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 dignity'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1.10.28 intelligence, organization - human dignity


two things of many things on my mind recently: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

intelligence

"a very general mental capacity that,a mong other things, involves the ability to reason, plan, solve problems,think abstractly, comprehend complex ideas, learn quickly and learn from experience, it is not merely book learing, a narrow academic skill, or test-taking smarts. rather, it reflects a broader and deeper capability for comprehending our surroundings - "catching on," "making sense" of things, or "figuring out" what to do" (mainstream science on intelligence, 1994).

"Individuals differ from one another in their ability to understand complex ideas, to adapt effectively to the environment, to learn from experience, to engage in various forms of reasoning, to overcome obstacles by taking thought. Although these individual differences can be substantial, they are never entirely consistent: a given person's intellectual performance will vary on different occasions, in different domains, as judged by different criteria. Concepts of "intelligence" are attempts to clarify and organize this complex set of phenomena. Although considerable clarity has been achieved in some areas, no such conceptualization has yet answered all the important questions, and none commands universal assent. Indeed, when two dozen prominent theorists were recently asked to define intelligence, they gave two dozen, somewhat different, definitions" (intelligence: known and unknowns, 1995).


none of the definitions seem to help define intelligence in its essence. perhaps its usage in the culture is much to general to be specified.


Cattel Horn Carroll theory (CHC theory)
categorizes "stratum abilities" into ten categories and 70 subcategories.
Ten broad abilities:
1. Fluid Intelligence - reason, form concepts, solve problem using unfamiliar information or novel procedures
2. Crystallized Intelligence - breadth and depth of acquired knowledge, ability to communicate knowledge, ability to reason using learned experiences or procedures
3. Quantitative Reasoning - ability to comprehend quantitative concepts and relationships and to manipulate numerical symbols
4. Reading & Writing Ability
5. Short-Term Memory
6. Long-Term Storage and Retrieval
7. Visual Processing - ability to perceive, analyze, synthesize, and think with visual patterns, store and recall visual representations
8. Auditory Processing - analyze, synthesize, discriminate auditory stimuli, ability to process and discriminate speech sounds that may be presented under distorted conditions
9. Processing Speed - ability to perform automatic cognitive tasks under pressure to maintain focused attention (typically measured in 2 minute intervals)
10. Decision / Reaction Time / Speed - reflect immediacy to stimuli (typically measured in fractions of seconds)

recently thought about relationships between intelligence and width / depth of perception / detail. refering to - noticing details on smaller scales as well as being able to make connections on several levels.
interesting that CHC theory takes notice of disciminating auditory stimuli as one of its ten broad abilities. seems recognizing, remembering, and retrieving visual representation is a commonly mentioned aspect of intelligence, but not so much auditory. likely because more number of people in the population are rather visually abled than auditorily. clarification - more number of people in the population are relatively better visual processors than auditory processors. within the relatively intelligent - if i can label such a group - then within the group more are able to visually process than auditorily process.

expanding on initial thouguhts on intelligence - was curious about relationships between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


organization
it is depressing to find that googling organization leads to "social group which distributes tasks for a collective goal" on wikipedia.

another odd definition of organization on wiki "act of rearranging elements following one or more rules."
continuing on wiki "anything is commonly considered organized when it looks like everything has a correct order or placement. but it's only ultimately organized if any element has no difference on time taken to find it. in that sense, organizing can also be defined as to place different objects in logical arrangement for better searching."

now organization is described in terms of rates and servicing a purpose of finding - which seems relatable to descriptions of intelligence in a sense of timeliness in retrieval.

사실 intelligence 지능에 대한 포스팅을 쓰고 싶었던 이유는 근래 특정 친구를 만남에서 비롯되었다. 늘 똑똑함에 대한 - 닿을 수 없는 정도에 대한 환상따위를 가지고 있었고 지금도 그러하다. 그 무엇에서보다 정신적 정보 처리 capacity 에서 상당한 매력을 느낀다. 사람이 삶에 있어 똑똑함, 지혜로움으로 생활에 수월함을 가져온다고 생각했고 지금도 그것은 사실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모든 것은 균형이 있고 수월함 만큼이나 어려움은 한 치의, 한 톨의 차이도 없이 같지 않을까 - 나는 모르겠다.

