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CreditJoyce Hesselberth

Dr. Caleb Alexander knows how easily older people can fall into so-called polypharmacy. Perhaps a patient, like most seniors, sees several specialists who write or renew prescriptions.

“A cardiologist puts someone on good, evidence-based medications for his heart,” said Dr. Alexander, co-director of the Johns Hopkins Center for Drug Safety and Effectiveness. “An endocrinologist does the same for his bones.”

And let’s say the patient, like many older adults, also uses an over-the-counter reflux drug and takes a daily aspirin or a zinc supplement and fish oil capsules.

“Pretty soon, you have an 82-year-old man who’s on 14 medications,” Dr. Alexander said, barely exaggerating.

Geriatricians and researchers have warned for years about the potential hazards of polypharmacy, usually defined as taking five or more drugs concurrently. Yet it continues to rise in all age groups, reaching disturbingly high levels among older adults.

“It’s as perennial as the grass,” Dr. Alexander said. “The average senior is taking more medicines than ever before.”

Tracking prescription drug use from 1999 to 2012 through a large national survey, Harvard researchers reported in November that 39 percent of those over age 65 now use five or more medications — a 70 percent increase in polypharmacy over 12 years.

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

But older people don’t take just prescription drugs. An article published in JAMA Internal Medicine , using a longitudinal national survey of people 62 to 85 years old, may have revealed the fuller picture.

More than a third were taking at least five prescription medications, and almost two-thirds were using dietary supplements, including herbs andvitamins. Nearly 40 percent took over-the-counter drugs.

Not all are imperiled by polypharmacy, of course. But some of those products, even those that sound natural and are available at health food stores, interact with others and can cause dangerous side effects.

How often does that happen? The researchers, analyzing the drugs and supplements taken, calculated that more than 8 percent of older adults in 2005 and 2006 were at risk for a major drug interaction. Five years later, the proportion exceeded 15 percent.

“We’re not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actions and safety of multiple medications,” said Dima Qato, the lead author of the JAMA Internal Medicine article (Dr. Alexander was a co-author) and a pharmacist and epidemiologist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This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She was stunned to discover, for instance, that the use of omega-3 fish oil supplements had quadrupled over five years. Her research suggests that almost one in five older adults now takes them.

Users probably believe fish oil helps their hearts. But Dr. Qato pointed out fish oil capsules lacked regulation and evidence of effectiveness, and can cause bleeding in patients taking blood thinners like warfarin(brand name: Coumadin).

Though drug interactions can occur in any age group, older people are more vulnerable, said Dr. Michael A. Steinman, a geriatrician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who wrote an accompanying commentary.

Most have multiple chronic diseases, so they take more drugs, putting them at higher risk for threatening interactions.

The consequences can also be more threatening. Say a drug makes older patients dizzy.

“They’re more prone to fall, because they don’t have the same reserves of balance and strength” as the young or middle-aged, Dr. Steinman said. “And if they do fall because they’re dizzy, they’re more likely to get hurt.”

Some common combinations that cropped up in the study and could spell trouble: aspirin and the anti-clotting drug clopidogrel (Plavix), both blood thinners that together increase the risk of bleeding with long-term use; aspirin and naproxen (Aleve), over-the-counter drugs that when combined can cause bleeding, ulceration or perforation of the stomach lining.

Dr. Qato recalled reviewing the medications of a 67-year-old man taking both the cholesterol drug simvastatin (Zocor) and the blood pressuremedication amlodipine (Norvasc) — the most common combination of interacting drugs that emerged in her study.

Statins, along with their cholesterol-lowering properties, can causemuscle pain and weakness; Norvasc heightens that risk. A different blood pressure drug — there are many alternatives — would be a safer choice, Dr. Qato said. Yet almost 4 percent of the older adults in her study took both drugs.

Moreover, though her patient wasn’t experiencing problems, he was also taking garlic and omega-3 supplements, which can interact with prescription medications.

“Did you tell your doctor you were on them?’” Dr. Qato recalled asking. “He said, ‘No, why should I? If it was important, why didn’t he ask me?’”

A reasonable question. A recent study in JAMA Internal Medicine, however, found that more than 42 percent of adults didn’t tell their primary care doctors about their most commonly u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including a quarter of those who relied most on herbs and supplements.

Usually, that was because the physicians didn’t ask and the patients didn’t think they needed to know; in a few cases, doctors had previously discouraged alternative therapies, or patients thought they would.

And they might, especially for older patients with complex regimens. “I’m not a big fan of supplements,” Dr. Alexander tells patients taking lots of vitamins, supplements and herbal remedies.

“I think the vast majority of evidence raises serious questions about their effectiveness or, in some cases, their safety. They’re less well regulated than prescription medications. I think you’d be better off stopping them.”

Patients often resist, he said, and “they’re the captain of their own ship.” So he explains the risks and benefits, and negotiations ensue.

Often, though, patients don’t know that a daily aspirin, Prilosec OTC or fish oil can interact with other drugs. Or they’re confused about what they’re actually taking.

Dr. Steinman recalled asking a patient to bring in every pill he took for a so-called brown bag review. He learned that the man had accumulated four or five bottles of the same drug without realizing it, and was ingesting several times the recommended dose.

Ultimately, the best way to reduce polypharmacy is to overhaul our fragmented approach to health care. “The system is not geared to look at a person as a whole, to see how the patterns fit together,” Dr. Steinman said.

In the meantime, though, patients and families can ask their physicians for brown bag reviews, including every supplement, and discuss whether to continue or change their regimens. Pharmacists, often underused as information sources, can help coordinate medications, and some patients qualify for medication reviews through Medicare.

“We spend an awful lot of money and effort trying to figure out when to start medications,” Dr. Alexander said, “and shockingly little on when to stop.”



Posted by water_
,
Photo
CreditJoyce Hesselberth

Maybe you have seen television ads starring the beefy, affable comedian and actor known as Larry the Cable Guy.

In his sleeveless shirt and gimme cap, he’s driving a monster truck or streaking along on a jet ski, pausing to chomp on a turkey drumstick or a barbecued rib, all the while proclaiming his love for America and for Prilosec OTC to fight “frequent heartburn.”The caution that the drug should be taken for no more than 14 days, and not more often than every four months, appears briefly on-screen. If you blink or go fetch your glasses, you’ll miss it.

Todd Semla has noticed the ads, too, and he’s not a fan. “I don’t see Larry the Cable Guy saying, ‘If you take this drug often, your kidneys may be affected or you could break a hip,’” said Dr. Semla, a pharmacist at the Feinberg School of Medicine at Northwestern University, and past president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Since their introduction in 1990, the drugs collectively known as proton pump inhibitors (common brand names: Nexium, Prevacid, Prilosec) have become among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in the country; as the Cable Guy points out, they are also available over the counter. They suppress stomach acid more effectively than a previous class of drugs called H2 blockers (Zantac, Tagamet, Pepcid).

They have also given users reason to be wary. In recent years, scores of studies have reported associations between prescription P.P.I. use and an array of health problems, including bone fractures, low magnesium levels, kidney injuries and possibly cardiovascular drug interactions.

They are also linked to infections, like the stubborn Clostridium difficile and pneumonia. Reducing the acidity of the stomach, researchers believe, allows bacteria to thrive and then spread to other organs like the lungs and intestines.

The latest findings, published in JAMA Internal Medicine, point to increased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among users, which is particularly worrisome.

“You can treat and hopefully cure infections,” said Dr. Adam Schoenfeld, an internal medicine residen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and an author of an accompanying editorial on the drugs’ adverse effects. “Fractures can heal, though they can be catastrophic events for older people. But chronic kidney disease doesn’t go away.”

