoy wrote:

I have known about the Bábís for a long time, and ha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ir teachings. It seems to me that these teachings, as well as all the rationalistic social religious teachings that have arisen lately out of the original teachings of Brahmanism, Buddhism,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distorted by the priests, have a great future for this very reason that these teachings, discarding all these distorting incrustations that cause division, aspire to unite into one common religion of all mankind.

Therefore, the teachings of the Bábís, inasmuch as they have rejected the old Muhammadan superstitions and have not established new superstitions which would divide them from other new superstitions (unfortunately something of the kind is noticed in the exposition of the Teachings of the Báb), and inasmuch as they keep to the principal fundamental ideas of brotherhood, equality and love, have a great future before them.”

Muhammad Ahmad al Mahdi

Tolstoy mentions the Ahmadiyah movement in Lahor and the Mahdi movement in Sudan and says,

Both these religious teachings contain nothing new, neither do they have for their principal object a changing of the outlook of the people and thus do not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as is the case with Babiism. I therefore sympathize with Babiism with all my heart inasmuch as it teaches people brotherhood and equality and sacrifice of material life for service to God.

The teachings of the Bábís which come to us out of Islam have through Bahá’u’lláh’s teachings been gradually developed and now present us with the highest and purest form of religious teaching.”

So I’d like to ask the Muslims who quote “authorities” to prove Islam is true, why they ignore the same authorities when they praise other faiths, specially the Babi and Baha’i faiths that Muslims regard heretic? If Tolstoy’s opinion about Muhammad is valid, so must be his opinion about Bab and Baha-u-llah.

Relying on “authorities” as evidence of the truth of any proposition is a logical fallacy. It’s called argumentum ad verecundiam. The truth of a religion can be only determined by analyzing its teachings and its author or as Jesus said, by their fruits ye shal recognize them.

When we analyze Islam, we find it to be a religion that promotes hate, spreads through deception, advocates violence, and encourages fighting and bloodshed. When we observe its followers, we see they are backward, violent, ignorant, and uncivilized. These are the bitter fruits of this tree from hell.

Einstein was an atheist Jew and a Zionist. He was everything Muslims hate. Despite that Muslims feel no shame in cashing on his popularity, even through lies. Einstein did not believe in a personal god. His thoughts were diametrically opposed to Islam. He did not convert to Islam and he did not praise it. He had a lot of respect for Jesus, but not for Muhammad. Muhammad deserves no respect. By virtue of how he lived and the legacy of destruction that he left behind he deserves our scorn.

Posted by water_
,


엄마가 오늘 3박4일의 꾸르실료 교육을 마치고 집에 오셨다. 다음 주는 아빠 차례라고 한다. 우리 본당에서 엄마와 아빠만 다녀오셔서 본당 분들이 많이 신경을 써주셨다. 다녀온 엄마가 참으로 기쁘고 좋아하신다. 어떠한 것인지 검색을 해보았다.

꾸르실료 Cursillo
꾸르실료란 스페인어로 과정 (course) 를 뜻 함. Curso 와 짧다 (short) 그리고 접미사 =illo의 합성어로써 단기과정 a short course 라는 뜻.
스페인은 전통적인 가톨릭 국가였고 19세기 동안 3번의 내전으로 무질서와 혼란이 가득했다. 이렇게 비 非 그리스도화된 모습의 세상에서 신앙심 깊었던 모습을 되찾으려 - 스페인의 청년들이 스페인의 수호성인 야고보  Saint Jacob 성인의 무덤이 있는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Santiago de Compostela 로 성지순례를 시행하기로하고 - 성지순례의 효율적 진행을 위하여 봉사자 교육 프로그램인 '순례자들을 위한 상급반 꾸르실료'를 실시했다고 함. 성지순례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꾸르실료를 준비한 봉사자들은 꾸르실료를 교회운동으로써 발전함. 1963년 꾸르실료 운동은 교황 바오로 6세로부터 교회 내 신심 운동으로 인정받아 '평신도가 중심이 된 교회운동'으로 자리잡았음.
꾸르실료 운동은 교구의 사도직 활동의 일환으로 교구장 산하에 있는 공인된 교회 운동이며, 하나의 방법이다. 꾸르실료에서 그리스도와 접촉하고,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과 일치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다른 형제들과 결합하고, 그리스도께 헌신하며, 참다운 크리스찬이 되기로 결심한다. 크리스찬의 기본을 생활화하게 하는 것 - 진솔한 회개와 회심을 통해 하느님과 만나고,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그리스도와 친교를 나누며, 이웃과의 만남으로 모든 형제, 자매가 진정한 사랑의 공동체를 이루고 형재애를 나눔.

"꾸르실료 운동의 기본사상」이라는 책에 꾸르실료는 "꾸르실료가 지닌 방법에 의해서 사람들이 크리스찬으로서 기본을 살아갈 수 있도록 그리고 함께 나누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교회 운동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꾸르실료는 "꾸르실리스따인 우리들 각자가 우리들의 소명을 알아내어 완수하도록 도와주고 복음으로 그들의 환경을 누룩처럼 변화시킬 핵심적인 크리스찬 그룹의 탄생을 촉진한다"라고도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꾸르실료는 꾸르실리스따가 지닌 고유한 카리스마에 합당한 방식으로 교회의 사도적 사명에 동참하고자 하기 때문에 분명 사도적 영성을 나누고 있고 그럼으로 꾸르실료 영성은 사도적 영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꾸르실료의 귀납법적 사고방식이 강조되는 것은 꾸르실료가 어떤 이론이나 논리보다도 삶이 먼저이어야 함이 강조되는 것이기에 꾸르실료는 바로 삶이다. 
꾸르실료 운동의 이념적 핵심은 크리스찬적 삶이다.
그것은 단순히 이론이 아니라 생활로 체험하는 것이고 거기에는 막연한 어떤 관념이 아니라 실제적 신념이 포함되어야 하며 생활이 바로 신앙적 표현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크리스찬으로 활동하는 것" 보다는 "크리스찬인 것"에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꾸르실료는 강의와 조별나눔과 같은 교육적 프로그램을 포함하지만 교육의 차원보다는 '회심을 위한 3박4일의 피정'에 가깝다고 함. 꾸르실료는 매일미사, 묵상과 성체조배, 강의와 조별 나눔, 조별 발표, 레크리에이션 등 일반적 피정 프로그램과 유사함. 꾸르실료의 일정에 대해서는 묻거나 나누는 것이 금지되어있는데 이는 피정에 대한 집중도와 효과를 높히기 위함일 뿐. 가톨릭 내에서의 청년성서모임 연수, Marriage Encounter (ME), 선택 (Choicr)등의 프로그램 내용을 비밀로하는 것과 비슷한 이유.
꾸르실료는 교구별로 진행되며 해마다 11월경 일정을 확정하고 본당 울뜨레야 간사님을 통해 공지됨.


무지개와 De colores 라는 문구가 공식 로고인 듯. 


노래하는 수탉 singing rooster 의 모습도 검색 중 많이 볼 수 있었음.



꾸르실료를 마친 엄마를 마중나온 신부님과 본당분들 그리고 아빠와 창준 :)) 이후에 나에게도 기회가 주어진다면 다녀와야지십다. 수고한 엄마와 수고 할 아빠에게 박수와 기도와 응원을 ~




자료 출처 http://www.cursillo.or.kr/index.php 
http://www.gungigol.or.kr/06_gungigol/oldurea/oldurea_04.htm
http://www.jsrsys.com/cursillo/

Posted by water_
,

엄마 지인분의 남편분이 돌아가시어 함께 장례미사를 다녀왔다. 가는 길에 엄마가 이런 절차도 언젠가 한 번 쯤은 보아야 하는 것이라며,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여럿 하신다. 본인이 돌아가면 이와같이 미사를 드려달라며..... 괜한얘기도 하신다. 사실 필요한 얘기지만 듣고 싶지 않은 얘기. 아무튼 성당에 도착하니 주차장에 커다란 버스와 관을 모신 리무진이 있더라. 성당에 들어가니 관이 입구에 위치. 성당의 의자들에도 십자가와 일종의 깃 같은 것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미사의 시작과 함께 관을 앞으로 옮기고 미사를 드렸다. 봉헌 시에 사람들이 국화를 관위에 올렸고 , 미사가 끝난 후 관은 신부님과 함께 성당에서 옮겨졌다. 전반적인 장례 미사에 대해 검색을 해보았다.

장례미사
죽은 이를 위하여 보치는 미사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는 입당송의 첫 단어인 "requiem" 안식 - 이라 불리기도
제의는 검은색
종류는 장례미사 , 사망미사, 위령미사가 현재 남아있음
교회는 삶의 최대 비극이요 절망, 불안의 순간인 죽음 앞에서 장례미사를 통하여 죽음의 의미를 명확히 제시
"장례예식이 christian 죽음의 파스카적 성격을 보다 명백히 표시 할 것'
하느님과의 궁극적 만남을 통하여 우리 일생의 선하심과 사랑을 체험
살아 부족한 점을 위해 유가족이 용서를 구하는 기도를 올림
사망시부터 장례일까지 끊임없이 망자를 위한 기도 (연도)를 바침
망자를 위한 미사봉헌은 사망미사, 장례미사, 삼우三虞미사를 봉헌
사망미사는 입관전, 장례미사는 장례일, 삼우미사는 장례 후 3일 째에 봉헌
시체의 옆에는 몇의 촛불을 켜고, 빠스카 초를 머리 맡에 켠다

죽은 이를 위하여 올리는 기도:
"오소서, 하느님의 거룩한 이들이여, 주의 천사들이여.
그를 돌보사 지존하신 어전 앞으로 인도하소서"



빠스카의 초 Paschal candle
large white candle used in liturgy in Western Rites of Christianity (Roman Catholic, Anglican, Lutheran, etc.)
blessed and let every Easter
used throughout Paschal season (during Easter then throughout year on special occasions such as baptism, funerals)
flame of Paschal candle symbolize - Christ as light of the world, his presence in midst of his people
Pesach - Hebrew, means Passover
cross is always central symbal
Greek letters - alpha and omega: signify God is beinning and end
5 grains of incense - often red, embedded in candle: symbolize five wounds of Jesus (each hand, each foot, spear thrust onto his side)

Passover
Hebrew
Jewish holiday and festival
commemorates story of Exodus - ancient Israelites were freed from slavery in Egypt
begins on 15th day of month of Nisan (Jewish Calendar)
celebrated for seven - eight days
Bible tells God helped Children of Isreal escape slavery in Egypt by inflicting ten plagues upon Egyptians before Pharoah release his Israelite slaves




Plagues of Egypt - Ten Plagues
Plague of Blood
This is what the LORD says: By this you will know that I am the LORD: With the staff that is in my hand I will strike the water of the Nile, and it will be changed into blood. The fish in the Nile will die, and the river will stink; the Egyptians will not be able to drink its water.
 