근래 친구를 만나며 드는 생각은 정리하자면 1. intelligence 지능이란 무엇인가 2. 그것이 무엇이건간에 - 그것의 이득은 손해와 양적, 질적으로 어떻게 비교되나.

intelligence 를 정의 할 수는 없다 - 영어에서도 한글에서도 그것은 너무나 넓은 의미를 포함하며 사용되고 있다. 어쩌면 그 만큼 지능적 세밀함이 사회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증거일 것이다. 세밀적으로 분류 할 만큼 그것을 접하지 못하였기에 그것을 위한 설명이 부족한 것이다. 그 만큼 intelligence 는 우리에게 생소한 것이 아닐까.
굳이 정의하자면 분명한 것은 그것은 분명 spectrum 이다. 모두 그 spectrum 에 포함되어있지만 대부분 average 평균에 밀집되어있다. 근래 느끼는 점은 average 와 average 이하의 인구 수가 average 이상의 인구수보다 많다는 것이다. 모든 bell curve 에 outlier 들은 존재하지만 양쪽의 차이가 상당하다는 것.

 normal bell curve


skewed bell curve



bell curve 이미지를 검색하던 와중 흥미로운 글을 발견. 1994년 출판된 The Bell Curve 라는 책에 대한 글. (저자 richard Herrnstein and Charles Murray) 책을 소개하는 글에 따르면 미국사회의 지능에 대한 통계적 수치들을 정리하고 분석한 것. 숫자들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사회의 지향방향을 제시하였는데 당시 제법 논쟁거리가 되었던 듯. 그럴만한 것이 그들은 인구의 낮은 지능인구가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들을 직접적으로 서술하였을 분 더러 - 지능이 낮은 인구들을 인종 별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상당히 흥미로와보이는 책이다, 꼭 읽어보고 싶다.

content
Introduction - assuptions about intelligence
part 1 - the cognitive elite
part 2 - iq and social problems
(poverty, schooling, unemployment, idleness and injury, family matters, welfare dependency, parenting, crime, civility and citizenship)
part 3 - iq and race
(ethnic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y, the demography of intelligence, social behavior and the prevalence of low cognitive ability)
part 4 - iq and social policy
(raising cognitive ability, the leveling of american education, affirmative action in higher education, affirmative action in the workplace, the way we are headed, a place for everyone)
part 4는 바닥 한 번 치고 훈훈하구나


introduction 중
  1. There is such a difference as a general factor of cognitive ability on which human beings differ.
  2. All standardized test of academic aptitude or achievement measure this general factor to some degree, but IQ tests expressly designed for that purpose measure it most accurately.
  3. IQ scores match, to a first degree, whatever it is that people mean when they use the word intelligent, or smart in ordinary language.
  4. IQ scores are stable, although not perfectly so, over much of a person's life.
  5. Properly administered IQ tests are not demonstrably biased against social, economic, ethnic, or racial groups.
  6. Cognitive ability is substantially heritable, apparently no less than 40 percent and no more than 80 percent.

The authors state that their main motive is, " the quest for human dignity." (p. 551). Their concluding paragraph seems to support this motive:

"Inequality of endowments, including intelligence, is a reality. Trying to pretend that inequality does not really exist has led to disaster. Trying to eradicate inequality with artificially manufactured outcomes has led to disaster. It is time for America once again to try living with inequality, as life is lived: understanding that each human being has strengths and weaknesses, qualities we admire and qualities we do not admire, competencies and incompetencies, assets and debits; that the success of each human life is not measured externally but internally; that all of the rewards we can confer on each other, the most precious is a place as a valued fellow citizen." (pp 551-552)


분명 지능적으로 우월한 인구가 있고 그렇지 않은 인구가 있다. 책의 주장은 - iq 를 잣대삼아 높은 지능이 높지 않은 지능보다 사회적 이득임을 전재하에, 인구를 높은 지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정치적 방향과 방법들을 제시한 것.

과연 높은 지능은 높지 않은 지능보다 '좋은' 것일까. 개인적으로 흔히 말하는 '지능', 세분화하자면: 판단력, 분별력, 기억력, 사고능력, 세밀함, 정리력, 정보 처리 능력, - 그리고 이러한 사고적 운동을 진행하는 속도가 빠른, 사람을 선호하고 나 자신이 그러하기를 지향하는 바이다. 하지만 사회는 특별히 그러하지 않은 것 같다. 분명 사회는 머리가 좋은 사람들을 바라지만 그것은 개인적 이득, 흔히 금전적 이득을 위한 것이지, 사회라던가 인류의 방향에 대해 관심을 두는 인구는 비교적 상당히 적다 - 여기에서도 skewed curve를 찾을 수 있다.