The new study, by a Johns Hopkins team, compiled years of data from two sources: a community sample of 10,482 adults in four communities in North Carolina, Mississippi, Minnesota and Maryland (average age: 63) and a cohort of nearly 250,000 patients in a rural Pennsylvania health care system. Those who took prescription proton pump inhibitors were 20 percent to 50 percent more likely to develop chronic kidney disease than nonusers, said the senior author, Dr. Morgan Grams, a nephrologist and epidemiologist at Johns Hopkins.

Like the rest of these drug studies, this one demonstrated an association, not a direct cause. But in the Pennsylvania sample, the researchers documented a dose effect: The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rose 15 percent among those taking the drug once a day, but 46 percent in those taking it twice daily, compared with nonusers. “That leads us to believe there’s a causal effect,” Dr. Grams said.

Relative risk statistics sometimes seem to exaggerate the dangers of a drug or an illness, if they were low to begin with. But “kidney disease is quite common, particularly among older adults,” Dr. Grams pointed out. And the P.P.I.-using population is vast, she added. “When you have 15 million people using these drugs, even relatively rare adverse effects can affect a lot of people.”

Older people should probably pay special heed.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reflux, Dr. Semla said, in part because the muscle that prevents stomach acid from rising into the esophagus weakens with age. Older adults are therefore more likely to take these drugs, and also more vulnerable to the diseases and disorders associated with them, especially with long-term use.

All of this led an American Geriatrics Society panel last year to add proton pump inhibitors to the list called the Beers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Older Adults, citing the risk of bone loss and fractures and C. diff infection.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as also issued several safety announcements about these drugs’ association with C. diff, fracture riskand low magnesium, linked to kidney disease and other ailments.

So you’d think use of proton pump inhibitors would be declining. It’s not.

“Despite this information, those drugs are extremely overprescribed,” Dr. Schoenfeld said.

From 1999 to 2002, 9 percent of people ages 55 to 64 reported using a prescription gastric reflux drug (including non-P.P.I.s) in the previous 30 days,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as reported.

Ten years later, the proportion had risen to 16 percent. Among prescription medications, only cardiac and cholesterol drugs were more commonly used by adults ages 55 to 64.

Proton pump inhibitors can be crucial medications, doctors hasten to point out, for those with peptic ulcers or for intensive care patients, among others. They’re also the most effective option for severe reflux. But whether over the counter or prescribed (prescriptions can involve higher doses), they are usually recommended for short-term use.

Yet “there are definitely older people who’ve been on these for 10 or 20 years,” Dr. Schoenfeld said. Perhaps the medication was prescribed during a hospital stay, then never discontinued. Or a patient took a nonprescription version for a bout of indigestion, felt better and therefore kept taking it, though the initial problem may have long ago disappeared. Doctors, too, often fail to question extended use, Dr. Schoenfeld said.

Regularly reviewing all medications, prescription and over the counter, at office visits might help reduce this overuse. Dr. Schoenfeld recommends tapering off a proton pump inhibitor to see if it’s still needed, or switching to one of the less potent H2 blockers, which don’t appear to entail the same risks.

Better yet,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can often reduce heartburn and other reflux-related problems. Losing weight helps; so does limiting certain medications, like aspirin. Dr. Semla suggests raising the head of your bed so stomach acid has a harder time climbing.

Moreover, “if people eat a lot of fatty, greasy foods or drink a lot of alcohol or caffeine, those are all triggers for heartburn,” Dr. Schoenfeld said. It probably also helps — “people are going to hate me” — to cut back on chocolate.

“With time or with dietary changes,” he said, “a lot of these symptoms would go away on their own.”

Listen up, Cable Guy.



Posted by water_
,
Elizabeth Holmes

Elizabeth Holmes

Age: 30

Net worth: $4.5 billion

At 30, Elizabeth Holmes makes her debut on the Forbes 400 as the youngest self-made woman billionaire. She dropped out her sophomore year of Stanford University to found Palo Alto, Calif.-based blood testing company Theranos in 2003 with money she saved for college. With a painless prick, her labs can quickly test a drop of blood at a fraction of the price of commercial labs which need more than one vial. Theranos has raised $400 million from venture capitalists, valuing the company at $9 billion, and Holmes' 50% stake at $4.5 billion. She has assembled a stellar board that includes elder statesmen George Shultz and Henry Kissinger. Last year, Walgreens, the largest U.S. retail pharmacy chain, with more than 8,100 stores, announced plans to roll out Theranos Wellness Centers inside its pharmacies.


http://www.forbes.com/pictures/emjl45kfml/elizabeth-holmes/ 


Posted by water_
,


Posted by water_
,


흥미로운 발견 ! Biosimilar 와 Biobetter 라 ... 무언가 간사하면서도 자본적 지능이라면 당연한 발상이기도하다. 신약을 개발하는 부담은 덜고, 기존의 약과 유사하지만 기존의 약보다 나은 - 업그레이드 차원의 약을 생산해 경쟁하는 것. 하아.... 자본적 생산적 기업적 마인드들 굴러가는 소리가 울린다, 하. 이러한 사업이 벌써 몇 년이다 지속되고 있었다니.
하지만 여기서도 아쉬운 점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모두 자본적 마인드로부터 시작된다는 것. 물론 응용과학은 좋지만 이건 처음부터 끝까지 자본적 생산이지 아닌가. 순수과학의 이론들이 이렇게 사용되는 모습을 바라보자니 안타깝기도하고 이렇게라도 이롭게 쓰일 수 있다면 다행이기도 싶지만 - 안타깝고 쓰라린 마음이 크다. 사실상 현대약학이라는 것이 필요 이상의 움직임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경재적인 관점으로 약을 생산하는 것이 현실이다. 꼭 필요해서라기보다 돈이 될 것 같은 제품들이 쏟아지고, 꼭 필요한 약들보다는 이득이 큰 약들에 투자가 몰리는 것이 제약회사들의 움직임이다.
biosimilar 와 biobetter 모두 좋은 아이디어들이지만 그들의 방향이 부디 기존과는 조금이라도 다른 - 방향이였으면 바래본다.

2011년 06월 23일(목) 사이언스타임즈

최근 들어 삼성그룹이 미래의 신성장 동력으로 바이오산업을 선정하고 그
첫단계로 인천 송도에 바이오제약 합작사를 설립한다는 뉴스로 바이오시밀러(biosimila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삼성그룹의 이러한 투자소식은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지만 사실, 최근 몇 년 동안 제약업계의 화두(話頭)는 단연 바이오시밀러였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바이오시밀러는 그동안 시장의 주목을 많이 받은 분야이다.