— Exodus 7:17–18
Plague of Frogs
This is what the great LORD says: Let my people go, so that they may worship me. If you refuse to let them go, I will plague your whole country with frogs. The Nile will teem with frogs. They will come up into your palace and your bedroom and onto your bed, into the houses of your officials and on your people, and into your ovens and kneading troughs. The frogs will go up on you and your people and all your officials.
 
— Exodus 8:1–4
Plague of Lice
Plague of Flies
Plague of Pestilence
This is what the LORD, the God of the Hebrews, says: "Let my people go, so that they may worship me." If you refuse to let them go and continue to hold them back, the hand of the LORD will bring a terrible plague on your livestock in the field—on your horses and donkeys and camels and on your cattle and sheep and goats.
 
— Exodus 9:1–3
Plague of Boils
       Shkhin - skin disease
Plague of Hail
This is what the LORD, the God of the Hebrews, says: Let my people go, so that they may worship me, or this time I will send the full force of my plagues against you and against your officials and your people, so you may know that there is no one like me in all the earth. For by now I could have stretched out my hand and struck you and your people with a plague that would have wiped you off the earth. But I have raised you up for this very purpose, that I might show you my power and that my name might be proclaimed in all the earth. You still set yourself against my people and will not let them go. Therefore, at this time tomorrow I will send the worst hailstorm that has ever fallen on Egypt, from the day it was founded till now. Give an order now to bring your livestock and everything you have in the field to a place of shelter, because the hail will fall on every man and animal that has not been brought in and is still out in the field, and they will die. […] The LORD sent thunder and hail, and lightning flashed down to the ground. So the LORD rained hail on the land of Egypt; hail fell and lightning flashed back and forth. It was the worst storm in all the land of Egypt since it had become a nation.
 
— Exodus 9:13–24
Plague of Locusts
This is what the Lord,the God of the Hebrews, says: 'How long will you refuse to humble yourself before me? Let my people go, so that they may worship me. If you refuse to let them go, I will bring locusts into your country tomorrow. They will cover the face of the ground so that it cannot be seen. They will devour what little you have left after the hail, including every tree that is growing in your fields. They will fill your houses and those of all your officials and all the Egyptians—something neither your fathers nor your forefathers have ever seen from the day they settled in this land till now.
 
— Exodus 10:3–6
Plague of Darkness
Then the Lord said to Moses, "Stretch out your hand toward the sky so that darkness will spread over Egypt—darkness that can be felt." So Moses stretched out his hand toward the sky, and total darkness covered all Egypt for three days. No one could see anyone else or leave his place for three days.
 
— Exodus 10:21–23
Death of the Firstborn
This is what the Lord says: 'About midnight I will go throughout Egypt. Every firstborn son in Egypt will die, from the firstborn son of Pharaoh, who sits on the throne, to the firstborn son of the slave girl, who is at her hand mill, and all the firstborn of the cattle as well. There will be loud wailing throughout Egypt—worse than there has ever been or ever will be again.'
 
— Exodus 11:4–6

정말 흥미로운 것은 자료를 wikipedia 에서 찾고 있는데 - 이 열가지 재앙에 대한 "자연적" 가설 Natural explanation 들이 있다는 것. 아니라고는 할 수 없지만, 이해가 되는 것들도 있고 재미있는 것들도 있고... 그 중 재미있는 하나.

  • (plague 9—darkness) There could be several causes for unusual darkness: a solar eclipse, a sandstorm, volcanic ash, or simply swarms of locusts large enough to block out the sun.
  • 매미가 해를 가렸다.......


    자료 wikipedia

    '사회 > 종교 Relig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OSTICISM" AND EARLY CHRISTIANITY  (0) 2012.01.10
    [scrap] Einstein and Islam  (2) 2011.10.29
    꾸르실료 Cursillo 를 다녀오신 부모님  (0) 2011.07.31
    Easter Triduum 부활 성삼일  (1) 2011.04.24
    사순시기 Lent 사순절  (0) 2011.03.24
    Posted by water_
    ,
    Easter Triduum 성삼일 혹은 Holy Triduum, Paschal Triduum이라고도 불림. 부활 이전에 3일 동안 성스러운 전례들.
    Holy Thursday 성 목요일 - Mass of Lord's Supper 성삼일의 시작은 최후의 만찬을 기억하며. 예수님이 돌아가시기 전날 최후의 만찬으로 제자들을 초대. 미사 동안 예수님이 그리하셨듯 발을 씻겨주는 예식이 포함. 미사의 Liturgical color 은 흰 색. 영성체 후 성체를 수난 감실로 옮겨 모신다. 교우들은 미사 후에 남아 밤 동안 성체께 조배를 드리도록 권함. 예수님과 함께 깨어 주님 앞에 머물음을 상징.
    Good Friday 성 금요일 - 주님의 수난과 crucifixion. 1부 말씀의 전례, 2부 십자가의 경볘, 3부 성찬의 전례. Liturgical color가 다를 수 있음, 무색, 붉은색, 흑색, 등. 올해 본교에서는 흰색과 붉은색을 사용하였음.
    Holy Saturday 성 토요일 밤. 예수님이 무덤에 누우심. 예비자들의 세례식, 부활 성찬식. 1부 빛의 예식, 2부 말씀의 전례, 3부 세례 예식, 4부 성찬의 전례. 밤 야경을 하는 식으로 거행됨으로, 어두워지기 전에 시작하지 않음. 무색.
    Easter Vigil 부활 전야제 - Holy Saturday의 밤, 깨어있는 밤. 예수님의 부활을 기다림.

    Easter 부활



    어제 Good Friday 미사를 참석하였다. 특별히 준비한 모습이 확연했다. 수난, 성모 마리아님의 고통, 등의 세부적인 주제가 있는 곡들을 성가대가 불렀다. 이 날은 시작 인사, 입장 성가, 퇴장 성가 없이 침묵으로 미사를 드린다고 한다. 성당에 들어갔을 때 성수 또한 없었다. 이에 대해는 아는 바가 없다. 십자가를 지고 입장, 십자가를 신자들의 머리위로 보내면서, 모든 신자가 십자가를 만지는 예식이 있었음. 제대에는 palm 야자 나무배치. 미사 후 신자들은 십자가에 다가가 손을 얹고, 무릎을 꿇거나, 서서, 십자가에 입을 맞추며 기도. 두 신부님은 미사 후 고해성사를 받으셨음.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Easter_Triduum
    http://blog.naver.com/jmkblue23/10045092562
    Posted by water_
    ,

    Lent 사순절 사순시기

    Liturgical calendar Ash Wednesday 부터 Easter 지지 46일 간의 시간. 성서에 다르면 예수님은 공적인 ministry 이전에 40일 동안 광야에서 금식, 기도를 드리며 사탄의 유혹을 견뎌냈다고 기록되어있다. Ash Wednesday 이름은 신자들이 하느님에게 후회와 비탄을 표현으로 이마에 재로 십자가를 그리는 것에서 유래. 2011년도 의 Ash Wednesday 3 9. Easter 4 22일이다. Easter 부활절은 예수님의 부활을 축복하는 날.


    사순이라는 말은
    40이라는 숫자에서 유래된 것. 40이라는 숫자는 노아의 홍수에서 나온다. 하느님이 죄인들을 벌하기 위하여 40밤과 40낮 동안 비를 내리셨다. 모세는 시나이 산에서 십계판을 받기 위하여 40일을 엄재. 광야에서 40일의 단식. 부활 후 40일 만에 승천. 40의 상징적 의미가 중요한 것. 속죄, 보속, 참회, 자신의 쇄신 등으로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만나기 위하여 준비한다는 상징적인 기간이 사순시기이다.


    파스카의 축제를 준비하기 위한
    40. 신자들은 받은 세례를 다시 생각하며 참회행위를 통하여 파스카의 신비체험을 준비. 사순절의 시작부터 부활 전야제 까지는 미사 중 알렐루야와 대영광송을 부르지 않는다. 사순절의 시작하는 수요일은 세계의 단식일이며 머리에 재를 얹는다. 사순 제 1, 2, 3, 4, 5 주일 성 주간이 시작. 6주일은 주의 수난 성지주일이라 부른다. 성주간은 메시아로써 주님의 예루살렘 입성으로 시작,


    신자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광야에서 마귀의 유혹을 물리치고 엄격히 단식하던 것을 본받아 자신의 희생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실천하는데 노력해야 함. 자신을 이기는 극기의 자세를 요구. 40일 동안 단식과 금육을 통해 절약한 것을 모아 두었다가 가난한 이웃들에게 나눠주어야 함.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며 기도, 미사참여, 사랑의 나눔 등을 실천.


    단식의 의미
    , 형식, 신자들의 의무에 관한 규정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을 묵상. 참된 그리스도 교인으로서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에 동참한다는 의미에서 행하는 단식은 초대 교회시대부터 사순절 기간과 사계의 재일 중 신자들이 지켜야 할 의무의 하나로 행해짐. 단식 규정은 상당히 엄격. 단식으로 절약된 양식은 이웃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는데 사용되도록.

    자료 출처 http://www.catholic.or.kr/ 가톨릭인터넷 Goodnews 굿 뉴스

    Vatican Holy See 바티칸 2010년 사순절 http://www.vatican.va/liturgical_year/lent/2010/index_en.htm

     

     

    이번 사순 시기를 맞이하여, 성당에서 집중하여 기도 할 제안들을 나무에 걸어놓아 하나 들고 왔다. “Pray that all Christians may be light for the world by living out their faith in service.”  마침 방학인지라 금식에도 참여한다. 매일 김수환 추기경님의 말씀을 하나씩 찾아 적겠다. 비록 학교가 시작되면 일상으로 돌아 갈 테지만, 방학 동안 꾸준히 할 것을 다짐하고, 이 후 에도 추기경님의 어록과 기도, 묵상, 은 계속 잇겠다. 4 22일 까지니 일일일식을 해야겠다.