세상의, 사회의 기준은 낮다. 이것은 사실이다 - 인간이 지향 할 수 있는 theoretically possible standard 에 비하여 현실의 기준은 상당히 낮다, 서글프도 터무니 없을 정도로. 그 이유의 상당부분은 지능이라고 생각된다. 넓은, 먼 시간을 염두에 두지 못하는 mental capacity 의 차이 때문이지 않을까. 인류는 해야 할 일이 많다. 아무리 과학적으로 발전하였다고 해도 새 발의 피라기보다 제로 0 에 가깝지 않을까. 인구의 대부분은 논리가 아닌 코 앞의 돈에 목숨을 걸고 있고 그렇게 하루살이들처럼 인류는 번식하며 참으로 불필요한 방향에 에너지를 소모, 낭비하고있다.

친구의 생각을 대변 할 수 없지만, 자본주의에 사회가 기반한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는 것. 누군가 이득을 보아야 돌아가는 시스템에서 공존과 공동 움직임은 일어날 수 없다는 것. 정신적 의지를 둘 곳을 두는 것은 나쁘지 않지만 종교라는 집단 지배 시스템을 견딜 수 없다는 것. 더불어 그 집단은 논리 없는, 수용없는 blind 믿음에 기반한다는 것에 반감을 표현했다.
man 이 일어나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이기를 바랬으며, 인류는 바닥을 향해 상당히 높은 velocity 로 떨어지고 있고, 그것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cynical 하지 않을 수 없으며, hope 은 없다고 하였다. 그렇게 그는 인류의 현명치 못함을 한탄했다.

outlier 의 정의 자체가 보여주듯이 그들은 다수의 밖, 인 소수이다. 세상이 outlier 에 비하여 지능이 낮다고하여, 다수는 소수를 따라야하는가? 그것은 잘못된 질문이다. 이것은 다수와 소수에 관한, quantitative 한 문제가 아니다. 이것은 good and bad 긍정과 부정의 스펙트럼의 개념이다. 인류는 부정의 방향을 지향하고있고,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은 그 만큼의 net mental capacity 부족하기 때문이다. 다수가 옳지 않은 기준을 가지고 옳지 않은 방향으로 향하는 와중에도 다수라는 이유로 옳지 않은 기준과 방향에 전체가 맞추어 normalize 하는 것은 어이없는 논리 - 아니 논리가 아니다.