바이오시밀러의 가이드라인

바이오시밀러란 특허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의 유사약품 개념으로 개발된 제품으로, 합성의약품과는 달리 가이드라인에 따라 비임상 및 임상 측면에서 비교 동등성이 입증된 제품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합성의약품의 경우,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네릭(generic) 제품을 오리지널과 똑같이 생산할 수 있지만, 바이오의약품의 경우에는 복잡한 구조와 더불어 생명체를 이용해 생산한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오리지널과 똑같은 제품을 만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이오의약품은 가이드라인을 통해 제시된 규격에 적합하도록 유사성(similarity)을 확보해야 하는데, 오리지널의 경우에도 생산 로트(lot; 1회에 생산되는 특정수의 제품단위)마다 똑같을 수는 없으므로 바이오시밀러의 유사성에 대한 규격은 오리지널의 생산 로트별 차이 정도의 규격으로 이해하면 무난하다.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문제점

하지만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대한 위협 요소도 적지 않다. 현재 합성의약품 분야의 성장 둔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형 제약기업들은 바이오시밀러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앞 다투어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향후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자본 경쟁의 양상을 보일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정된 제품과 시장을 두고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하게 되면 가격 경쟁은 불을 보듯이 뻔한데, 결국엔 대규모 시설 투자에 이은 대량 생산으로 적절한 원가를 확보하는 기업만이 최후의 승자로 남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오베터의 등장

초대형 기업들의 참여로 바이오시밀러 사업은 점차 규모의 경쟁으로 변모되고 있지만, 신기술을 접목하여 기존 바이오의약품의 가치를 제고시킨 바이오베터(biobetter)의 등장은 또 다른 사업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의약계의 관심은 오리지널 의약품을 단순히 카피하는 게 아니라 효능, 안전성, 편의성 등의 기능성을 개선한 개량신약의 개념으로 옮겨가고 있는데 이와 같은 더 나은 효능을 보이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량신약을 슈퍼바이오시밀러 혹은 바이오베터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바이오베터의 특징과 적용기술

바이오베터는 원천 특허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항체 의약품으로, target으로 삼는 단백질은 같지만 의약품이 효능을 발휘하는 경로가 달라 기존 특허에 영향을 받거나 좌우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바이오베터를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은 항체 엔지니어링, 세포주 기술, 제조기술 등 크게 세 분야로 나뉠 수 있다. 항체 엔지니어링과 같은 항체 및 단백질 디자인 변경기술은 효과를 개선시키고 반감기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이런 신기술을 통해 지적재산권을 취득하고 독점을 누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와 함께, 제품의 당화가 효과·안전성과 생산력 등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당화를 개선시킬 수 있는 세포주 기술이 중요하며 새로운 제조기술은 약물전달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거나 제형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바이오베터는 신약수준의 높은 수익성을 지니면서 이미 오리지널 제품을 통해 기술적·사업적 성공가능성이 입증돼 있어 신약개발에 비해 사업리스크가 적은 편이다.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변화

바이오베터 개발의 대표적인 예로 GSK와 젠맵(Genmab)이 개발한 '아제라'(Arzerra)는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로 유명한 리툭산의 바이오베터 버전인데 신규기전의 후보물질을 도출함으로써 바이오베터 개발도 가능하다는 전략을 적용한 제품이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트렌드 변화로 바이오베터 시장에 참여하는 다국적 제약사들에게는 완전한 신약을 개발하는 것보다 위험이 적은 만큼 자사제품에 대한 제품수명주기관리 전략의 일환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모습이다.

따라서 향후의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는 가격경쟁력으로 승부하는 바이오시밀러와 높은 부가가치를 확보할 수 있는 바이오베터가 성장을 견인하는 양 축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준래 객원기자 | joonrae@naver.com

저작권자 2011.06.23 ⓒ ScienceTimes

Posted by water_
,

지난 7월 20일,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의 강남주 교수는 커
사이언스타임즈의 흥미로운 기사가 있어 담아왔다. 식품을 약품으로써 사용한다는 것. 식물에서 필요한 성분들을 체취하여 현대의학의 지식을 기반하여 약품을 만든다는 것. 하지만 현대 의약품과 다른 점이라면 synthesize 제조된 화학성분들이 아닌 자연에서 찾아 추출한 화학성분이라는 것. 현대의학을 바탕으로한 한의학으로 들린다.
현대의학에서 사용하는 양약이 개발되고 사용된데에는 상당히 짧은 역사가 있다. 한의학에 비하면 상당히 어린 학문이다. 하지만 뛰어난 마케팅과 정부의 협조 그리고 의사들 의학 단체들의 도움으로 양약은 사회에서 벌써 상당한 자리를 차지하였다. 현 시대 시장에서도, 사람들의 개념에서도 양약에 대한 거부감보다 놀라운 성장에 집중을 두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러한 무서운 성장에는 심각한 부작용 또한 따른다. 현대의학은 모든 증세에 이름을 붙이며 그것을 약으로 치료하려한다. 하지만 약으로 치료 할 수 없는 것이 분명있고 약이 굳이 필요치 않은 상황에서도 약을 사용하는 경우가 심각히 허다하다. 뿐만아니라 옳지 않는 약을 사용하는 경우 또한 난무하다. 예를들어 우리나라의 무분별한 항생제 처방은 이미 많은 질타를 받은 적이 있고 - 받아 마땅하다.
양약의 옳지 않은 점들도 분명 많지만 양약이 현대사회와 현대의학에서 해야 할 몫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무분별한 약의 사용은 멈추어야하지만 올바른 약의 사용은 목숨을 살리고 건강을 선사한다. 기사에서는 기사의 주제인 파이토케미칼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현대의학을 '증상치료에 그치고있다' 라고 표현하였고 이에는 어떠한 비하의 문체가 묻어있는데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증상치료'만 할 뿐이야 - 라고 하지만 증상치료라는 것이 결국 병의 증세를 나아지게한다는, 환자에게 가장 필요한 처방이다.
파이토케미칼은 기사에서도 제시된 것 처럼 면역성을 길러 건강을 돕는 것이다. 생물의 면역력이 높아지면 상당히 좋은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 물론 세균 질병 등에서 몸을 보호 할 수 있고 암의 속도도 늦출 수 있고 노화도 늦출 수 있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것은 면역성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은 여럿이라는 것. 면역성을 늘리는 방법에는 올바른 식생활, 규칙적인 생활습관, 비타민 섭취, 운동, 적당한 스트레스, 정신적 건강 등등 파이토케미컬 만이 답은 아니라는 것. 기사에서도 제시된 것 처럼 파이토케미칼은 굳이 필요치는 않지만 있으면 좋은 것이다.
이러한 연구가 발달된다고하여도 현대의학의 발달을 멈출 수는 없다. 분명 무분별한 양약의 재생산은 줄일 필요가 있지만 궁극적으로 현대의학의 발견은 계속되어야하고 게을러서는 안된다. 파이토케미칼이라는 이름으로 한의학이 다시 관심을 받고 있는 것 같아 기분이 좋다. 하지만 현대의학의 단점을 비판하기보다 부각시키려던 기사의 노력은 달갑지 않다. 좋은 소식이지만 썩 좋지만은 않은 전달이다.


식품이 약이 되는 시대가 열린다
파이토테라피가 이끄는 자연치료법

2011년 07월 26일(화) 사이언스타임즈

지난 7월 20일,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부의 강남주 교수는
피를 마시면 대장암 진행이 억제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커피를 장기간 꾸준히 섭취한 사람의 경우 대장암 발병률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은 여러 가지 실험결과에 의해 나타났으나, 커피의 어떤 성분이 대장암 발생을 저해하는지에 대해서는 규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강남주 교수팀은 이번 동물 실험을 통해 클로로겐산과 카페인산이 염증 및 암세포 증식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발암 단백질인 ERK(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 단백질의 활성화를 줄여 대장암 세포의 증식과 전이 과정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특히, 식품 중에 커피가 페놀릭파이토케미칼(페놀 구조를 갖는 식물 유래 화합물)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페놀릭파이토케미칼의 일종인 클로로겐산이 대장암의 진행 억제와 함께 피부 노화 억제 효능이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파이토케미칼의 등장과 가치

식품이 곧 약이 된다는 개념의 식품의약(Nutraceutical)이라는 말이 등장하는 요즘, 식물학과 약리학 분야에서는 식물 속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을 파이토케미칼(Phytochemical)이라고 부르며 새로운 치료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커피는 대장암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파이토(Phyto)’라는 말은 그리스어로 식물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보통 식물에 색과 맛, 그리고 향을 제공한다. 현재 1천 종류가 넘는 파이토케미칼이 밝혀져 있으며 이러한 물질 중 다수가 우리의 몸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파이토케미칼은 비타민도 미네랄도 아니며, 칼로리가 제로이기 때문에 에너지원도 아니다. 또한, 섭취하지 않을 경우 결핍증에 걸리는 것도 아니지만, 건강을 보호하거나 젊음을 유지하는 데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물질이란 것이 여러 가지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앞에서 언급했던 커피의 경우처럼 파이토케미칼은 인체의 면역시스템을 통하여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그리고 질병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부터 몸을 방어하게 도와주고 DNA의 손상을 막고 DNA의 복원을 도우며 산화와 노화를 일으키는 세포 손상, 오염물질에의 노출을 막아준다.