    하루하루 김수환 추기경을 기억하며  

    3/23 Wed

    자신을 불태우지 않고는 빛을 낼 수 없다. 빛을 내기 위해서는 자신을 불태우고 희생하여야 한다. 사랑이야말로 죽기까지 가는 것. 생명까지 바치는 것이다. 그러려면 자기를 완전히 비우는 아픔을 겪어야 한다.

    3/24

    사랑 - 머리와 입으로 하는 사랑에는 향기가 없다. 진정한 사랑은 이해, 관용, 포용, 동화, 자기를 낮춤이 선행된다. "사랑이 머리에서 가슴으로 내려오는 데 칠십년 걸렸다."

    3/25

     

    3/26 Sat

    "이웃과 절대로 등지지 말라. 이웃은 나의 모습을 비추어 보는 큰 거울 이다. 이웃이 나를 마주 할 때, 외면하거나 미소를 보내지 않으면, 목욕하고 바르게 앉아 자신을 곰곰히 되돌아 봐야한다."

    3/27

    "인간은 영원을 향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빈 그릇은 영원을 향한 것입니다. 때문에 이 목마름은 '영원에의 동경, 향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3/28

    "태양이 구름에 가려 빛나지 않을지라도 나는 태양이 있음을 믿습니다. 사랑이라곤 조금도 느껴지지 않을지라도 나는 사랑을 믿습니다. 하느님께서 침묵 속에서 계시더라도 나는 하느님을 믿습니다." 이 시는 제 2차 세계대전 중 독일의 퀼른 땅에 군사용으로 건설된 지하동굴 속에 새겨져 있었습니다.

    3/29

    마더 테레사 수녀님의 기도 "오 사랑의 주님 ! 존경받으려는 ... 사랑받으려는 ... 칭찬 받으려는 . .. 명예로와지려는 ... 찬양 받으려는 ... 선택 받으려는 ... 인정 받으려는 ... 인기 끌려는 ... 욕망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소서."

    3/30 Wed

    약속을 지키는 것이 사랑입니다. 그것이 인간입니다. 얼마만큼 사랑할 것인가? 즐거울 때나 괴로울 때, 성할 때나 병들 때나 죽을 때까지 사랑한다고 약속하였습니다. 전적이고 조건 없는 사랑입니다. 결코 내 마음이 내킬 때에만 사랑하겠다. 기분이 좋을 때에만 사랑하겠다는 식이 아닙니다. 

    3/31

    세상은 시간적으로 새날이 오고 새해가 되었다고 해서 새로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마음과 정신이 '진실된 인간, 정의로운 인간, 사랑하는 인간'으로 달라질 때에 비로소 새로워집니다.

    4/1

    형제들을 부하게 만드시기 위해 당신 스스로 비우신 주님을 본받아 우리도 주님과 형제들에 대한 사랑으로써 남을 위해 자신을 비우는 그 가난을 본받게  하소서. 특히 가난한 자, 약한 자, 소외된 이들을 진심으로 사랑하며 그들에게 앞서 봉사하는 자 되게 하소서.

    4/2 Sat

     

    4/3

     모든 이와 모든 것을 위하여 그리스도의 '자기비움'을 거듭 묵상해야 합니다. 그분은 높은 분이었지만 낮아지고 부한 분이었지만 우리를 위해 가난한 자 되었는데 나는 거꾸로 낮은 자가 높이 오르고 가난한 자가 부하게 되어 주님과 '반대로 살게 되었구나'하는 생각을 자주합니다.

    4/4

     

    4/5

     

    4/6 Wed

     

    4/7

    "아버지, 이 몸을 당신께 바치오니 좋으실 대로 하십시오. 저를 어떻게 하시든지 감사드릴 뿐, 저는 무엇에나 준비되어 있고, 무엇이나 받아들이겠습니다. 이 밖에 다른 것은 아무것도 바라지 않습니다. 내 영혼을 당신 손에 도로 드립니다. 당신을 사랑하옵기에 이 마음의 사랑을 다하여 제 영혼을 바치옵니다. 하느님이 네 아버지시기에 끝없이 믿으며 남김없이 이 몸을 드리고 당신 손에 맡기는 것이 어쩔 수 없는 저의 사랑입니다." 

    4/8

    땅은 더 이상 내려갈 수 없을 만큼 모든 것 아래에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사람은 땅을 딛고 살지만 땅의 고마움을 모릅니다. 뿐더러 땅에다 모든 더러운 것, 썩은 것을 다 버립니다. 그러나 땅은 자신을 열고 모든 것을 받아들입니다. 땅의 이 겸손을 배우세요. 그리하여 여러분이 겪은 모든 것, 병고, 고독, 절망까지 다 받아들이세요.  

    4/9 Sat

    고통은 참으로 우리를 괴롭히는 악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되도록 고통을 면하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고통이 없을 때, 고통을 모르는 인간, 고통이 없는 인생은 어떤 것이겠습니까? 하느님을 더 찾고 모두가 하느님을 믿는 사람이 되겠습니까? 오히려 하느님을 잊어버리고 말 것입니다. 나 역시 고통이 없었다면 아마도 하느님을 전혀 찾지 않았을 것입니다. 고통이 없는 인생은 술에 물 탄 것처럼 싱겁고 아무런 깊이도 없을 것입니다.

    4/10

    당신 스스로 비우신 주님을 본받아 우리도 주님과 형제들에 대한 사랑으로써 남을 위해 자신을 비우는 그 가난을 본받게 하소서.  

    4/11

    이것은 세상의 그 어떤 것으로도 채울 수 없고 오직 하느님만이 채울 수 있습니다. 인간은 하느님의 꿈입니다. 이 꿈의 실현이 인간의 구원입니다. 하느님은 우리 한 사람에게 이 꿈을 지니고 있습니다.  

    4/12

     

    4/13 Wed

    평화를 깨뜨리는 모든 것을 이기고 없애야 합니다. 불화의 뿌리를 뽑아야 하고, 남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오만, 믿지 않으려는 불신, 용서할 줄 모르는 미움, 나만을 위하는 소유욕과 지배욕, 질투와 경잼심을 버려야 합니다.

    4/14

     

    4/15

    하느님이 가난하다는 사실은 명백하게 알려져야 합니다. 하느님은 있는 자체이시나 아무 것도 갖지 않았습니다. 갖지 않았을 뿐 아니라 어떠한 소유물도 필요로 하거나 원하지 않았습니다.

    4/16 Sat

    겸손한 사람만이 인생을 값지게 사는 슬기를 배울 수 있습니다.  

    4/17

    주변에서도 건강에 대한 확신을 가지라고 권유해 주시는 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저는 '오래 사는 것'보다 '기쁘게 잘 사는 것'이 더 소중한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4/18

     

    4/19

     

    4/20

    내 이웃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차를 타는 사람이든, 걸어 다니는 사람이든, 교통법규를 성실히 지키고 실수 할 때에는 지체없이 용서를 먼저 청하는 우리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4/21

     

    4/22 Easter

     

     

    기도, 묵상, 참회 - 속죄, 보속, 참회, 자신의 쇄신

    3/23
    하나씩 천천히 짚어보자.

    속죄 상대방에게 지은 죄를 씻고 상호간에 범죄 이전의 유대를 회복하는 일. 그리스도교에서는 하느님을 거슬린 인간의 죄를 구세주 그리스도가 대신 보속하고 인류를 하느님과 화해시킨 일을 지칭한다. 구약성서에서 속죄는 야훼께 죄를 지은 이스라엘 백성이 야훼와 친교를 회복하는 일. 야훼 편에서는 자비의 행위, 이스라엘 백성 편에서는 야훼께서 지정한 특정 행위를 이행하는 일. 야훼께서 지시한 속죄예식을 통하여 자신의 죄를 벗었던 예에서 발전. 속죄제물을 바침으로써 야훼의 분노를 풀어드린다는 속죄사상은 퇴조. ‘야훼의 고난받은 종이 인간의 죄를 대신 보속해 준다는 예언을 믿기에 이르심. 야훼께서 인류의 죄를 그에게 지우셔서 그 몸에 채찍을 맞으므로 우리는 성하게 해주었고, 그 몸에 상처를 입으므로 우리의 병을 고쳐 준 것.’ 신약성서에서 고난받는 종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을 죄에서 풀어주셧고’ ‘우리를 당신과 화해하게 해주셨다이 속죄는 하느님이 베푸신 자비이며 진실한 대사제, 그리스도께서 흘리신 십자가의 피로인한 결과. 속죄개념은 속죄의 근본을 이루는 의화관념과 관련.

    속죄를 그리스도의 구석사업과 관련지어 죄에 대한 보속이라고 본 관점이 있음.

    보속 – satisfaction 넓은 의미로 끼친 손해의 배상 및 보환. 그리스도 신학에서는 죄로 인하여 하느님의 벌을 받음. 그리스도의 죽음이 세상의 죄를 충분히 보속한다고 주석한 데에서 비롯. 가톨릭 윤리신학상의 보속은 고백성사의 본질적 요건의 하나로 이미 지은 죄를 징계하는 벌, 영혼의 허약함을 치료하여 다시 범죄하지 않도록 하는 약. 세례 받기 전에 범한 죄는 성세성사로써 벌까지도 사하지만 세례 후에 범한 죄는 고백성사로 사하여진다. 그러나 죄의 벌까지도 사하여지는 것이 아니고 지옥벌만 사하여 질 뿐 잠벌은 남아있다. 잠벌이란 영원한 벌에 대하여 일시적인 벌, 혹은 연옥벌이라는 뜻이며, 우리는 자신이 기워 갚아야 하는 것이므로 자연히 보속이라는 것이 필요.

    교회는 그리스도 보속이 우리에게 적용되어 당신들이 회개했다는 증거를 행실로써 보이시오라는  말씀대로 보속이 필요하다고 하였음. 구약성서도 죄는 용서받았으나 벌은 남아있는 경우가 많음. 원조는 은총상태로 회복되었으나 고통과 죽음은 며치 못했고, 모세의 불신은 용서받았으나 약속한 땅에서는 제외되었다. 신약성서에도 하느님께서는 각 사람에게 그 행실대로 갚아 주실 것이다라 했고, ‘나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위하여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내 몸으로 채우고 있습니다라 하였다.