근래 느끼는 점 한 가지 꺼내자면 - 미국에 살 수록, 미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굉장한 실망감을 느낀다. 미국, 한국, 특정한 나라로써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터무니 없는, 상당히 nationalistic 국가주의적인 개념 (근래 느끼는 또 다른 점이다, 얼마나 사람들의 사고가 국가주의 적인지 .. 이에 대해서는 다음에 쓰기로하자,) 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미국의 기준은 상당히 낮다. 미국이 생산 제품들, 서비스, 음식, 교육 - 그들의 평균적 생활의 모든 기준이 낮다는 것이다. 강의실대 교수의 비율, 교과 범위와 수업시간 비율은 터무니 없고, 학교의 시설들 또한 마찬가지인 경우가 많다. 긍정적인 부분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상당 부분의 교과과정 진행이 온라인 과제로 진행되는 점 또한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아쉽다. 배움, 교육의 공간이라기보다 점수습득의 공간이다. 이것이 오늘의 사회이고 다수가 그것을 당연하다는 듯이 받아들인다.
내가 '쉽게 실망한다' 라고들 한다. 하지만 실망하지 않는 것을 나는 이해 할 수 없다. 터무니 없는 대접을 받았을때에 그것에 수긍하는 것, 은 또 하나의 터무니 없는 일일 것이다. 그 만큼 평균적인구는 사회의, 세상의 높지 않은 기준에 익숙하다는 것이다. i had higher expectations for humanity - 라 느끼는 인구 또한 소수인 skewed bell curve 일까.
이에 연장선으로 - 나는 그 동안 다른 별에서 살았는가? 나는 왜 세상의 낮은 기준을 이제야 인지하는가 - 에 대한 생각을 근래 해본다. 참으로 편하게 살지 않았나 싶다. 가정적으로 교육환경적으로 생활환경적으로 부모님의 기준이 나의 기준이 되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물론 국립학교들도 다녔지만 평균 이하의 환경을 접해본 적은 없지싶다. 뿐만 아니라 책, 글, 영상, 등 - 늘 읽고싶은 것 보고싶은 것 나의 기준에 맞다 싶은, 싫은 것은 철저히 배재하는 생활을 살았다. 그도 그럴 것이 조금이라도 싫으면 바로 놓고 다른 방향으로 가는 것이 나의 성격이다. 미련이 없달까, 여러 이유로 '싫어'하여 쉽게 버리고 떠난 것이 상당히 많다.
실망감 속에서, 이러한 낮은 기준을 수긍 accept 해야하는가? 친구가 인류의 방향에 대해 한탄하야 내가 물은 질문은 is that acceptable? 이였고 대답은 빠르고 확고한 NO 였다. 받아들일 수 없다 - unacceptable 안된다. 이러한 기준들은 받아들일 수 없다, 방향을 틀어야한다. 하지만 그것의 실현 가능성이 있는가? 없다, 제로 zero 0. 희망은 없다 hopelessness. 몇 일 전 그는 이러한 희망의 부재에 죽고싶었지만 그러기에는 자신의 논리가 허용하지 않았고 앞으로도 않을 것이라 하더라, 하 재미있는 녀석이다. 와중, 그는 답 없는 질문을 하였다, 해결책을 달라고. 희망 없는, motivation 동기 없는 생활에 대한 해결책을 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친구의 생활을 보면 바꿀 수 있는 것이 없다 - 아니 바꿀 수 있는 것이야 많지만 그래야 할 이유가 없다. 일, 공부, 음악, 등 상당 부분이 필요에 의한 취미들이고 궁극적으로 실용적인 것들이다. 하야, 나는 바꿀 수 있는 것이 없다하였고 친구는 아인슈타인이 말하였듯이 같은 실험을 반복하면서 다른 결과를 바랄 수 없다더라. 하지만 상황은 바뀔 수 없다 - 녀석의 일상은 같을 것이고 사회의 기준은 반짝하며 변하지 않을 것이며 녀석은 평생 인류에게 희망을 걸 수 있는 순간을 찾지 못 할 것이다. 


희망은 없다. 이러한 스케일 scale 의 관점에서, 이러한 scale 의 변화를 바란다는 것은 불가능 zero 0 에 가까울뿐더러 zero 자체이다. 그래도, 어쩌면 슬프게도 우리는 coexist 해야한다, 지능적 spectrum 의 어디에 앉아있다고 하더라도 - 우리는 모두 지구라는 행성에 묶여있다. 이 행성 모든 곳이 tainted 되었고 어느 사람 하나 국가, 자본, 권력, 지배,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는 이가 없다. 아쉽게도 그것들이 이 행성을 정리하는 기준들이고, 나는 우리는 이 오염된 행성에서 지속해야한다, 죽음이라는 방법 외에는 - 떠날 수 없다.

'똑똑함'은 늘 개인적으로 중요한 인격 중 하나였고 지금도 그러하다. 근래 새로이 느끼는 점 하나라면 외로움은 인격과 무관하다는 것. 똑똑하다면 - 상황적 판단력과, 전체적 논리, 인지력, 분별력이 뛰어나다면 외로움도 덜 할 줄 알았다. 하지만 사람의 외로움은, 더 할 수도 덜 할 수도 없나보다 - 라는 생각이 든다. 더불어, 그러한 지능적 능력에 따르는 부정적인 어려움의 크기는 과연 얼만큼일까? 어려움 또한 현명함으로 포용하면 비교적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의구심이 조금씩 들기 시작한다. 보이는 것, 들리는 것, 느끼는 것, - 인지 범위가 넓은 만큼 받아들일 수 없는 기준의 많은 것들을 수긍해야 할텐데 얼마나 괴롭고 불편할까? 아, 안타깝다.

human dignity 인류 존엄 - 에 기여하고싶다.




should read better sources ha
http://alisina.org/einstein-and-islam/
http://www.indiana.edu/~intell/bellcurve.shtml
http://onlinestatbook.com/chapter1/distributions.html
http://en.wikipedia.org/wiki/Cattell-Horn-Carroll_theory
http://en.wikipedia.org/wiki/Intelligence

Posted by water_
,