또한, 암의 원인이 되는 칼시노겐을 막아주고 암세포의 성장속도도 늦춰주며 에스트로겐이나 인슐린과 같은 호르몬을 조절하는 기능을 돕는다.

파이토케미칼을 이용한 파이토테라피

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는 ‘자연치료법’은 바로 이 파이토케미칼의 효능들을 이용한 치유법으로서 파이토테라피(Phytotherapy)라 부른다.

파이토테라피는 치료에 사용되는 원료를 모두 식물에서 얻는다는 점에서 유럽식 본초(本草)의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자연식물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한의학이나 동양의 본초의학과 공통점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치료과정이 현대의학을 공부한 전문의에 의해 서양의학적 체계를 바탕으로 진행하되 치료제 부분에서는 현대의학의 화학적 약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 차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자연식물에서 추출한 원료라 해서 모두가 안전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모든 원료들은 그 품질과 효능,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돼야 한다. 파이토테라피에 사용되는 원료들은 ‘유럽공동체위원회(ESCOP)’의 엄격한 규정을 준수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의사와 환자는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원료의 효능과 안전기준이 확실하고, 원료 형태도 ESCOP 규정에 맞춰 현대의학과 마찬가지로 시럽, 알약, 주사제, 연고제 등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파이토테라피를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현대의학과 동양의학의 장점을 접목한 통합의학이라 할 수 있다.

파이토테라피의 필요성과 가능성

20세기 들어 현대의 서양의학은 학문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일부 질환의 치료에서 새로운 장을 여전히 열지 못하고 있고 오히려 약품의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도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런 부작용과 한계성 때문에 자연의학, 대체의학. 보완의학이 현대의학의 약점을 메워주는 의학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제도권의료는 이들 자연의학, 대체의학, 보완의학들과 통합의학의 단계로 점차 나아가고 있다.

현대의학은 천연두, 홍역, 말라리아와 같은 감염성 전염병의 위험에서 구제하고, 심장 혈액순환 방해의 제거, 측관기구 등의 각종 수단으로 생명연장에 공헌한 바가 적지 않지만 의학적 방법에서 증상치료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 현대의학의 한계이다.

파이토테라피의 장점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전통의학과 현대의학이 접목된 통합의학이어서 그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점이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파이토테라피의 장점을 건강한 생활로 연결시키려면 아직까지 걸음마 단계에 있는 파이토케미칼의 효능을 조금이라도 빨리 규명하여 얼마나 섭취해야 하는지, 이것이 어떻게 다른 물질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것인지, 또한 어떻게 먹는 것이 건강유지에 최고의 도움을 줄 것인지 등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비로소 진정한 통합의학으로 인정받을 것이다.
김준래 객원기자 | joonrae@naver.com

저작권자 2011.07.26 ⓒ ScienceTimes

Posted by water_
,

사이언스 타임즈에서 흥미로운 기사가 있어 포스팅을한다. 제약회사들과 바이오 기업들의 성장에 대한 이야기이다. 근래 본 회사들이 무럭무럭 성장한다는 것은 비밀이 아니다. 제약 단지들이 생겨날 정도로 industry의 규모가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 우리나라 회사들의 성장 보니 흥미로운 것이 국내에서 상당히 성장하고 있고,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여전히 미약하다는 것. 약이라는 것이 신약 하나면 회사의 스케일이 천차만별로 바뀌니 예측하기도 어렵고 투자또한 마찬가지다. 많은 회사들이 그러한 '한 방'을 기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그러한 break through 는 언제 쯤 어떤 약으로 나올지는 모르겠다.
기사 마지막에 가까이 정부를 언뜻 언급하였는데 상당한 understatement 이다. "기업과 정부가 함께 나서 국가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양상" 이라고 서술되어있다. 의약업체가 아닌 기업들은 오히려 이러한 정부의 의약에 대한 투자를 불만스러워하고 있는 것이 현실. 어쩌면 우리나라 제약회사들의 성장의 대부분 기여한 것은 정부라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지난 10-20 여년 동안 제약회사와 제약업체들에게 정부는 상당히 관대하였으며 그들의 성장을 만들었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제약회사들이 보다 큰 성장을 하고 국제적으로 나아가려면 우리나라 정부의 도움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이제야말로 과학적 기술적인 싸움이 필요한 때이다. 홍보나 accessibility 따위로 더 이상의 성장은 의미가 없다.
다시 말하자면 정부는 이제 과학에 투자해야하지 않는가. 이제는 때가 되지 않았는가. 이미 순서가 바뀐 것은 말 할 것도 없고 늦기도 한참 늦었다. 하지만 지금에라도 정부는 로비가 투철한 약사단체나 제약회사가 아닌 순수와 실용과학 그 자체라고 생각한다.


덩치싸움 벌이는 세계 바이오 회사들
암젠의 연간 매출액, 한국 전체 매출액과 맞먹어

2011년 07월 29일(금) 사이언스타임즈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발표한 2010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의약품 생산실적은 15조7천98억 원으로 2009년에 비해 6.23% 늘어났다. 또 2010년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생산+수입-수출)도 19조 1천437억 원으로 2009년 대비 5.1%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시장규모가 커지면서 세계 의약품시장에 차지하는 점유율도 2009년 1.7%에서 2009년 1.9%로 높아졌다. 언뜻 생각하기에 좋은 실적이지만 식약청에서는 큰 걱정에 휩싸였다. 실적을 정밀 분석한 결과 향후 국내 제약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국내 의약품, 특히 국내 원료 의약품 생산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신약을 개발하지 않으면 세계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실제로 지금 세계 시장은 생명공학을 연구하는 바이오 회사들의 군웅할거 속에서 신약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암젠… 출범 28년 만에 세계시장 평정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세계적 시장조사기관인 데이터모니터(Datamonitor) 최근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바이오기업들의 현황을 분석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암젠(Amgen)은 2009년 바이오기업 중 가장 많은 144억 달러의 매출을 달성했다.

▲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춘추전국시대를 맞고 있다. 
한국 돈으로 환산하면 15조1천600억 원이 넘는 규모다. 2010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15조7천98억 원어치에 달하는 의약품을 한 회사에서 생산해 판매한 셈이다.

1983년 출범한 암젠은 1989년 빈혈치료제인 에포젠(Eopgen)을 시판하면서 세계 제약업계로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991년에는 백혈구 감소증 치료제인 뉴포젠(Neupogen)을 출시해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2002년 암젠은 미국의 유명 바이오회사였던 이뮤넥스(Immunex)사를 인수해 류마티스 관절염에 적용하는 'anti-TNF alfa'와 퓨전 단백질 치료제인 엔브렐(Enbrel)의 완전한 소유권을 갖게 된다. 그리고 판매를 확대한 결과 2003~2009년 간 연평균 10.5% 매출이 신장했다.