    참회 – repentance 참회의 일반적 의미 과거의 범죄사실을 기억, 현재 죄의 상태에 있음을 인식적 요소와 죄를 지었음을 슬퍼하고 죄가 사해지기를 원하며, 죄를 혐오하는 의지적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 참회는 죄악의 상태에서 벗어남을 목적.

    참회는 인간이 개인적 죄의 용서를 받아 의화되는 경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관하여 역사적으로 문제가 되었음. 죄의 용서를 받기 위해서는 용서해 주시는 하느님의 행위와 교회의 대표자인 사제의 사죄 및 통회, 고백, 보속을 하는 참회자의 행위가 필요. 4자의 행위 중 죄의 용서라는 효과를 가져오는 실질적인 요건은 어느 행위인가 하는 문제가 그것. 아퀴나스에 의하면, 참회자의 행위는 성사의 재료요, 사제의 사죄는 형상, 인데, 양자는 동등하게 죄의 용서를 가져오는 유효한 원인작용을 이룸. 전체과정에서 최종적 원인작용은 하느님께 속하므로, 성사적 표시를 도구적 원인작용의 행사라 함. 성사를 받으려는 뜻을 겸한 상등통회를 한 참회자는 고해성사의 예식을 받기 전에 죄의 사함을 받았음을 인정. 성사는 예식 자체에 국한되는 개념이 아니라 발전해 가는 상태로 보아야 하므로 참회자의 첫 행위에서 성사가 시작되어 성사 예식 자체에서 절정에 달한다는 것.

    자신의 쇄신 신도 개인, 수도회, 특히 교회가 그 모형인 그리스도의 정신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 교회는 신인 (神人) 그리스도를 본받아 신인양성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교회는 신적 존재라는 점에서 오류가 있을 없으나 인적 (人的) 실재라는 점에서 교회 안에 과실과 죄악이 현존 있는 . 한편 교회는 인간 성화를 (聖化) 이룩하는 원죄를 가지고 있으며 성화되는 과정에서 있는 신자들을 포함. 따라서 거룩하지만, 순례하는 교회는 바로 죄인을 구하러 오신 그리스도의 뜻대로 죄는 거부하지만 죄인은 맞아들인다. ‘그리스도는 거룩하시고 무죄하시고 죄를 모르시며 다만 백성의 죄를 속죄하기 위하여 오셨지만, 교회는 품안에 죄인들을 품고 있으므로 성스러운 동시에 항상 정화되어야 하며 회개와 쇄신을 끊임 없이 계속하는 것이다’.

    교회가 계속 정화되고 쇄신되어야 이유는 근본적으로 그리스도의 구원 신비의 무한성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실천 능력의 유한성에 있다. 신자 각자의 차원에서 아니라 공동체의 제도적 차원에서도 반성과 쇄신이 계속되어야 . 복음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실천의 유한성 때문에 어느 특정한 시대나 지역이나 인간들의 제도나 방법이, 모든 시대의 인간들에게 복음을 선포해야 교회의 보편적 사명을 수행하는 도구로서는 본질적으로 불완전. 따라서 교회는 시대, 환경, 대상, 인물이 변함에 따라 구원의 진리를 정확하고 유효하게 선포하고 실천하기 위하여 방법을 쇄신, 제도를 개혁, 생활을 현실에 맞게 조정. ‘교회의 쇄신은 모두 본질적으로 교회사명에 대한 충실성에 있는 것이므로…나그네 길에 있는 교회는 인간적이며 현세적인 제도로서 언제나 필요한 혁신을 계속하도록 그리스도께 불리움을 받음’.

    교회는 이러한 쇄신의 능력을 주님의 약속과 성령의 도우심으로 이미 갖추고 있다. 쇄신의 원리는 더욱 복음정신에 충실해야 한다는 . 위하여 교회는 신앙의 유산을 거룩히 보존하고 성실히 진술하기 전에 경건하게 들어야함. 신앙의 원천인 복음에로 돌아가야 거기서 쇄신의 방향을 찾을 있음. 원래에서 연역할 있는 방향은 전통과 진보의 조화. 초월성과 내재성의 조화, 다양성과 통일성의 조화, 내용과 표현의 일치, 대화와 협력의 자세 .

    "자신을 불태우지 않고는 빛을 낼 수 없다. 빛을 내기 위해서는 자신을 불태우고 희생하여야 한다. 사랑이야말로 죽기까지 가는 것. 생명까지 바치는 것이다. 그러려면 자기를 완전히 비우는 아픔을 겪어야 한다."

    무턱코 고른 첫 어록인데, 첫 날에 극히 적합하다. 나 자신의 희생, 이상향을 향한 노력. 사랑, 어쩌면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생명을 쉽게여겼고, 그것은 사랑을 위해서가 아니였다. 아무런 이유도 없었고 논리도 없었던 움직임들. 나 자신을 비우고 아픔을 겪고, 그것을 꺽어버리고 싶다. 하지만 이 모든 것, 바람 조차도 비워 버리리라. 옳은 것을 채우기 위해서는 모든, 나 자신 조차도 비워버리는 연습이 필요하다. 그것이 옳다.
    딱히 오늘부터 해야지 - 라는 생각은 없었다. 그저 오늘 시험이 끝났을 뿐이고, 오늘 저녁부터 해야겠다 - 라고 마음이 생겨, 시작하였을 뿐.모레인 금요일 부터는 주말 여행을 계획하고 있어 매일 글을 올릴 수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펜과 김수환 추기경님의 책을 꼭 챙겨가 practice를 소홀하지 않겠다. 예수님은 40 일을 광야에서, 악마의 유혹과 싸우며 수행을 하셨다. 나는 주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나 자신을 싸우면 되는 것이기에, 비교 할 수 없는 practice이다. 할 수 있음을 기억하며, 꾸준한 의지를 기르겠다. 선을 그어놓으니 마음이 기이하게 편안하다. 즉흥적이고 매우 나쁘지 않은 시작이다.
    22세, 나의 첫 사순시기라고 할 수 있겠다. 이 또한 비록 시작 또한 늦고, 학교와는 병행이 어렵겠지만, 완전하지 못하지만 나의 첫 노력임으로 보다 열심히 해야겠다. 사순에 대한 이해 또한 부족함으로 시작하였고, 여전히 부족하다. 인상 깊은 점은 가난한 이들과 나누어야 한다는 것, 나 자신을 비울 수 있다는 것.


    3/24
    사랑 - 머리와 입으로 하는 사랑에는 향기가 없다. 진정한 사랑은 이해, 관용, 포용, 동화, 자기를 낮춤이 선행된다. "사랑이 머리에서 가슴으로 내려오는 데 칠십년 걸렸다."

    둘째날. 이른 아침 일어나 산에 다녀왔다. 집에 돌아와 내일 심부름을 하고 점심을 먹고가라는 할머니의 전화를 받았다. 먹을 생각을 하니 금식 이 후 처음의 식욕이 돋았다. 잠을자고 2000시 할머니의 전화에 다시 깨었다. 통화 후, 자리에서 일어나 부엌에 끓여져 있던 콩나물 국과 고구마를 먹었다 - 아아, 얼마나 미약한 나의 모습인가. 고민은 대략 2분에 불과하였다. 정신은 음식을 찾았고, 몸을 움직였다. 기도를 드리고 국과 고구마를 20분 가량에 걸쳐 먹었다. '먹어도 된다'라는 생각을 하니, 몸의 움직임을 멈출 수가 없었다. 판의 미로에서 요정의 말을 어기고 포도를 따아 먹은 오필리아의 모습이 나와 겹치며, 분노하던 요정의 모습이 생각났다. 아아, 미약한 나의 의지에 큰 실망이다. 이러한 극단적인 식단은 몸에 좋지 않다며 따위의 구차한 변명을 드는 나의 모습을 보며, 국을 떠 먹으면서도 아쉬웠다. 사람이란, 아니 나란 허용되는 범위가 생기는 순간 그 범위의 틀을 제 멋대로 정하는 것 같다.

    다음 주에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약속과, 등산약속이 있다. 둘 다 날짜가 정확히 잡히지는 않았지만, 절대적으로 굶기는 어려울 것 같다. 예상은 한 일이지만, 이유가 이유인지라, 그저 죄송 할 따름이다. 새로운 기준을 세워야 할 것 같다.
    현대인을 위한 금식 방법을 다시 읽어보니 Ash Wednesday 와 Good Friday 에 금식을 하기로 되어있다.




    3/26
    "이웃과 절대로 등지지 말라, 이웃은 나의 모습을 비추어 보는 큰 거울이다. 이웃이 나를 마주 할 때, 외면하거나 미소를 보내지 않으면, 목욕하고 바르게 앉아 자신을 곰곰히 되돌아 봐야한다."

    오늘 아침 눈을 뜬 순간 느낀 감정 - 실망과 죄책. 아아, 이유가 이유이니 만큼, 잘 해야한다는 생각에, 성스러운 일이기에, 보다 잘하고 싶었는데 눈을 뜨자마자 굉장한 무게와 실망감을 느꼈다. 저녁인 지금, 실망감은 커졌을 뿐. 나의 신앙심이 이렇게 쉽게 무너지다니. 도리에 맞지 않다. 자신을 보다 , 마음을 보다 의지를 보다, 굳게 심어야한다. 그것이 목적이고, 가장 어려운 일이다. 이렇게나 쉬워서야, 아무런 발전도 있을 수 없다.
    격일 금식과, 격일 일일일식을 해야겠다. 애초 10일 가량을 굶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등산을 다닌 다는 것이 무리한 계획이였다. 다만 약속이 이렇게 빨리 잡힌 것이 계획의 변화를 일찍 불렀을 뿐. 합리화라 하여도 사실이고, 계획은 다시 세우면 되는 것이다. 아직 셋째날이지 않은가.
    오전, 일어나 수녀님과 매리 제인에게 편지를 썼다. 패추릭에게 카드와 선물도 주었다. 옷장을 정리하여 옷 40 여 개를 기부하고 할머니 댁에 가 점심을 먹고 작은 고모에게 심부름을 다녀와, 성당에서 미사를 드렸다. 집에와 떡을 먹었다. 이야말로 실망스러운 일이였다. 나에게, 주님에게 좋지 않은 일이다. 성체를 모신 사실 조차 잊고, 나 자신을, 주님을 더럽히다니. 생각이 짧은 것을 떠나 없었다. 의지, 의지, 의지 - 자제하는 의지가 1보다 0에 가깝다. 1mm 라도 움직여야 할 텐데, 쉽지 않음은 불가능이 아님을 다시 기억하자. 할 수 있다.
    이웃과 절대로 등지지 말라는 추기경님의 말씀. 나에게 사람이란, 커뮤니티란 즐겁기도 하지만 피하고 싶기도하다. 나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 대화의 불필요함, 말의 복잡성 등이 이유에 포함된다. 하지만 결국 우리는 서로로 인해 존재하고, 서로에게 밖에 의지 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미니멀의 인간관계가 아닌, 타인이 나를 대하는 태도로써 나 자신을 돌아 볼 수 있으려 - 이에는 노력이 필요하겠지. 상대의 태도를 관찰해야하고 분석해야하니, 나에게는 습관이 되지 않은 것이지만, 이롭겠지. 하지만 여전히 나는 이러한 프랙티스가 필요한 것인지 모르겠다. 나에게 어려운, 새로운, 편치 않은 일이기에 기억해보려 한다.