2005년에는 앱제닉스(Abgenix)를 인수해 항암제 벡티빅스(Vectibix)의 소유권을 확보한 후 단일클론항체 시장에 진입했으으며, 지난해에는 프롤리아(Prolia)라는 차세대 제품을 시판해 단일클론항체 시장에서 15억8천만 달러(한화 약 1조 6천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프롤리아는 항암치료 시 발생하는 폐경기후 골다공증 및 골밀도 손실 치료제로서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두 번째로 많은 매출을 기록한 바이오회사는 백스터 인터네셔널(Baxter International)로 2009년 약 64억 달러(한화 약 6조7천억원) 어치를 팔았다. 대표제품은 혈우병 치료제인 애드베이트(Advate)와 리콤비네이트(Recombinate). 이 두 개 제품의 2009년 판매액만 약 14억 달러(한화 약 1조4천억원)에 달한다.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감마가드(Gammergard)'는 백스터가 향후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제품이다. 현재 임상 3상에 들어가 있는데, 제품이 시판될 경우 세계적으로 큰 선풍을 일으킬 전망이다.

신제품 생산으로 하루아침에 상황 역전

2009년 중 세 번째로 많은 매출을 올린 바이오회사는 바이오젠 아이덕(Biogen Idec)이다. 2009년 42억3천만 달러 어치를 팔았다. 이 회사는 독립된 바이오회사인 바이오젠과 아이덕이 합병한 회사로 중추신경계와 종양 시장 분야 질환치료제를 전문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인 아보넥스(Avonex)와 크론씨 병 치료제인 단일클론항체 의약품 티이사브리(Tysabri)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미래 더 큰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네 번째로 매출을 많이 올린 회사는 젠자임(Genzyme)이다. 2010년 40억5천만달러(한화 약 4조2천억원) 어치를 팔았는데, 이 규모는 2009년과 비교해 1억5천만 달러가 감소한 것이다. 미국 올스톤과 매서츄세추에 있는 공장이 바이러스에 오염됐다는 기사로 인해 2008~2010년 중에 의약품 매출액이 급감했다.

제자임은 고셔병 치료제인 세레자임(Cerezyme), 파브리병 치료제인 파브라자임(Farazyme), 폼피병 치료제인 미오자임(Myozyme) 등으로 성공을 거둔 바이오 기업이다. 현재 지난 2008~2010년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유전자질환 분야 치료제를 개발 중에 있다.

현재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내일이 불투명할 정도로 새로운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불투명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암젠, 백스터, 바이오젠, 젠자임 등 이들 기업들은 탄탄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을 장악해 나가고 있다.

더구나 최근의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기업과 정부가 함께 나서 국가 경쟁력을 키워나가는 양상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새로운 신제품 개발로 하루아침에 상황이 뒤바뀌는 양상이 전개되고 있다. 식품의약안전청이 의약품 생산실적을 발표하면서 한국 제약산업의 미래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이강봉 객원편집위원 | aacc409@naver.com

저작권자 2011.07.29 ⓒ ScienceTimes

Posted by water_
,

정부가 약국 외 의약품 판매 도입을 규정한 약사법 개정안을 입법 예정 중이다. 이 중심에는 물론 보건복지부 장관 진수희가 있고 이에 대해 약사들은 반대를 하고 일어섰다. 일부 전북약사회 회장이라는 사람을 포함안 다수는 '릴레이 단식'을 펼치며 진수희 장관의 퇴진을 촉구하고 "국민 건강권·약국 생존권 직결"라는 어쩌면 솔직한 자신의 심정 - 약국 생존권을 살려야 한다는 마음을 호소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국민적 수요가 높고 약국운영시간이 아닌 시간에 응급히 필요 할 수 있는 감기약과 해열진통제등을 약국 외의 장소에서 판매 할 수 있는 약사법 개정을 추진중이다. 이에는 당연히 - 의약품의 안정성, 판매장소 등 제도 도입방안과 유통 회수 등 사후 관리 방안이 다루워지는 전문가 간담회가 있을 예정이다. 간담회를 거치고 공청회를 거쳐 올 9월 중 약사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란다.
복지부에 따르면 공청회 참석 예정자는
소비단체, 시민단체 2명
의사협회 1명
약사회 추천 1명
언론기자 2명
정부인원 등
이라는데 - 공청회가 이렇게 간소한 일이던가? 솔직하게 나는 공청회의 인원 공식을 모르겠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를 공청하는 데에있어 이렇게 대표적인 사람들만 모인다는 것이 의아하다.
더불어 - 보건복지부가 이일을 왜 추진하는지도 모르겠다. 약사의 로비를 더 받고 싶어서? 가장 유력한 추측은 의약제조업사들의 로비가 우승했다는 것인데 - 이 외에는 복지부가 이러한 약사들에게 불리한 제도를 추진하는 것이 의아하다. 특별히 의사들에게 득이되는 것도 아니니 그들의 로비 또한 아닐테고..... 가장 덕을 보는 제조업사들의 로비라고 밖에는 생각이 되지않는다.

개인적으로 나는 반대다. 의약업, 약사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 그것은 나의 관심사가 아니기에. 다만 이렇게 조금씩 약의 보편화가 나는 싫다. 약이라는 것이 굳이 응급하지 않은 상황에도 일상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현상인데 - 그에 이 제도는 분명 크게 기여 할 것이다. 사실 에너지 음료와 같은 일부 제품들이 '의약품'이라고 칭해지는 것은 의문이기는 하지만 해열제 감기약과 같은 실질적 '의약' 제품들에 대해서는 걱정이 따른다. 보다 자세하고 세부적인 자료분석과 전문가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아 아쉬울 따름이다. 제도의 진행과정을 지켜보겠다.




출처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69931&MainKind=A&NewsKind=103&vCount=12&vKind=1  
http://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70116&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Posted by water_
,

언제인가부터 병원에 다녀와 약을 약국에 가서 지어야하는 변화를 우리는 모두 겪었다. 그것이 2000년의 일이니 11년이 지난 오늘이다. 당시 의사들은 건강보험재정 고갈을 우려했으나 복지부는 반강제적으로 의약분업을 강행하였다. 의약분업에 대한 전반적 입장을 정리해보았다. 자료는 의사회에서 발표한 자료를 따른 것임으로 의견의 치우침이 있을 수 있음을 감수.


의약분업의 애초 목적

- 국민 의료비 감소
어떠한 논리였는지는 아직 미조사.

- 처방전에 대한 의약사 이중점검
사실상 가장 구차한 이유가 아닌가 싶다. 이념적으로는 의사의 처방을 약사가 점검함으로써 처방전의 안전과 유효성을 높힐 것이라는 주장인데 - 사실상 이러한 효과는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시스템적인 결함이라기보다 문화적/관습적인 오류인지 싶다. 우리나라의 항생제 처방에 대해 이미 많은 말이 오갔다. 가벼운 감기에도 항생제를 처방하는 어이없는 일이 상당히 보편적인 습관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 의약현실이다. 이에 대해서는 따로 올리겠으나 사실상 우리나라의 약처방 유효성을 공정 할 사람들이 약사들이라면 그들은 제 일을 제대로 하고있지 않다.

-약사의 전문화된 복약지도
딱히 약사라는 기술에 대해 특별함이 없는 것이 사실이지 않은가. 처방전을 읽고 그것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일이다. '복약지도' 약에 대해 보다 올바른 이해를 약사를 통해 환자가 받을 수 있다는 것인데 - 사실상 이는 의사와 약사의 말을 모두 참고해야하는 환자로써 혼란을 일으키는 효과가 오히려 크다. 더불어 이는 약사에게 제한된 권리 혹은 권한이 아니다. 의사들은 복약지도를 할 의무마저 있음으로 동선의 복잡성이 유발된다.