    3/27
    "인간은 영원을 향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빈 그릇은 영원을 향한 것입니다. 때문에 이 목마름은 '영원에의 동경, 향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Rattlesnake ledge에 다녀왔다. North Bend는 가까우면서도 환상의 풍경이다. 새로운 아름다움의 발견에 감사할 따름. 아침에 일어나 기도로 시작하였다. 비록 짧은 기도였지만, 그러한 나의 모습에 감사함을 느낀다. 산에 다녀와 샤워를하고 고구마와 떡을 한 접시 먹었다. 금새 배가 구릉구릉하더니 배가 부르다. 이렇게 사람은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다. 기도와 작은 양의 목을 축이고 배를 채울 것이면 족하다. 이것이 이번 프랙티스의 가장 중요한 깨달음이다. 나 그 동안 얼마나 넘치고 풍족히 살아왔는가. 나 그 동안 얼마나 많은 낭비와 그로 인한 상처를 남겼는가. 부족히 사는 이들에 대한 배려의 결여였고 자만한 나의 옳지 못한 기준이였다. 새로운 기준이 필요한 것이다. 더럽고 부당한 것을 잊고, 미니멀하고 옳은 것을 보다 지향하는, 그러한 새로운 기준의 성립. 부활절 까지 이렇게 일일일식을 실천해야겠다. 물론 어려움도 있을테지만, 꾸준히 해보겠다. 할 수 있다.
    수녀님에게 말씀 드린 것 처럼, 수녀님께서 일러주신 것 처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걱정 주님께 맡겨두며, 기쁜 마음으로 주님의 부활을 준비해야겠다. 어제의 김수환 추기경님의 글이 다시 생각난다. 고립을 지향하는 것은 분명 옳지 않다. 많은 기준들이 모여, 가장 옳은 기준을 성립하는 것이다. 많은 기준들의 분포를, 가장 옳은 곳에 두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옳은 이들과의 소통과 나눔이 필요하고, 그로 부터 배우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렇게 수녀님, 뿐 아니라 많은 이들에게 바른 것을 배우고, 바른 의견을 수용하며, 새로운 나를 성립 할 수 있다.
    우리는 언제나 목마르다. 적어도 나 자신은 그러하다. 만족한다고 느끼기도 하지만, 늘 보다 나음을 바라고, 완벽 할 수 없음을 인지한다. 이렇게 부족한 나의 모습은 당연한 것이다. 우리는 영원을 향해 만들어졌다고 추기경님이 말씀하신다. 채워지지 않는 것은 언제나 존재한다. 그것을 주님으로, 성모님으로 채울 수 있을 것이다. 성인들의 길을 돌아보고, 그들의 배움을 이해하려 노력해야한다. 그렇게 부족한 나를 계속 채우고 비워야한다. 모든 것을 비우고, 오로지 주님의 기준으로 나를 채우리 - 할 수 있다, 아멘.

    3/28
    "태양이 구름에 가려 빛나지 않을지라도 나는 태양이 있음을 믿습니다. 사랑이라곤 조금도 느껴지지 않을지라도 나는 사랑을 믿습니다. 하느님께서 침묵 속에서 계시더라도 나는 하느님을 믿습니다." 이 시는 제 2차 세계대전 중 독일의 퀼른 땅에 군사용으로 건설된 지하동굴 속에 세겨져 있었습니다."
    어제 마침 'Schindler's List'라는 영화를 보아, 이 문구가 보다 와 닿는다. 주인공 쉰들러는 돈으로 할 수 있는, 그의 삶으로 할 수 있는, 그 무엇으로 할 수있는 가장 의미있는 일을 하였다 - 목숨을 구하였다. 전쟁의 풍경은 상상 할 수 없고, 보아도 믿을 수가 없다. 시대를 살았던 이들도, 들려오는 소문들을 믿을 수 없다하였고, 전해지는 이야기들도 너무나 터무니가 없어 헛 소문으로 취급되기도 하였다. 와중에 하느님을 믿을 수 있다는 것은. . Into the Wild 와 대조적으로, 하느님을 믿는 것은 환경에 충분히 좌우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자연을 바라보고 있자면 하느님을, 굳이 하느님이라는 성서의 인물이 아닌더라도, 우리 이외의 존재를, 기운을 느낄 수 있다. 매일 피의 향을 맡고, 구토 악취 폭력 공포에 쌓여 산다면, 악마의 기운을 믿을지도 모르고, 역으로 하느님에게 더 메달릴지도 모르겠다.
    무튼 오늘 문구의 중점은, 보이지 않는 것, 느껴지지 않는 것을 믿는 것인 것 같다. 믿음이라 - 단순하고도 어려운 감정이지 않은가 생각해본다. 나 자신을 믿는 일 또한 많은 시간, 노력, 용기, 훈련이 필요하다. 하느님을 믿는 일 또한 그러하다. 누군가에게 의지하는 것은 습관과도 비슷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도움을 청하는 것이 익숙치 않아, 나 자신에게 의지하기 일쑤이고,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의 짐도, 나누는 방법을 몰라 혼자 짊어지기도 한다. 그렇게 하느님에게도 청하는 방법 또한 어색 할 수 있고 익숙 할 수 있다. 아직 나에게는 많은 것들이 어색하다. 혼자가 편하기도 하다. 하지만 살아 갈 수록 의지하는 방법을 배워야겠다고 생각한다. 오늘 자동차 사고 후에도, 고모에게 도움을 청하니 도움을 받을 수 있었고, 지난 주 등산 계획 중에도 고모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의지가 어색하기도하고, 싫기도 하지만, 도움이란 받을 수 있는 것이고, 상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기도 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렇게 나 자신이 얼마나 미숙한지를 기억하고, 도움을 청하는 방법을 조금씩 보다 익혀야 겠다고 생각한다. 의지하고 싶지 않더라도, 공존하는 것을 배우는 것 같다. 나 혼자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만감 일 수도 있겠다 싶다. 하느님 또한 마찬가지이다, 나 자신을 보다 비우고, 하느님의 기준을 보다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렇게 하느님께 의지하고, 맡기고, 나의 질문들과 고민들을 넘기면, 그 분은 나보다 옳은 올바른 기준으로, 정답을 주시리라.


    3/29
    마더 테레사 수녀님의 기도 "오 사랑의 주님 ! 존경받으려는 ... 사랑받으려는 ... 칭찬 받으려는 ... 명예로와지려는 ... 찬양 받으려는 ... 선택 받으려는 ... 인정 받으려는 ... 인기 끌려는 . .. 욕망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소서."
    더러운 하루, 좋지 않을 뿐 더러 괴롭습니다. 오전에 등산을 다녀오고, 오후에 많은 음식을 먹었습니다. 필요 이상을 - 최소한을 지키려 했는데, 더불어 간식에 와인까지 마셨습니다. 미루어둔 많은 것들이 한 번에 몰려오듯, 그 동안 참았으니 괜찮을거라는 합리화로, 다짐을 지키지 못했습니다. 다짐의 무너짐은 한 두번이 아닙니다, 오늘은 더욱이나 어렵습니다. 약쟁이가 Overdose 로 죽은 친구를 바라보는 듯한 기분이 들어 두려웠습니다, 죽고싶지 않은데 - 나의 무너진 다짐들, 이 나를 죽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어떠한 대안도 필요치 않다는 것을 압니다, 그저 멈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 어렵네요. 당신을 기억하고, 당신의 기준, 당신의 희생을 몸소 닮으려 노력하지만 어렵습니다. 아아 어렵지만 할 수 있다고 ,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고. 하아, 다짐합니다 - 이 못난 버릇을 버리겠습니다. 다시는 절대로, 어떠한 합리화도 용납하지 않으리요 - 기도와 우정으로 노력하고 버리고 고치겠습니다 - 도와주실거라 믿습니다. 할 수 있고 할 것입니다, 이것이 나를 죽이도록 둘 수는 없습니다. 아멘 아멘 아멘.
    이 모든 것이 욕심과 욕망때문이겠지요 - 옳지 않은 기준에 나를 맞추려는 더러운, 부질 없는 욕망. 옳은 것 만 따르겠습니다, 옳지 않은 기준은 버리고, 그것에 나를 맞추려는 더러운 움직임도 멈추겠습니다. 모든 것을 버리고, 비우고, 모든 것을 비우고, 비우고 비워, 옳은 것 만이 가득 할 수 있도록, 넘칠 수 있도록, 나를 비우겠습니다. 아멘 아멘 아멘.