- 의약품 유통구조 개선
정부는 의약품의 유통을 약사로 일원화 함으로써 유통구조를 개선 할 것이라 주장하였지만 유통에는 오히려 역효과가 이르고 있다. 당시 의사들은 조제내역서를 발급을 주장하였다 - 이는 의사의 처방이 올바르게 조제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였으나 이 의견은 무시당하였다. 약사의 조제기록을 정리한 시스템이 없는 지금 환자들의 약 복용내역이 정리된 데이터가 없는 현실이다. 이는 의학적으로 혼란을 부르며 치명적인 실수를 나을 수 있는 틈이다. 약사법에 약사가 의사에게 통보하에 의사의 처방을 대체조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 이러한 순서가 지켜지지 않는 일이 허다하다고 한다. 대체조제대 대해 통보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때로는 청구를 의사처방으로 한 것 처럼 하고 보다 저렴한 약으로 조제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알려진 비밀이다. 어떠한 의약품의 경우 연간 총처방량이 총 생산량보다 많은 경우가 있으니 분명 오류가 있음에 분명하다.

- 암의조제 근절
약사들의 임의조제를 근절하겠다는 정부의 주장이였으나 지금도 약국에서는 환자에 대한 불법적 문진과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태도는 허무하게도 법적인 움직임이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건강보험 재정을 아끼려 - 일반약의 비중을 높히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며 약사들의 임의조제는 조장되고있다.

- 의약품 오남용방지 및 항생제 처방 감소
항생제 처방은 이미 알려진 문제이다. 이에 대응한다던 정부의 입장이였다. 하지만 의약분업이외에도 항생제 처방 감소의 정책은 있을 수 있었다는 것이 의사들의 입장이다.

- 환자의 알권리 증진


의약분업 후 문제점

- 국민 의료비 상승
정부의 애초 목적과 달리 의료비는 상승하였다.
2001년 건강보험 총 진료비 17조 8천억
2009년 건강보험 총 진료비 39조 3천억
121% 상승

건강보험료 월평균
(직장가입자 경우)
2000년 7688원
2009년 27049원
251.8% 상승

(지역가입자 경우)
2000년 10965원
2009년 28652원
161.3% 상승

국민의료비 상승에는 만성질환자, 노인의료비 증가 - 혹은 물가 상승 등 복합적인 이유가 있을테지만 의약분업의 제도적 변화또한 기여하였음.

- 의약품비 상승
의약분업 이전 , 의약품을 직접 구매하여 처방조제하던 의료기관은 더 이상 저렴한 의약품을 처방 하지 않게된다. 약에 대한 안정성이 담보된 약의 처방이 증가 할 수록 약제비는 상승. 저가약 처방유도를 위한 정책이 없는 부작용.
더불어 복제약의 경우 가격이 오리지널에 비하여 20-40% 수준인데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60-80% 까지 복제약 가격을 산정해주는 정부의 약가정책은 복제약의 애초 목적을 희석하고 국민의 부담을 얹음.

- 유래없는 법안들의 탄생
재정고갈이 이어짐에 따라 법안들이 논의 및 시행되고 있음. 예를들어 처방전 2매 발행, 리베이트 쌍벌제.


이득을 보는 것은 의약업체, 약사

이 상황에서 이득을 보는 것은 약사와 제약회사. 제약회사는 복제약가를 오리지널 대비 60-80%까지 받음으로써 상당한 성장을 이룸. 우리나라 대표적인 제약회사들은 로비로 인한 정부의 높은 값 산정으로 이득. 이러한 높은 값의 약과 정부 결정된 상당한 조제료 수익으로 약국은 처방전이 많이 나오는 병원가에 위치함으로써 실력과는 무관한 이득을 봄. 더불어 정부가 묵언하며 넘어가는 임의조제 그리고 대체조제 인센티브로써 이득.

출처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0&articleId=679756 

Posted by water_
,

출처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0&articleId=682048 

2000년 7월 의약분업이 시행된지 올해로 10년째입니다. 준비안된 의약분업, 잘못된 의약분업의 최대 피해자는 국민이었습니다.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 약국에서 조제를 받는 불편 뿐만 아니라, 의약분업 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된 건강보험료는 의약분업이 얼마나 엉터리 정책인지, 그래서 국민들에게 어떤 피해를 주었는지 여실히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피해자가 있는 반면 수혜자도 있습니다. 바로 약사와 제약회사입니다. 특히 약사는 의약분업의 최대 수혜자라 감히 말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약사가 최대 수혜자가 되기에는 약사마피아라 불리는 복지부의 “약사 퍼주기 정책” 그리고 “눈물겨운 약사 사랑”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과거 10년 동안 수많은 일들이 있었으나, 대표적인 것 몇가지만 나열해보겠습니다. 


1. 원가보전율 100% 이상의 조제료


의약분업 후 약사들의 조제료는 급격히 상승하였고, 10년 동안 18조원이 넘는 돈이 지출되었으며 작년 한해에만 2조 6천억원이라는 어마어마한 비용이 지출되었습니다. 약사들 조제료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는 약사들의 조제료 원가보전율이 126%에 이른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사들의 조제료는 매년 인상되고 있습니다.

 


의사들이 받는 의료수가의 원가보전율이 73.9%에 불과하다는 것을 고려해볼때, 약사들의 조제료가 얼마나 엄청난 폭리인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복지부의 지극한 약사 사랑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입니다. 

 

 

2. 저가구매 인센티브를 통한 약가 마진 인정


의약분업이라는 제도 자체가 약에 의한 마진을 인정하지 않는 제도입니다. 약사들에게 높은 비용을 들여 조제료를 지급하는 것도 그 이유 때문입니다. 그런데 최근 정부는 소위 “저가구매 인센티브”라는 제도를 만들어, 이제는 합법적인 약가 마진을 인정해주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정한 의약품 가격보다 싼 가격으로 의약품을 구매하면 그 차액의 일정액을 보상해주는 것입니다. 결국 약가 마진을 인정해주겠다는 것입니다. 


약가마진이 없다는 전제하에 책정된 조제료, 원가보전율 126%에 이르는 조제료에 더불어, 이제는 약가마진까지 인정해주겠다는 것이니 그야말로 약사마피아 복지부의 약사 사랑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것입니다. 그러나 복지부의 약사 사랑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3. 백마진 합법화


얼마전 정부와 국회는 리베이트 쌍벌제라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의사나 약사가 리베이트를 받으면 징역 2년 이하 징역이나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그리고 1년 이하의 자격정지를 받는다는 법안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약사들의 리베이트인 백마진은 오히려 합법화되었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나 야당의 반대를 무릅쓰고 정부는 약사 백마진을 합법화시켰습니다.  


백마진이란 약사들이 제약회사나 도매상으로부터 약을 구매할 때 일정 %만큼 할인을 받는 것으로써 이 역시 명백한 불법적인 리베이트입니다. 그런데 복지부는 백마진이 불법 리베이트라는 초기 입장을 뒤바꿔 정작 쌍벌제 통과시에는 슬그머니 합법화해주었다는 것입니다. (다음 기사 참조)

 


http://www.medigatenews.com/Users/News/newsView.html?ID=91884&nSection=1&nStart=0&subMenu=news&subNum=1&searchKeyWord=%B9%E9%B8%B6%C1%F8

 

금융비용이라는 거창한 말로 포장되었으나, 어느 상거래에서 외상구매 1개월 후에 결제하며, 구매대금의 5~10%를 합법적으로 할인받을 수 있는지 의아할 뿐입니다. 외상구매후 대금지불을 하는 것이라면 오히려 원금에 금융비용을 더해서 지불하는 것이 상식인데, 이자는 고사하고 원금을 깍아서 지급한다는 것이고, 이것이 어떻게 합법화될 수 있는지 황당할 뿐입니다. 예컨대 이마트에서 1만원 어치 물건을 외상으로 산 후, 1개월 후에 9,000원~9500원 주는 꼴인데 이것이 과연 납득할만한 사안인가 말입니다.  