    3/30
    "
    약속을 지키는 것이 사랑입니다. 그것이 인간입니다. 얼마만큼 사랑할 것인가? 즐거울 때나 괴로울 때, 성할 때나 병들 때나 죽을 때까지 사랑한다고 약속하였습니다. 전적이고 조건 없는 사랑입니다. 결코 내 마음이 내킬 때에만 사랑하겠다. 기분이 좋을 때에만 사랑하겠다는 식이 아닙니다. 
    원하던 시간보다 일찍, 보험회사의 전화로 잠에서 깼다 - 아아 인내심의 시험. 따라서 오늘은 사순에 대한 기억으로 하루를 시작하려한다. 복잡한 일이 생겨도, 번거로운 일이 생겨도, 어려운 조건에서도 바른 마음가짐으로 판단커나 안정을 잃지 않도록. 오늘은 친구와 약속이 있다, 나가서 몇가지 일을 보러한다, 이렇게 하루하루 작은 일들로 체워지는 생활이 이상하다. 특별한 일이 없어도 이러한 소소한 일들이 나의 삶을 체우다니. 날씨가 부슬부슬 비가 내리며 하늘이 허옇다 - 전형적인 시애틀 날씨. 보험일만 아니면 꽤나 기분이 좋았을 날이다. 하아, 침착히 해결하면 되리라. 어제의 피로로 얼굴이 붓고 속이 좋지 않다. 입안은 모래를 씹은 듯하며 눈의 붓기가 무겁다. 미래를 기억하며, 곧 잊혀질 일들임을 기억해본다. 오랜만에 만나는친구라는 생각에, 기분이 조금 나아진다. 괜찮다 괜찮다 알 이즈 웰 - 기도로 승화 할 수 없는 일이란 없다. 아멘 - 약속을 지키는 일, 그은 선을 넘지 않는 일, 할 수 있다, 지킬 수 있다. promise 지키리 - 아멘.


    3/31
    "세상은 시간적으로 새날이 오고 새해가 되었다고 해서 새로워지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마음과 정신이 '진실된 인간, 정의로운 인간, 사랑하는 인간'으로 달라질 때에 비로소 새로워집니다."
    어제 마신 커피 덕인지 잠을 한 숨도 잘 수 없었습니다. 뜬 눈으로 밤을 새며 낙서를하고 돈 보스코의 생애를 읽고, 영화를 보았으며 여러 생각도 하였습니다. 0530시가 되자마자 카페로 달려가 커피 한 잔과 스콘을 하나 먹었습니다. 커피로 이루지 못한 잠인데 다시 커피를 마시다니 - 참으로 어리석습니다. 속이 좋지 않습니다. 정말이지, OD 로 죽은 친구를 보는 듯, 아픔이 조금씩 나타나고 잇고 - 그것의 충격은 가히 말 할 수 없습니다. 잠을 못 잤더니 보다 지치는군요. 머리가 무겁고 눈을 똑바로 뜰 수 없습니다 - 아무래도 집에가서 자야 할 것 같네요 - 머리가 너무나 피곤합니다.
    당신이라는 새로운 의지를 찾을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많은 것은 이론적으로 생각하는 여유의 시간 - 차분함이 조금은 생긴 것 같습니다. 밤 새 여러가지 잡념이 머리를 스쳤습니다 - 하지만 밤은 딱히 길지 않았습니다. 적당한 정도라 할까요 - 감사합니다. 변화 - 많은 이가 간절히 바라지만 , 실행에 있어 , 행동에 있어 변화를 주지 않고 결과적 변화를 바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또한 수 년을 그렇게 보냈고 , 이제는 몸이 지쳐 - 괴로움의 요동을 치기 시작하였습니다. 선을 긋고 약속을 하고 다짐을 하였습니다 - 더 이상 용납 할 수 없다고 - 안된다고. 이제 당신에게 의지하겠습니다. 당신과 마리아님과 묵주에 의지하여 나의 원동력을 찾겠습니다 - 나의 시간의 에너지의 주인을 당신으로 섬기겠습니다. 기도로 승화 할 수 없는 것은 없을테지요 - 도와 주실테지요 - 괜찮을테지요,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 아멘.
    좀 잤다 - 마음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자고 일어나 최소한이 아니지만 밥을 먹었습니다. 최소한을 실천한다는 것 - 예외는 있어야하는 것일까요. 모르겠습니다. 자신을 합리화하는 모습이 너무 싫고, 물론 최선의 방법이 아니겠지만 마음만큼 강하지 못한 자신을 자주 느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한 마음 모습 모두 주님에게 의지하여 맡기도 가벼운 마음으로 지내고 싶은데 쉽지 않습니다. 그래도 기도로 나쁘지 않은 하루를 보내고있습니다. 약속을 하나 취소하였고 조금 쉬었습니다. 당신을 기억하는 하루를 보낼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몇가지 생산적인 일을하였고 괜찮을 수 있음을 기억하려 노력하고, 일부러 밖으로 나왔습니다. 아침 내내 내리던 비도 그쳤네요 - 내일은 약속이 하나 있습니다. 친구를 만나야 할 것 같습니다. 사람들을, 타인을 외면 말라던 김수환 추기경님의 말을 기억해봅니다.
    새로운 날이 새로운 모습은 아니라는 추기경님의 말씀 너무나 옳습니다 - 몇 날이 지나고 몇 해가 지나도 변하지 못한, 버리지 못한 습관들 - 몹쓸 버릇들이 있습니다. 이것들을 당신에게 맡기고 저의 죄를 달게 받되 용서를 구합니다.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모두 당신의 손에 맡기겠습니다. 아무것도 욕심내지 않고 , 옳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당신께 묻고 - 당신의 기운을 따르겠습니다. 딱히 하느님에 대한 신앙이 많은 이들의 것과 같지 않다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당신은 포용하고 수용하고 있을터라 믿습니다. 당신은 우리의 인지를, 인식을 넘어 , 저희의 범위와는 무관한 무한함이실테니까요. 감사합니다 , 노력하겠습니다, 맡기겠습니다, 아멘 - so be it.

    4/1
    사월이네요. 사순시기를 처음 접하던 방학 맞이하던 날 보다 마음이 많이 풀렸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밥도 먹고있고 간식도 먹고있고 , 굶음이 없으니 기도도 덜하네요. 몇 일 동안이지만 기복이 있고 흐름이 있네요. 달리기를 시작하기 위해 이것 저것 준비를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것을 시작한다는 듯 깊음과 더불어 당신을 보다 기억하겠다는 다짐 , 꾸준함 또한 기억해봅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비우어야하는데 쉽지 않습니다. 욕심을 버리는 것이 쉽지 않다는 말이 요즘 들어 세삼 느껴집니다. 그래도 포기않고 다짐에 다짐을 해 봅니다.
    "형제들을 부하게 만드시기 위해 당신 스스로 비우신 주님을 본받아 우리도 주님과 형제들에 대한 사랑으로써 남을 위해 자신을 비우는 그 가난을 본받게 하소서. 특히 가난한 자, 약한 자, 소외된 이들을 진심으로 사랑하며 그들에게 앞서 봉사하는 자 되게 하소서."
    비움 비움 비움 -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이번 사순시기에 깨닳았습니다. 우리가 , 내가 얼마나 적게 필요로하는지 , 아무것도 필요치 않다는 것을 깨닳았고, 가장 최소한으로도 살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잊기 쉬운 이 사실을 잊지 않도록, 기억하도록 도와주세요. 기도드립니다. 나를 위해가 아닌, 형제를 위해 산다는 것 - 저에겐 어려운 일입니다. 타인보다 자신이 무조건인듯 앞섭니다. 보다 너그럽고 관용적이며 포용적일 수 있는 모습이 되도록 , 노력하겠습니다. 다짐에 다짐에 다짐 - 실천을 전달하겠습니다.


    4/3
    "모든 이와 모든 것을 위하여 그리스도의 '자기비움'을 거듭 묵상해야 합니다. 그분은 높은 분이었지만 낮아지고 부한 분이었지만 우리를 위해 가난한 자 되었는데 나는 거꾸로 낮은 자가 높이 오르고 가난한 자가 부하게 되어 주님과 '반대로 살게 되었구나'하는 생각을 자주합니다."
    어제 너무나 좋지 않은 하루를 보내었습니다. 다짐이 다시 무너졌습니다. 성당에서 7시간의 세미나가 있었는데 잠을 못 잤고 많은 유혹이 있었던 것이 원인이라고 핑계를 대봅니다. 하지만 근본적 원인은 제 자신임을 기억하며 크게 실망하였습니다. 미사도 드리고 성체도 모셨는데 죄스럽습니다. 마지막 날이라고, 다시는 안되리라고, 다짐해봅니다. 무려 문구도 읽지 않고 글도 쓰지 않았네요, 역시나 죄는 죄를 부릅니다.
    오늘은 친구와 약속이 있어 글을 먼저 씁니다. 조금은 체계가 있는 하루이기도하고, 내일부터는 학기의 시작이기에 기대가 많습니다.
    어제 아프리카와 자매를 맺은 본당들의 모임이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아프리카에 다녀왔고 그 곳의 본당들과 오랜 인연을 맺고 있습니다. 물과 같은 프로젝트들도 진행되고있고 꽤나 체계가 세워지고 있는 듯 합니다. 저 또한 언젠간 봉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만 졸업이 먼저 하고싶다는 생각도 듭니다. 하나하나 차곡차곡 정리된 삶을 살고싶습니다. 와중 늘 주님을 기억하고 기준으로 살고싶다는 생각 또한합니다. 그들의 미사음악은 참으로 흥겨웠습니다. 와중 쭈뻣쭈뻣 어색해하는 미국인들의 모습과 저의 어중간한 모습이 즐거웠습니다. 하느님의 단체에 이렇게 참여하는 것이 오랜만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초등학교 교리활동 이후로 미사 이외의 활동을 하지 않았네요. 수녀원에서도 미사만 참석 할 뿐, 사람들이, 사람들이 모이면 생기는 말들이 싫다며 늘 피하곤했는지, 옳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하느님, 인도해주세요 - 비우겠습니다.

    4/7
    "아버지, 이 몸을 당신께 바치오니 좋으실 대로 하십시오. 저를 어떻게 하시든지 감사드릴 뿐, 저는 무엇에나 준비되어 있고, 무엇이나 받아들이겠습니다. 이 밖에 다른 것은 아무것도 바라지 않습니다. 내 영혼을 당신 손에 도로 드립니다. 당신을 사랑하옵기에 이 마음의 사랑을 다하여 제 영혼을 바치옵니다. 하느님이 네 아버지시기에 끝없이 믿으며 남김없이 이 몸을 드리고 당신 손에 맡기는 것이 어쩔 수 없는 저의 사랑입니다."

    개강을 하여, 몇 일 소홀했네요 - 아직 부활절이 지나지 않았는데 말이지요. 사순시기나마 매일 당신의 뜻을 보다 되세겨 보려하였는데, 수업이라는 핑계로 마음이 나태해졌군요, 죄송합니다. 기도라고는 주님의 기도, 성모송, 영광송, 식사 전 기도 정도가 전부이네요. 다시 마음을 잡고 학교 생활 중에서도 당신을 기억 할 수 있도록 노력하리라 다짐합니다.
    매일 김수환 추기경의 문구를 하나씩 읽으며, 그의 모습을 기억하고 닮으려는 것이 취지였는데 오늘의 문구는 경이의 감탄에 가깝네요. 그 중에서도 '어쩔 수 없는 사랑' 이라는 문구가 새롭게 와닿네요. 어디에서도 듣지 못한 태도인 것 같습니다. 저는 매일 당신께 이야기하고 고백하죠 - 노력하겠노라고. 당신을 향하겠노라고, 다짐하고 기억하지만 김수경 추기경님의 글은 자신의 능력과 힘이 아닌, 당신의 힘에 모든 것을 그야말로 맡기고, 자신은 어쩔 수 없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야말로 당신에게 모든 것을 맡기는 태도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내가 나를 당신에게 맡기려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나는 이미 당신에게 나를 맡겼기에, 나는 당신에게 드리고 당신의 손에 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이겠지요.
    아, 참으로 아름다우신 당신이고 추기경님이십니다. 나의 삶에, 세계에 여러 영향들이 계시고 기준들이 있어주셔서 다행이고 감사합니다 - 그 중 가장 옳고 아름다운 것을 따르게 하소서, 맡기겠습니다. 놓겠습니다, 아멘.

    4/8
    "땅은 더 이상 내려갈 수 없을 만큼 모든 것 아래에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사람은 땅을 딛고 살지만 땅의 고마움을 모릅니다. 뿐더러 땅에다 모든 더러운 것, 썩은 것을 다 버립니다. 그러나 땅은 자신을 열고 모든 것을 받아들입니다. 땅의 이 겸손을 배우세요. 그리하여 여러분이 겪은 모든 것, 병고, 고독, 절망까지 다 받아들이세요."  

    정말 울고싶네요. 하루 이틀도 아니고 몇 년째 다짐한 다짐들, 왜 여전히 지키지 못할까요. 내 자신을 놓겠다고 다짐하면서도 그것이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는 안다는 듯이 변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왜 나는 자신을 놓지 못하고, 이렇게도 원하는데 나 자신을 당신에게, 우주의 기운에게, 만물의 손에 놓지 못할까요. .눈물도 나지 않아요. 몇 년 전까지만해도, 정말 낙엽 굴러다고 웃고 울었는데, 이제는 감정의 기복이 적어지고, 다짐의 무너짐에 대한 속상함도 줄어버렸어요. 감정의 '양'이 줄어버렸어요. 이렇게 무뎌져가는 자신의 모습이 싫은데, 이미 이렇게 되어버렸어요. 보다 자신을 조절하려는 것이 보여요 - 나의 움직임, 행동 하나하나를 조절하려는 모습. 자신을 놓겠다고, 노력하겠다고 다짐하지 않겠습니다. 당신이 알아서 저를 자유로 풀어주시리라 믿을게요. 나의 자유는 내가 주는 것이 아닌, 우주의 기운이 주는 것임을 그저 숨만 쉴게요, 그저 숨만, 숨만. 아무것도 하지 않겠어요 - 노력 따위도.
    이 글을 처음 쓰기 시작하였을 때는 분명 정보전달적인 -이다 어투로 시작하여, 현재는 당신에게 빌고있는 대화형이군요. 음, 내 자신이 조금이라도 변하는 것인지 - 모르겠다. 내일 금식을 해야겠다, 나 자신을 위해, 우주를 위해, 자유를 위해. 누가 나를 제발 도와주었으면 좋겠는데, 도움을 요청 할 수가 없다. 어디에선가, 누군가가 말하기를, 왜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도움을 거부할까요? 역으로 도움을 거부하기 때문에 도움이 필요한 것이다. 누구나 도움이 필요한 것이 사람이거늘, 자신감을 넘은 자만감이 사람을 궁지로 모는 것이 아닐까 - 이를 알면서도 궁지에서 나 자신을 가두고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는 나를. . 울지도 못하는 나를. .
    절망까지, 이러한 처절함도 괜찮습니다 - 뭐 어쩌렵니까, 시간이 흐르는 것은 같고, 어떻게든 누구나 자신만의 방법들로 시간을 보냅니다. 괜찮습니다, 괜찮아요, 실수이고 비겁하고 더럽지만 이러한 모든 모습들이 나의 일부이고, 나는 퍽이나 괜찮은 사람입니다. . 그럴거에요 아마. .


    4/9
    "고통은 참으로 우리를 괴롭히는 악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되도록 고통을 면하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고통이 없을 떄, 고통을 모르는 인간, 고통이 없는 인생은 어떤 것이겠습니까? 하느님을 더 찾고 모두가 하느님을 믿는 사람이 되겠습니까? 오히려 하느님을 잊어버리고 말 것입니다. 나 역시 고통이 없었다면 아마도 하느님을 전혀 찾지 않았을 것입니다. 고통이 없는 인생은 술에 물 탄 것 처럼 싱겁고 아무런 깊이도 없을 것입니다."
    추기경님의 글을 읽으며 - 정말이지 솔직하신 모습에 감사하고 존경스럽다. 고통이 없었더라면 하느님을 찾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씀, 추기경이라는 주목받는 위치에서 쉽게 할 수 있는 말은 아니다. 종교를 규탄하려는 수많은 이목이 있고, 반종교 지향적인 과학 단체들이 바다를 이룰 정도로 많은 오늘 날, 고통없이는 하느님을 찾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 매우 자극적이다. 하느님은 목발이다 - 라는 주장은, 반종교적인 주장들 중 주요 논리 중 하나인 것 같다. 그들은 종교를 나약한 이들의 정신적 자위정도로 여긴다. 나 또한 이러한 생각을 했었고, 고등학교 시절, 엄마와 부엌에서 이러한 대화를 나누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당시 엄마는 그러한 관점도 수용해야하며, 종교에 대한, 세상에 대한 공부를 더 해야한다고 했다. 지금 생각하면 나 자신이 얼마나 아는 것 없이 당돌했는지 부끄러울 따름이다. 어찌되었건, 누구나 할 수 있는 생각이지만, 자신의 위치에 따라 그것을 부정하거나 무시하기 마련인데, 솔직하게 글로 남길 수 있는 추기경님의 모습에 겸손해진다.
    고통, 고통, 피하고 싶고 싫다. 하지만 이를 수용해야한다. 하지만 보다 큰 딜레마는 어디까지나 고통을 수용해야하는 것이냐 - 인 것 같다. 어려움, 고통 따위를 수용함으로써 나의 발전을 막는 것 같기도하다. 더러워도 괜찮다는, 고통도 나의 일부라는 생각에, 나 자신의 악에서 나를 보다 절실히 구하지 않는 것 같다. 하지만 나는 모든 것을 놓으리라, 주님이 맡아 주시리라, 아멘 -

    4/10
    "당신 스스로 비우신 주님을 본받아 우리도 주님과 형제들에 대한 사랑으로써 남을 위해 자신을 비우는 그 가난을 본받게 하소서."
    하아, 근래 아침마다 되뇌는 생각 - 비우자. 딱히 바쁘지 않은 생활, 수업의 내용도 어렵지만은 않은 듯 하여, 그 만큼 여유로운 마음을 보다 나를 필요로하는 이들을 위해 사용하면 좋을텐데, 특별히 중요치 않은 잡념들에게 빼앗기는 것 같아 속상타. 자신을 비우는 것, 나를 위함이 아닌 타인을 위하여, 내가 아닌 우주를 위하여, 이타적인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소중하게 여길 수 있기를 바라며. 나의 그릇을 깨끗이 비워버리고, 타인을 위해 모든 것을 쏟을 수 있기를 - 아멘 so be it

    4/11
    "이것은 세상의 그 어떤 것으로도 채울 수 없고 오직 하느님만이 채울 수 있습니다. 인간은 하느님의 꿈입니다. 이 꿈의 실현이 인간의 구원입니다. 하느님은 우리 한 사람에게 이 꿈을 지니고 있습니다."  
    인간은 하느님의 꿈이라. . 한 번 읽고는 무슨 말인지 이해 할 수 없었다. 오히려 하느님은 인간의 꿈이라 하면, 이루워 질 수 없는, 인간의 '아버지의 닮음'에 대한 끝 없는 동경을 말하는구나 싶었을텐데, 인간은 하느님의 꿈이라니. 하느님이 인간이 되기를 꿈꾸신다는 것일까. . (그것은 영화 nine 의 내용인데. . 인간을 꿈꾸는 god) 인간은 하느님의 꿈, 인간은 하느님의 꿈을 형상화하는 존재라는 뜻이 아닐가. 하느님은 꿈이 있었고, 그것을 우리 인간을 통해 실현한다는 뜻이 아닐까. 순간 나의 삶은 나의 꿈을 실현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스치지만, 추기경님의 말씀을 다시 기억해보면, 우리는 세상의 어떠한 것으로도 채울 수 없다고 말하신다. 우리 자신의 꿈들도 세상의 것이기에 우리를 채울 수 없는 것이요, 우리를 완전히 채울 수 있는 것은 하느님의 뜻을 따르고, 그의 꿈을 실현하는 것 뿐이다.
    이번 사순시기 동안 가장 집중하였던 것은 비움이였다. 나 자신을 비우고, 하느님으로 나를 채울 수 있는 것 - 추기경님의 어떠한 문구를 읽어도 같은 맥락인 듯 하다. 나로 가득한이 아닌, 나의 비움, 그리고 오로지 하느님과 타인을 위한, 내가 아닌 어떠한 매개체가 되는 것에 가까운 듯 하다. 이는 지난 특전미사 중 Father Kelvin의 말씀과 같은 맥락이다 - 우리는 영혼이요 육신이 아니고, 우리가 자신이라고 말하는 것은, 말 그대로 나의 몸이지, 완전한 내가 아니다. 하루하루 이어저 가는 점들 사이의 선을 보며, 사순시기도 부활절이 다가오고있다. 마지막까지, 시작의 마음, 초심을 잃지 않기를, 나를 보다 비울 수 있기를, 이러한 원함마저 비우기를, 아멘 so be it.