 

더구나 1개월 5~10%면 연리 60~100%에 해당하는 금액이라는 것을 고려해본다면, 약사들이야 말로 고리대금업자와 무엇이 다른지 의문입니다. 이런 황당한 일이 벌어지는데에는 약사를 너무나도 사랑하는 약사마피아 복지부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입니다. 그러나 복지부의 약사 사랑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점점 극에 달합니다.  

 


4. 약국영수증에 조제료 미기재 

 

병의원 영수증을 보면, 진찰료, 입원료, 투약 및 조제료, 주사료, 마취료, 처치 및 수술료, 검사료, 영상진단 및 방사선치료료, 치료재료대, 재활 및 물리치료료, 정신요법료, CT 진단료, MRI 진단료, 초음파 진단료, 수혈료 등 무려 15개 이상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약국영수증은 달랑 "약제비 총액"으로만 표시되어 있습니다. 약제비라 표기되어 있으니 환자 입장에서는 순수 의약품비로만 인식하나, 이 약제비 총액은 의약품비 + 약사 조제행위료이며, 이러한 사실을 아는 환자는 거의 없습니다. 조제료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제료 자체를 의도적으로 은폐한 것입니다. 







약제비 총액



 


 

이에 의사들이 의약품비와 약사 조제행위료를 분리하고, 더불어 조제행위료 역시 조제료, 기본조제기술료, 복약지도료, 약국관리료, 의약품 관리료 등 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약사들의 조제행위료를 구체적으로 기입하도록 요구하였습니다. 다음과 같이 말입니다.

 

 






















의약품비


 


약사행위료


조제료


 


기본조제기술료


 


복약지도료


 


의약품관리료


 


약국관리료


 



 

복지부는 마지못해 영수증 서식을 개정합니다만, 약사행위료를 구체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약국행위료로 통칭하는 영수증으로 개정합니다. 

 









약제비용


 


약국행위료


 



 

그러나 새로운 약국영수증 서식이 있음에도 여전히 약국은 예전 "약제비 총액"으로만 표기되어 있는 영수증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서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처벌할 규정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야말로 복지부의 눈물겨운 약사 사랑입니다.  

 






약제비 총액


 



 

이에 대한 복지부 공무원의 얘기를 들어보면 그저 기가 찰 뿐입니다. 

 

http://www.health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55

 

"약국마다 영수증 용지를 3개월 분씩 구입해 놓기 때문에 아직까지 제고 용지를 활용하는 것"

 ==> 영수증 서식 개정된지 7개월이 넘었는데 이런 소리를 합니다.

 

"새 서식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했지만 인터넷을 하지 않는 고령 약사들은 아직까지 모를 것"

 ==> 대부분 조제프로그램으로 영수증 발급합니다. 인터넷과 관계가 없을 뿐더러 조제프로그램만 간단히 바꾸면 가능한 것인데, 위와 같이 변명합니다.

 

"세부내역을 구체적으로 적지 않는 이유는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면서 약국 영수증도 마찬가지"

 ==> 약제비 총액 달랑 한줄 쓰고 영수증 공간이 부족하답니다.  

 

"조제료가 기입돼 있지 않다고 해서 아직까지 민원을 받아본 적이 없다."며, "국민이 조제료 세부내용이 기입되지 않아 불편하다고 지적하면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 민원이 없으니 그대로 하잡니다. 약제비 총액이라고만 표기되니 조제료에 대한 민원이 있을리 없습니다. 그러나 조제료가 지불되는 것을 아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국민의 알권리라는 것을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입니다.  

 

복지부의 약사 사랑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다음 사안에 극에 달합니다.

 


5. 일반약 슈퍼판매에 대한 복지부의 태도


안전성과 유효성이 담보된 의약품에 한해 약국이 아닌 슈퍼마켓에서 팔도록 하는 일반약 슈퍼판매는, 국민들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의약품 가격이 낮아짐으로써 국민의료비를 낮출 수 있다는 이유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제도입니다. 그러나 유독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무리 안전한 약, 하다못해 박카스도 약사들을 통해서만 팔도록 되어 있습니다. 약사들에게 대단한 이권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러한 부당한 사안에 대해 경실련과 같은 시민단체에서 조차 일반약 슈퍼판매를 주장했으나, 복지부의 끔찍한 약사 사랑 덕에 아직까지 시행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복지부가 이 사안에 대해 얼마나 약사편을 드는지 다음의 기사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09121512022913328&outlink=1


작년 12월 의약부문 선진화 공청회가 있던 자리, 복지부의 모 공무원은 황당함을 넘어 경악에 가까운 발언을 하였습니다. “일반약 슈퍼판매에 대해 피투성이가 되더라도 막겠다.”고 공언하였습니다. 


피투성이가 되더라도 막겠다.


피투성이가 되더라도 막겠다.


피투성이가 되더라도 막겠다.


이렇듯 복지부의 눈물겨운 약사 사랑 덕에 약사들은 원가보존율 126%의 조제료 + 일반약 판매수익 + 임의조제 수익 + 대체조제 인센티브 + 저가구매 인센티브 + 백마진 리베이트 등 수많은 수익구조로 의약분업 후 최대의 수혜자가 된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결국 국민의 부담으로 귀결되는 상황에서, 편의성 악화와 건강보험료 증가라는 국민들의 피해를 발판삼아 약사들의 배를 불리게 된 제도가 바로 의약분업이고, 그 이면에는 복지부의 지극하고도 끔찍한 약사 사랑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제도로 된 정부이고, 제대로 된 제도입니까 ?

 

조제료를 없앨 수 없다면 최소한 의료수가와 동일한 원가보전율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약가마진은 의약분업의 원칙에 훼손되므로 즉각 시정되어야 합니다.

 

백마진은 엄연한 불법 리베이트이므로 즉각 불법화해야 합니다.

 

국민의 알권리 충족을 위해 약국영수증에 약사들의 5가지 행위료, 즉 조제료, 기본조제기술료, 복약지도료, 의약품 관리료, 약국관리료는 반드시 표기가 되어야 합니다.

 

또한 국민의 편의증진과 국민의료비 감소를 위해 가정상비 일반약의 슈퍼판매는 즉각 허용되어야 합니다.