    4/13
    "평화를 깨뜨리는 모든 것을 이기고 없애야 합니다. 불화의 뿌리를 뽑아야 하고, 남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오만, 믿지 않으려는 불신, 용서할 줄 모르는 미움, 나만을 위하는 소유욕과 지배욕, 질투와 경쟁심을 버려야 합니다."
    휴, 너무 사실이다. 남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마음은 오만이요, 믿지 못함은 불신이요, 용서치 못함은 미움이요, 나만을 위한 것은 소유욕과 지배욕이고, 질투와 경쟁심 또한 나의 나약한 모습이다. 물론 모든 사람의 마음에는 이러한 것들이 각자의 정도로 있으리라. 버리리라, 버리리라, 버렸느니라, 휙 휙 휙 슝슝슝
    이미 모두 버렸다는 마음으로, 하루를 살아보자 - 휴 아멘 so be it
    나쁘지 않은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마음을 비운다는 자세가 매우 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타인에 대한 감정적인 관념들을 버리는 것이 가장 어렵다. 우편물 중 교통위반에 대한 비용을 내라는 편지가 있었다. 기분이 매우 나빴지만, 이 보다 큰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것에 괜한 감사하는 마음이 들었다. 비록 이번 달 역시 한도를 넘은 통장내역이 나올테지만, 보다 위험하거나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났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도 일이 충격이라는 것은 특별히 나쁘지 않은 일이다. 근래 많은 일이 즐겁다. 약속도 빈번하고, 입을 옷, 잘 수 있는 집, 쉴 수 있는 침대, 먹을 수 있는 식량, 만날 수 있는 사람들, 수업마다 귀여운 친구들이 있음에 감사하고 즐겁다.
    이 즐거움의 이유는 두가지가 있는 것 같다, 첫 째 마음을 계속적을 비우려는 자세로 생활한다. 둘 째 수업에 즐거운 친구들이 있다. 마음을 비우는 것은 나의 실수에 너그러워지고, 보다 긍정적인 마음의 안정을 준다. 무엇인가를 해야한다는, 특정한 방법으로 해야한다는 기준이 사라지니, 마음이 편안하고 그저 쉬운 마음으로 생활 할 수 있다. 쉽게 잊을 수 있고, 쉽게 실천한다. 그저 생활의 시간적 단위들을 지내는, 보내는 기분이랄까. 마음이 비교적 가볍다. 친구들에 관해서는 길어질 것 같으니 다른 글로 적어야겠다. 감사할 따름. 내일이 시험임으로, 오늘은 공부를 해야한다, 하루를 무사히 지낼 수 있도록, amen - so be it


    4/14
    "하느님이 가난하다는 사실은 명백하게 알려져야 합니다. 하느님은 있는 자체이시나 아무 것도 갖지 않았습니다. 갖지 않았을 뿐 아니라 어떠한 소유물도 필요로 하거나 원하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괜찮은 마음으로 하루가 시작되었다. 시험 때문인지 잠을 길게 잘 수 없었다. 0600시 쯤 눈을 떠, 샤워를하고, 빵에 계란을 입혀 먹고 공부를 하니 벌써 0830시가 가까워지고 있다. 일찍 일어나는 날에는 하루가 길고 딱히 마음이 편하지 않은데 오늘은 마음이 편안한 것이, 근래 얼마나 괜찮은 생활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정오에 유기화학 시험을 보고 온실에 화분에 물을 주고 은행에 들렸다가, 할머니 댁에 가기로 되어있다. 이렇게 주말이 불과 몇 시간 내로 다가왔다.
    오늘 아침 문득 마주친 글에서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유학을 와, 졸업을 하고도 나라에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서 하루도 빠짐 없이 일을하며 집으로 돈을 보내는 분이 계시다는 것을 읽었다. 하루도 쉬지 않고 한 달을 꼬박 일하면 120만원을 벌 수 있는데 그것은 베트남 돈으로 1000만원에 가까운 비용이라고 한다. 120만원을 버는 것이야 어렵지 않을 듯 해보이지만, 하루도 쉬지 않으신다니, 나로써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하루 수업 5시간 정도 듣고도 지쳐 주말을 입에 달고 지내는데, 하루도 쉬지 않는다니. . 120만원을 버는 것 보다 어려운 것은 그것을 쪼개 자신의 생활비를 사용하고 가족의 것을 남기는 것이지 않을까 싶다. 한국 지방의 가장 저렴한 방값도 30만원 정도 하지 않는가. 기본 생활비 또한 최소한 30만원 정도 들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60만원 보내기도 빠듯 할 듯 하다. 하지만 베트남 돈으로는 꽤나 큰 돈이 되니, 그것에 보람을 느끼는 것이리라.
    이에 비해 나의 생활비는 터무니 없이 많이 나간다. 방값부터 시작하여, 학비, 기름값, 식비, 기본적인 것 외에도 입는 것, 차에 들어가는 돈, 취미생활로 들어가는 돈 등이 한 달 생활비가 꽤나 드는 것 같다. 줄인다고 하여도 방값을 제외하고도 60만원 정도는 족히 쓰는 듯 하다.
    하느님은 가난하셨다. 그는 어떠한 것도 원하거나 필요로 하지도 않으셨다. 나는 학벌을 위해 유학을 왔고, 괜찮은 집에 살고 있으며 무려 차도있다. 취미생활을 위해 옷과 도구들을 '필요'로하다는 이유로 그것들을 구입하고, 내가 가진 물건들에 집착하는 일도 흔하다. 나의 가장 큰 집착은 책. 솔직히 방에 있는 책들 중 읽지 않은 것도 수두룩하다. 하지만 흥미로운 책을 보면 갖고싶다. 방에 두면 언젠가는 읽게되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나, 정말 원한다면 도서관에서 충분히 빌려서도 볼 수 있는 것들이다. 나의 지식을 위한다는 이유로, 밑줄을 치고싶고, 소유하고 싶고, 언제든지 돌아가서 읽고 싶을 때에 읽고싶다는 이유로 책들을 하나 둘 씩 사다보니 어느세 오선반을 가득 채운다.
    또한 기본적인 것을 제외하고 드는 가장 큰 지출은 옷. 딱히 많이 사는 것은 아닌데 한 달에 한 두 장 정도는 사게된다. 계절에 따라 사는 옷들이거나, 운동복이 다수. 옷의 세계를 사실 이해하기 어렵다. 옷이 비싸 마땅한 이유는 어느정도 이해 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이 아닌, 부수에 가까우니, 특별히 저렴하지 않아도 된다. 책은 보다 들어가는 노력에 비하여 저렴하다고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책은 보다 널리 보급되야 하는 것임으로 어느정도 이해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가 어떠한 시스템에 의해서 의도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나의 생각은 이러하다. 어찌되었건,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책과 옷을 적게 사는 것이다. 지금도 최소한으로 줄인다고 생각하지만, 예수님은 '아무것도' 없으셨고, 모든 것 그 자체이셨다. 이 처럼 나의 관념을 바꾸면 새로운 지향을, 방향을, 생활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본다.
    일찍 일어났더니 역시나 눈이 따끔거린다. 어서 시험을 마무리하고 할머니 댁에 가서 맛있는 식사를 먹고 한 숨 자야겠다. 휙 쿵 - 아멘 so be it.

    4/16
    "겸손한 사람만이 인생을 값지게 사는 슬기를 배울 수 있습니다." 
    배움이라는 것, 겸손이 유일한 방법이다. 겸손하지 않으면 자신으로 가득차, 그야말로 자만하여 나 이외의 것을 수용 할 수 없다. 나 자신을 비울 수 있는 방법은 겸손 뿐이다. 나 자신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인정하고, 그것을 원망치 않고, 보다 옳은 것을 비울 수 있는 여유를 자신에게 허락해야만 무엇이든 배울 수 있고 수용 할 수 있다.
    오늘은 토요일, 특전미사에 가는 날이다. 벌써 부활절이 가깝게 다가왔다. 사순시기 동안 비움에 중점을 두고 기도를 하였고, 뿌듯하지만은 않은 날들도 많았다. 반 정도는 뿌듯하지 않고, 반 정도는 뿌듯했던 것 같다. 하지만 net 포괄적으로 전체를 고려했을때, 나의 현재 마음은 시작에 비하여 보다 편안하다. 이것이 100%기도와 비움에 인한 것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는 일이지만. 매우 큰 부분이 비움으로 부터 오는 행복임은 확실하다. 그것은 나에게 긍정과 편안 - 곧 필요한 모든 것을 선물해 주었다. 이렇게 나는 감사하는 마음으로, 사순의 마무리를 향하는 오늘, 바른 자세로 특전미사를 드리겠다. 나는 비우려 노력했고, 그 노력마저 버리며, 모든 것을 버릴 수 있었다, 아멘 so be it.

    4/17
    "주변에서도 건강에 대한 확신을 가지라고 권유해 주시는 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저는 '오래 사는 것'보다 '기쁘게 잘 사는 것'이 더 소중한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수녀님도 그렇게 말씁하셨지요, 부활을 '기쁘게' 맞이 할 수 있도록 마음의 준비를 하자고. 그렇게 우리는 아픔을 지향하면서도 기쁨을 향하는군요. . 아프고도 기쁜, 그런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자만하지 않도록 도와주세요, 자만하지 않도록 비워주세요, 비우겠습니다, 비웠습니다. 부활이 훌쩍 다가왔네요. 당신의 못 박히심을 기억하며. . 감사합니다, 아멘 so be it

    4/20
    "내 이웃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차를 타는 사람이든, 걸어 다니는 사람이든, 교통법규를 성실히 지키고 실수 할 때에는 지체없이 용서를 먼저 청하는 우리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게으른 나의 시간이 흐르고 흘러, 부활에 가까워 졌네요. 글이 길어 수정이 어렵군요, 다른 포스팅으로 옮기겠습니다.



    자료 출처
    http://www.catholic.or.kr/ 
    김수환 추기경 잠언집 바보가 바보들에 (산호와 진주)



    자료는 다시 쓴 것임으로 오타 혹은 내용의 오류가 있을 수 있음.


     

     

    Posted by water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