 

끝으로, 다음의 기사를 통해 의약분업 직전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안다면 약사와 복지부의 관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복지부 사무관, 약국체인 사장 맡기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0010507

 

 

                                                   2010년 7월 14일

 

                             올바른 의료제도의 항구적 정착을 염원하는

 

                                         전 국 의 사 총 연 합

'사회 > 의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국외 약 판매 - 약사법 개정안  (0) 2011.07.10
의약분업 - 그 이후 오늘  (0) 2011.07.09
의약업, 약학에 대한 단상  (0) 2011.07.08
Pharmacy Schools  (0) 2011.04.18
Novartis 노바티스  (0) 2011.03.16
Posted by water_
,


의약업, 약학에 대한 단상 .............. 특별히 약학이 아니면 안될 것 같은 마음에 분야를 선택한 것은 아니다. 사실 아무 분야나 공부를 하여도 즐거울 것 같았고 특별히 하고싶다하는 것은 없었다. 당시 단지 문학과 철학과 멀어지고 싶었고 그저 큰 분야로써 의학에 관심이 갔다. 치대도 염두에 두었지만 특별한 매력을 느끼지 못했다. 조금 더 분야에 대해 공부했더라면 분명 매력을 느낄 수 있었으리라. 하지만 당시 약학에 대해 쉽게 정보를 얻는 계기들이 있었고 그들이 나를 분야로 이끌었다. 사실상 약학 - 양약학 자체가 오랜 역사가 있는 분야가 아니다. 물론 한의학, 아루베다 와 같은 오랜 - 전설과도 흡사한 의학들이 있고 그들만의 약학이 있지만 양약학과는 상당히 가깝고도 먼 분야들이다. '약대'라는 개념 또한 다른 schools 학업들 - 법대 의댜와 같은, 에 비해 역사가 상당히 짧고 약대가 있는 대학교 들의 숫자도 적다.
'새로움'이라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운 - 신나기도하고 어렵기도하고 ........ 마치 소년과도 같은 것이다. 실수가 많고 규율을 거부하고 독단적임을 추구하며 많은 시도가 필요하다. 방향을 확실히 잡지 못하였고 상당히 역동적이다. 이러한 소년같은 분야에게 - 더불어 흥미로운 점은 상당한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다. 비하자면 이 소년은 억만장자인 것이다. 어리고 잘 모르지만 돈이라는 권력으로 규율을 피하고 비판 비난을 조용케한다. 돈 많고 건방진 소년 -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힘많은 이들은 이미 그의 로비로 그의 편을 들고 힘 없는 이들은 그를 아무리 비난해도 그의 권력에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어렵다. 역사가 오랜 분야 또한 그의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오래된 만큼 독창성이 어려울 것이며 분야에 조상들이 많았던 만큼 기준이 상당히 높을 것이다. 하지만 오래된 학업은 튼튼하고 안정적이며 지혜롭고 도움을 받을 선배들이 있다. 그렇지 않은 의약업 - 갈 길이 멀다. 흥미로운 분야이지 않은가.
사실상 모든 분야가 그러하겠지만 의약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코 깨끗한 사업 시스템이 아니다. 그 어느 분야 못지 않게 정부 로비가 상당한 것은 물론이고 굉장한 비용을 광고에 투자하고 있다. 사람들은 새로운 것을 거부하기도하고 극히 환영하기도 한다. 둘 중 어느 방향이 선택되느냐는 마케팅에 달려 있음을 의약업은 무엇보다 잘 알고있고 그것을 지능적으로 진행한다. 법을 조종하기 위해 정부를 로비하고 환자들과 시장을 조종하기 위해 의사들과 연구원들을 로비한다.
상당히 중요한 개념은 '약에대한 인식'이다. 이에 대한 올바른, 전반적인 사회의 인식이 생기고 자리잡은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약은 무조건 좋지 않다는 대중적 인식이 있는 반면, 연구원들을 믿는, FDA 식약청과 같은 정부기관들을 믿는 인식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하더라. 하지만 믿을 것은 자신일 뿐. 정부도 의약업체도 연구원들 조차도 환자 환경 사람을 염두에 두는 이는 상당히 소수이다. 그들은 경제적인 이윤에 목적을 두고 있음이 대부분이거나 소비자에게 무관심하다. 물론 상당 수의 과학자들이 과학에 기여하기 위해 시간과 정성을 투자하고 있지만 많은 연구원들은 이러한 회사들로부터 돈으로 매수되고 - 과학이라는 학업에 대한 기여보다 소비자의 숫자를 늘리는 연구를 하고 있다.
특정한 꿈이 있다면 그 분야가 아름답고 환상적이여서 하고 싶은 마음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의약업에 대한 나의 입장은 오히려 반대에 가깝다. 약학의 미래를 생각하면 , 지금이라도 방향을 틀 수 있다면 굉장히 긍정적인 글로벌 원동력이 될 것이지만 현 방향을 유지한다면 굉장히 부패하는 글로벌 원동력이 될 것이 분명하다. 약학의 움직임이 상당한 규모라는 것은 이미 결정된 것이고 - 그것의 방향만이 전환 할 수 있다. 이러한 역동적이고 불안하기도한 분야 ...... 재미있을 것 같기도 하고 보람도 있을 것이다.

'사회 > 의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국외 약 판매 - 약사법 개정안  (0) 2011.07.10
의약분업 - 그 이후 오늘  (0) 2011.07.09
복지부의 눈물겨운 약사 사랑 - 전국의사총연합  (0) 2011.07.09
Pharmacy Schools  (0) 2011.04.18
Novartis 노바티스  (0) 2011.03.16
Posted by water_
,

Pharmacy Schools

사회 /의약업 2011. 4. 18. 16:54



학교 학교 학교.. 평생 다니는 것 같다 , 맞는 것이 지금 까지의 생은 지속적으로 학교를 다녔구나. 무튼 가고싶은 학교들이 몇 있다. 사실 학교자체 보다 지역이 중요 한 듯. 동부에서는 딱히 지내고 싶다라는 지역이 없다. Boston 도 살고싶지만 약대가 마땅치 않다.  
하와이가 가장 가고싶으나 엄마 아빠가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다. 랭킹이 높은 학교도 아니고 조금은 쌩뚱맞거나 생소한 느낌이 있는 지역이다. 걱정 많은 아빠는 지진 걱정을 하실 것이 분명하다 .. 창준이와 가까운 곳이 아무래도 가장 이상적이다. 엄마아빠도 그렇게 생각하실 것이고 나 또한 동의한다. 창준이를 움직일 수 없으니 내가 움직이는 것이 맞다. Maryland 는 진심 생소하다. 학교에 붙을 수 있을지 또한 의문 , 천천히 어떤 곳인지 알아보아야겠다.
이 리스트 외에 하나의 학교가 더 있다, 정작 가고싶은지는 모르겠지만 그저 염두에 두고있는 곳. 후년 쯤의 일이니 천천히 준비를 해야하는 것 같다 , 휙 쿵.


U of Washington Seattle School of Pharmacy
시애틀이 좋으니까 .. 시애틀을 벗어나고 싶기도 않기도 하다.

U of Hwaii Hilo College of Pharmacy http://pharmacy.uhh.hawaii.edu/ 
가장 가고싶다 ! 하와이 하와이 동경과 낭만의 하와이.

U of Marylnand Baltimore School of Pharmacy http://www2.pharmacy.umaryland.edu/ 
창준이와 가까운 거리에서 지낼 수 있을 것 같다.





Posted by water_
,



-Founded 1996
-Headquarters: Basel, Switzerland
-Pharmaceuticals, Generic drugs, Over the counter drugs, Vaccines, Diagnostics, Contact lenses, Animal health, etc.
-Subsidiaries: Ciba Visions, Sandoz
-www.novartis.com
-6th largest Pharmace

 

utical (Revenue terms)
-Main products: Clozaril, Voltaren, Tegretol, Diovan, Gleevec, Neoral, Femara, Ritalin, Lamisil.
 
-Accusation by government of "paying illegal kickbacks to health care professionalsw through speaker programs, advisory boards, entertainment, travel and meals."
-nyt article, "Novartis Pays $422.5 Million in Settlement."
http://prescriptions.blogs.nytimes.com/2010/09/30/novartis-pays-422-5-million-in-settlement/?scp=2&sq=novartis&st=cse
 
 
-"Novartis discovery and development process"
http://www.novartis.com/research/drug-discovery.shtml
 
Posted by water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